![]() 2013-03-13 15:49
조회: 35,966
추천: 36
간단한 화법 딜사이클 팁.요새 화법유저들이 많이 늘었는데요.
화법딜사이클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지만, 조금만 더 이해하면 딜을 좀더 올릴수있는 팁이있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화법을 좀하셨던 분들은 알고 계실테니, 그냥 가볍게 읽어주세요.
1. 몰열과, 소몰열 관리
화법의 기본적인 딜사이클 예시 (쿨기 배제)
시작전 불작시전 > 살폭 > 염구 > 염구 > (소몰열발생시)=지작 > 몰열
보통 사이클은 위와 비슷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딜사이클 선택지가 2가지 있습니다.
소몰열시 지작- 이후로 발생하는 몰열을 바로 소비하는 유형이 1번입니다.
몰열 발생시 바로 사용하지않고 소몰열을 추가로 얻을때까지 들고 있는게 2번입니다.
제가 알려드릴려는 사이클팁은 바로 2번입니다.
그럼 왜 이렇게 같이 만든다음 소비를 하냐면, 지작비율을 줄이기 위해서 이고, 지작이 쿨일때 날리게되는 소몰열을
최소화 하기위해서입니다. 극대셋팅을 해도 , 임계너프와 맞물려 극대가 낮은 현시점에 소몰열 낭비는 뼈아픈 현실입니다
'이렇게 하면 좋은점이 무엇이냐 ?' 하고 의문이 드실텐데요
예시로 간단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소몰열>지작>몰열>소비 이렇게 이루어질때 소비된 몰열이 크리가 들어갔을때, 지작은 거의 쿨일겁니다.
그럼 쌓여있는 소몰열은 다음에 땡길 염구의 크리여부에 따라 몰열이 되느냐, 사라지느냐 가 됩니다. 크리가 뜨면
몰열이 발생하겠지만, 크리가 안뜬다면 낭비가 되는 셈이죠.
이것을 방지하기위해 몰열+소몰열 상태를 만드는겁니다. 이때 몰열을 소비하여 크리 발생시 바로 바로 추가로
몰열을 얻습니다. 이사이클은 계속 반복하면 몰열 비율이 훨씬 압도적으로 나옵니다.
2. 몰열 소비 + 염구 보너스
위의 사이클이 손에익으면 한번더 진화(?) 할수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이렇게되면 염구or불작 둘중 하나만 크리가 터져도 소몰열과 합쳐져 몰열로 완성됩니다. 둘다 크리가 터질시
다시 몰열+소모열 둘다 얻습니다. 무한 몰열상태를 더욱 가속화 시키는 사이클입니다.
간단하게 두가지 버프를 가진뒤, 테스트를 해보시면 알수있습니다. 염구가 크리가 터지든, 불작이 크리가 터지든
한가지라도 크리가 터지면 몰열이 완성되는것이.
3. 꽃발화를 위환 쿨기몰기
필자는 상우빛과, 25인경악(2강)을 사용중 인데요. 2셋 기준 발화(문양o) 와 거의 쿨이 일치합니다.
염구를땡기며,냉정,시돌,+몰열>몰열발생시 바로소비. . .>몰열x 냉정소비>시돌>반복>발화 이렇게 되면 최고 [(염구+몰열)+몰열+몰열+냉정불작+몰열] + 몰열 +몰열 + 냉정불작 + 몰열 = 7몰열+2불작+1염구 이렇게 까지 넣을수 있게됩니다. 이런순간이 잘안올것까지만 못해도 4몰열 이상은 꼭옵니다.
요새 트라이를 많이 하다보니 같은 사이클 반복 해서 넣을때가 많은데,
발화딜이 옛날의 그것을 착각하게 만들정도로 강력하게 박힐때가 많습니다.
위의 쿨기를 몰고있을땐 지작을 쓰시면 절대 안됩니다. 지작을 써버리면 지작은 낮은 작열값이 쌓여잇는 작열값을
낮은 평균 작열값으로 수렴시켜버립니다. 쿨기를 모는 의미가 없어져버립니다.
그리고 당연히 폭탄류를 리필하여 방화광 버프가 있을때 쿨기를 모셔야합니다. 없을때 몰면...피해량 10%가없어서
뼈아프게 느껴지실겁니다.
이상 간단한 화법 딜사이클 팁 이였습니다. 화법유저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EXP
377,767
(49%)
/ 396,0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저번주 돈을 아꼈더니 천중템이 522 반지 하나ㅋ
템 좀 먹고 다시 화법으로도 놀아야겄음ㅋ
설사 비법이 조금 더 강할지라도 5.1에 너무 지겹게했으니...
화법글이 없어서 하나 써봤습니다.
윗분들 말처럼 화법하세요!
생각보다 재밌어요
근데 한가지 조심할것은 몰열+소몰열 상태를 만들기 위해
불작디버프를 유지하지 않는것은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본문에 언급이 없길래 조심스럽게 적어봅니다.
그런데, 사이클이 한번 맞물려 돌아가면 불작도트 유지는 끊임없이 되더라구요!
문제는 풀버프 극대 33~35% 만되면 신경안쓰셔도 유지가 된다는점!
작열 애드온이 세팅이 되지 않는 현시점에서 3크리를 어떻게 확인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던질때 크리뜨면 커다란 숫자가 팍~ 하고 뜨잔아요 눈에 아주 잘띄는데..;ㅁ;
그리고 아주 간단히 생각하신다면 시돌 전에 불작이 3방이상 던져지면 그 3방이 전부크리뜬거에요 냉정불작, 띄어놓은 몰열불작, 띄어놓은 열기버프에 크리가 더해진 또한번의 몰열불작, 요렇게요. 4방던져지면 앞에 던진 3방이 전부 크리가 떴다는거구요. 이럴 확률은 50트하면 한번정도지만..;ㅁ;
법사는 뭐..딱히 정해져있는게 아니라서..
상황에 맞게 쓰세용..
법사 키우는데 도움에 많이 되겠네요
화법 화이팅 ㅋㅋ
저도 법사 키우다 술사로 전환했는데..
화법 연주가님때문에 다시 키워봐야겠네요..
단일보스일때 황폭 써보세요
미터기에 살폭이차지하는딜향이 6~9%인데 황폭 14~17%?나오더군요
염구를 땡기며라는 부분이 이해가 잘안가네염 염구를 땡긴후 크리가뜨면 소몰열이 없어지고 냉정 시돌을 쓰게 되서요. 아니면 쌍몰열후에 냉정+시돌+염구 이건가요?
궁금해 죽겄네요 ㅎㅎ 좋은글 감사드리구요. 답변좀 부탁드려용~
냉정, 시돌 몰열 빠르세 순서대로 눌러줍니다. 그러면 한큐에 다 돌아갑니다.
이게 조금 힘드신분은, 냉정을 빼는것도 괜찮습니다. 냉정을 별개로 쓰시는것도
나쁜방향은 아닙니다.
단순 합산이라면 몰열을 최대한 쑤셔 넣는게 좋겠지만 그게 아니라 평균값으로 들어간다면 발화 박기전 몰열을 최대한 날리는 것보단 2~3방만 쓰고 발화를 박는게 더 유리할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후자가 맞다면 냉정 불작은 아예 안쓰는게 더 나을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구요.
지식의 모지람으로 인해 판단이 힘드니..혹시 정확한 작열 공식이 있다면 공유좀 부탁드립니다.
쉽게 생각해서 작열값이 높은것들(몰열크리같은)이 연속해서 쌓였을때 발화가
가장 좋습니다. 저렇게 쿨기를 모는 이유는 크리가 잘뜨면 엄청 높은 작열값이
나오는것도 한이유이고, 또다른것은 기본 평타로 중첩되더라도 흔히 말하는
똥..발화는 피할수있어서 입니다. (물론 사이클 돌리다가 3연크리 불작일때 . 이런때
발화박는건 좋습니다. 단..그뒤에꺼도 크리가 뜨지않을까 하는 기대와 확률땜에 더 쑤셔 넣는거죠)
쿨기를 몰기전에 쌍몰열을 보여상태일때, 살폭을 강제 리필 해주면 좋습니다.
그럼 방화광 버프가 다시 리필되니 그동안 충분한 쿨기를 몰수있을겁니다.
혹시나 깜박해서 중간에 쿨기가 도중 끊기면, 시돌복원되기전 리필이 가장 좋습니다.
불작 보다 셈( 조만간 다시 너프? )
이게 꿀팀인듯요 ㅎㅎ
또 가속이나 치타 비율은 어느정도 맞추는게 좋을까요?ㅋ
나름 좋은 내용이라고 생각하고 추천을 드리고
다른서버는 몰라도 저희서버에서는 화법보는게 힘들정도입니다.
5.1때 발화데미지50% 하향되고부터였지요. 레이드가서도 비법안타서 딜이 안나온다고 쫓겨도 나봤었습니다.(그런데 그때 생각하면 영봄에서 딜 나오기도 힘든것 같고;)
희망따위는 버리지만 그래도 화법을 고집하는건 재밌기 때문 아니겠습니다(__)
아 그리고 마지막 '3'에서 발화의 최고 시전은 위한 준비인데
몰열 + 소몰열 상태에서 시돌 -> 몰열 날리고 지작 몰열하고 다시 날리고 -> 그리고 화염구 시전하고 살폭 아슬하면 한번 다시걸고 -> 시돌 돌아오면 위와같이 다시 날리고
->이떄, 저는 발화의 최대 중첩량을 체크합니다. 최소 3만은 되야 발화데미지가 1만5천이 들어가는거고, 6만이 되면 3만이 들어가는거니까요.
(제 현재 최대치는 일반 영던 기준으로(다른 클래스 버프도 받았겠죠;) 발하 23000정도 띄웁니다. 공찾에서는 유효 버프같은게 있으니까 잘 활용하면 발화 5만도 띄우니 참고하시길...)
단,발화박기전에 지작을 섞는건 아주 비효율적으로 생각합니다.
작열값이 기반이되는 발화입니다. 높은 작열값은 근본이 되는 불작몰열을
던져놓고 지작을 쓰게되면 작열값이 반토막 납니다. 쉽게 허수아비로 몰열이후
지작을 박아보면 확실히 아실수 있을겁니다.
일단 지작으로 날리면 몰열이 돌아오는걸 '크리'라 생각하고 쓰거든요;;
그래서 그런걸수도 있고 확실히 최대치가 줄어들꺼라는 생각도 하면써 써야겠네요.
(그런데 10번 이렇게 날려서 7할은 크리가 터지다보니;; 욕심만 늘어난것같네요;;)
매크로도 안쓰고 수동으로(눈으로) 하다보니 그리된것고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