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목차입니다.
1. 물리고술 vs 원소고술
2. 스텟
3. 특성
4. 딜 사이클
5. 장신구 및 티어 그리고 제작템
1. 물리고술 vs 원소고술
해당 의견은 작성자의 개인의견입니다.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개인적으로 딜적인 포텐은 물리고술도 밀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깊뿌정이 메인인 물리고술 빌드는 그 랜덤성 때문에 딜적인 낙차가 커 원소고술보다 안정성이 많이 떨어집니다.
예시로 특정구간(세나스 거미쫄딜 등)에서 승천이 발동하지 않는다면 딜이 밀린다던가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물리빌드는 테로스 등 다른 외부적인 요인없이 네임드 단일을 미는 구간에서만 채택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영웅 올킬에서 모든 넴드 물리빌드를 사용하시는 분도 있으시며 DPS 차이가 2만 3만씩 나고 그러진 않습니다.
다만 고술을 처음 하시는 분들은 어렵더라도 원소 트리를 연습하기를 권장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쐐기나 레이드 모두 대학같은 특정 던전, 상황이 아닌 이상 5 ~ 8타겟이 많으며, 이는

두 스킬을 구간마다 사용할 수 있어서 가속과 데미지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
2. 스텟
2차 스텟은 가속을 최소 20%를 맞춘 후 특>치>유 순입니다.
고술은 최소 가속이 있어야 스킬 사이클이 부드럽게 돌아갑니다. 20% 미만이시면 가속을 1순위로 맞추시고 가속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시면 특화를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아래는 작성자 스텟입니다.

현재 7넴 반지가 없어 가속이 높은 편이지만 7넴 반지를 먹고 특화를 더 챙길 예정입니다.
자세한 스텟수치는 와우 전정실에서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특성
원소빌드 위주로 설명할 예정이며 물리빌드는 테로스 기준으로면 설명드립니다.
1. 레이드 원소빌드(단일)

레이드 단일 특성입니다. 원시의회, 다우르나, 테르 같은 광을 치거나 오직 단일만 치는 네임드를 제외하고 전 네임드에서 해당 특성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어둠땅 쐐기 빌드인 강령 뜨손용채우폭 빌드를 사용합니다.
조금 다른점은 정기 작렬을 같이 채용할 수 있어 단일에서 더 강력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어둠땅 때의 딜 사이클과 비슷하며 소돌을 정작으로 소모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딜 사이클은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BcQAfcj78nJtvjmejSqe5Zhm9IJJpEJgkEikkQJhAAAAAAAAAAAAAQJCRIhUEgUSSSDEEJJA
2. 레이드 원소빌드(광)

기본적으로 단일과 비슷합니다. 다른점은 정기작렬 라인을 빼고 낙뢰와 몰아치는 폭풍을 찍는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낙뢰를 묻히고 연번과 우폭버프가 된 냉충을 소모하여 딜을 합니다.
3. 레이드 물리빌드

폭격을 위주로 딜링하며 깊뿌정을 통해 승천을 발동시켜 소돌 수급과 딜링을 강력하게 하는 빌드입니다.
깊뿌정이 많이 발동되도록 신에게 빌어야 하는 빌드입니다. 발동이 잘된다면 다른 모든 클래스를 씹어먹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지만 한번도 발동되지 않는다면 나락으로 처박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승천이 발동되면 빠른 소돌 수급으로 10스택 정작 사용과 전하충격, 토림으로 인한 5 ~ 10스택 번화로 강력한 단일딜을 보여줍니다.
4. 쐐기 우폭빌드

레이드 단일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은 특성입니다. 다른점은 질토가 빠지고 낙뢰를 채용하여 쫄 구간에서 낙뢰를 이용해 소돌수급, 광딜 쪽을 더 중점적으로 주어습니다. 이는 폭군같은 단일 위주의 특성이며 경화는 낙뢰와 경우에 따라서 폭풍의 합일을 채용하기도 합니다.
4-1 원소빌드
원소빌드의 핵심은

로 인한 가속 증가와 소돌 수급으로 쿨을 줄인

의 사이클을 얼마나 잘 돌리냐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딜링 상위 스킬은

이지만 10스택 정작을 더 많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위의 두 가지 스킬이 중요합니다.
간단한 오프닝 딜 사이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타겟일 시
늑정 -> 태고의 파도 -> 폭격 -> 정작 -> 5 소돌 이상 수급 -> 번화 -> 한랭의 일격 -> 우폭냉충 -> 용채 -> 폭격 등의 소돌 수급 -> 정작이 2스택이 아니라면 10 스택 정작 -> 정작이 2스택이라면 6 ~ 8 스택 정작
2 타겟 이상일 시
늑정 -> 화충 -> 다른 타겟 태고의 파도 -> 용채 -> 폭격 -> 번화 -> 한랭의 일격 -> 우폭냉충 -> 이후 1 타겟과 동일(2 타겟일 때는 정작 위주 소모, 3 타겟 이상일 때는 연번 위주 소모)
기본적으로 최대한 다중 타겟에 화충을 바르고 태고의 파도의 버프를 수급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타겟 이상일 경우에는 최소 5타겟 ~ 6타겟에 번화를 날릴 수 있도록 해주세요.
스킬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6 ~ 8 스택 이상 정기작렬
2. 한랭 + 우폭냉충
3. 6 ~ 8 스택 이상 번화
4. 폭격
5. 뜨손용채
6. 냉충
7. 낙뢰
폭격을 뜨손용채보다 우선순위로 올려둔 이유는 고술 2티어 효과인 뎀증 버프를 받기 위해서이며, 폭격 후 다른 스킬을 사용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게 좋습니다.
실제로 올 버프 기준 제 캐릭이 10스택 정기작렬이 대략 54만 정도 나옵니다. 폭격을 사용하지 않고 정작을 띄운다면 49만이 나올테니 생각보다 데미지 차이가 커다랗습니다.
이후 딜사이클은 위의 우선순위 기준으로 스킬을 사용하시며, 쿨이 올 때마다 늑정과 태고의 파도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의점은 태고의 파도를 사용하면 꽁으로 10소돌이 수급되니 늑정과 태고의 파도가 비슷하게 올 경우에는 늑정을 먼저 키시고 태고의 파도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늑정이 20초 이하일 경우에는 늑정을 킨 후 태고의 파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4-2 물리빌드
물리빌드는 간단합니다. 폭격과 정작을 1순위로 두시면 됩니다. 용채는 폭격이 놀고있거나 화충이 없어질 경우에만 치고 한랭의 일격과 냉충 또한 폭격이 놀고 있을때만 사용합니다. 폭격을 더 자주 사용할수록 승천 발동이 용이해지며 승천이 많이 발동해야 딜 퍼포먼스가 증가합니다.
스킬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10스택 정작
2. 폭격
3. 6 ~ 8스택 정작 및 번화
4. 한랭의 일격 및 한랭버프 우폭(소돌 수급을 위해)
5. 용채
가능하면 폭격을 자주 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4-3 번외 쐐기와 유틸
쐐기는 레이드 딜 사이클과 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이번 시즌 쐐기 특성상 대학 같은 특정 던전을 제외하면 5 ~ 8타겟을 유지하며 이는 태고의 파도 버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요건이 됩니다.
따라서 6스택 태고의 파도를 사용하여 가속 60%를 챙기신 후 낙뢰, 연번 후 8 ~ 10스택이 된 우폭냉충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고술이 경우 쐐기에서는 냉기 충격이 딜 1순위를 달리며 그 다음이 용채, 정작, 번화 순입니다.
쐐기에서는 유틸적인 부분도 챙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공용 특성으로 변경된 천둥폭풍은 아래 라인의 천둥충격으로 멀리 퍼트리는 것이 아닌 위로 띄울 수 있습니다.
별궁의 임프와 같은 곳에선 세분메의 행불, 천폭, 축전 토템으로 혼자서 모든 차단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유틸적인 측면에서도 연구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5. 장신구 및 티어 그리고 제작템
결론부터 말하자면 티어는 바지제외 4셋 입니다. 티어 바지는 고술에게 가장 필요없는 치명타 유연 스텟을 부여하고 영웅 7넴에서 가특 바지와 가특 희귀 반지를 드랍합니다. 따라서 고술에게 가장 비스 티어는 7넴 바지 + 4셋입니다.
장신구는 헌징의 징표와 대학 상자 장신구 고정입니다.
징표는 탱 딜 힐 모두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 때 신화 기준으로 스텟 종합치를 1000 넘도록 올려줍니다.
고술은 특화빨을 많이 받는 클래스 중 하나에 속합니다. 따라서 대학 장신구는 고술에게 가장 좋은 장신구 입니다. 제 기준으로 421 노쿠드 장신구보다 405 특화 장신구가 더 높은 딜 기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물리, 원소 모두 해당되며 고술을 플레이 하시는 분들은 필히 대학 장신구를 준비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제작템은 개인 취향입니다. 개인적으로 고술에게 비스 무기는 그림토템 장착무기이기에 5 ~ 6신화를 하지 않는이상 비스 무기를 먹기는 힘듭니다. 따라서 무기를 제작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이외에는 허리와 등에 제작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허리는 가특이 없으며 루비에서 드랍하는 등은 가속이 높기 때문입니다.
저는 최종적으로 목, 등, 허리 제작템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맹독 장화와 장식에 대한 얘기는 밑에서 하겠습니다.
5-1 번외 장식
맹독 장화와 물약 장식은 고신화와 영웅 ~ 저신화로 갈린다고 생각합니다.
제 캐릭터 기준으로 궁극 힘물약을 먹을 경우 어떻게 심크를 돌려도 물약 장식이 맹독 장화를 뛰어넘습니다.
궁극 힘물약은 1차 스텟을 2성이 770, 3성이 886 이라는 괴랄한 증가율을 보여줍니다. 물약 지속시간이 늘어날 수록 딜이 좋아지는 것은 당연하며, 물약을 두 번 먹을 수 있는 전투에서는 개인적으로도 맹독 장화보다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고신화를 노리시는 유저분이시라면 초반에는 맹독 -> 물약 장식으로 넘어가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6. 마치며
이번 시즌 고술은 쐐기든 레이드든 확실히 1티어 입니다. 딜도 딜이며 쐐기에 레이드에서 유틸도 충분히 챙길 수 있어 어디서든 한자리는 차지할 수 있는 딜러라고 생각합니다.
초보 고술분들이 이 글을 보며 연구하며 자기식으로 사이클을 돌려 잘 돌릴 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이드 감사합니다
쐐기에서 정작 대신 연번 찍고 가면 별로일까요?
광 기준 낙뢰는 쿨마다 쓰시나요?
1. 원소빌드는 둠땅의 경우 뜨손용채가 최우선이어서 8초동안 4번을 우겨넣는게 딜의 핵심이었고 용군단도 같게 생각했는데 2셋효과인 폭격을 우선시 하시네요. 만약 폭격 - 태고 번화 또는 폭격 - 정작이면 몰라도 폭격후 버스트 딜링을 할 수 없다면 뜨손용채를 우겨넣는게 딜이 더 좋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원소빌드에서 폭격은 2셋 효과로 돌리는 필러기인데, 강한 딜을 내는 뜨손용채보다 항상 우선순위가 위인지 잘 이해가 안되어서요.
2. 물리빌드가 소돌이 엄청 잘 쌓이다 보니 폭격치다보면 소돌이 금방 10이 되는데요, 소돌 10스텍에서 폭인폭격이 오는 경우엔 무조건 10스텍 소돌부터 쓰시나요? 저도 같은 생각으로 처음 단일을 쳤는데 랭커 승천 업타임과 비교해보니 폭격 횟수랑 승천 업타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처럼 보여 폭격을 먼저쓰고 쿨일때 소돌을 써서 서리유산을 이용하는게 현자타임 관리에 좀더 수월했었습니다. 다만 종합딜에선 어떤게 더 좋은지 확실히 모르겠네요. 운이나 가속차이 때문에 그런건지..
마지막으로 이런 내용은 직접 부딪혀서 겪는건지, 아니면 심크를 다 돌리시는 건가요? 시즌 초 트렌드가 바뀌면 로그 찍기 어려운데 정보를 어떻게 얻으시는지 궁금합니다.
2. 정작이 돌아왔을 땐 정작을 우선으로, 아닐 땐 폭격이 쿨일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3. 심크는 아이템 비교나 스텟 참고용으로만 사용합니다.
딜 사이클은 제가 직접 이것저것 확인하면서 익히는 편입니다.
이번시즌 해보니 스킬이 늘어서 우선순위 정하는게 좀 어렵더라구요
쐐기 광딜에서의 오프닝 사이클이랑 이후 사용 우선순위 좀만 자세하게 풀어주실 수 있을까요
이후 한랭의 일격 + 최소 6 스택 이상의 우폭냉충으로 딜하는 편입니다.
가능한한 쿨마다 낙뢰를 돌려 1소돌이라도 수급하기 위해 노력하는 편이며 2타겟일 때는 정작을, 3타겟 이상일때는 연번으로 소돌을 소모합니다.
제가 생각했던것보다 더 위네요
저는 추뎀보다는 자원 생성쪽 측면에서 도움이 많이 된다고 생각해서 폭격을 더 써보려고 했습니다 ㅎㅎ
태고쓰면 10소용돌이 생기고 폭격을 쓰면 소용돌이 오버될거 같은데 그럼에도 폭격 후 정작을 쓰는건 2티어 효과 때문인가요?
위에 글에도 적었듯이 개인적인 딜 사이클이기에 참고만 하시고 개인에게 좀 더 효율적인 사이클을 찾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을 드리자면, 호르륵님께서도 답변주신 것처럼 뜨손용채가 된다고 해도 무지성 용채를 클릭할 수 없습니다. 이는 어둠땅 때에서도 마찬가지 였구요.
블러드나 가속버프가 없는 상태일 때에는 뜨손 버프가 뜨더라도 1초 정도의 쿨타임이 있으며, 이 사이에 폭격이나 10정작 같은 사이클을 돌리시라고 권장해 드린겁니다.
뜨손용채보다 우선순위를 높게 책정한 이유는 앞서 말했듯이 데미지 10프로 버프가 모든 스킬에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단일사이클에 태고 10정작 5소돌 번화라고 하셨는데 이러면 태고버프 번화가 들어가는건가요?
그리고 정작 1스택 2스택 차이가 먼가요?ㅠ
태파 버프는 화충이 대상인 사람에게 1소돌이든 0소돌이든 번화가 시전되면 받습니다.
스택 차이는 특성 중 분노의 소용돌이의 데미지 퍼센트 차이입니다.
1스택당 5%이기에 2스택이어도 10%의 데미지 차이가 발생합니다.
2타겟이상일때 화충 빼고 바로 태고파도쓰고 용채로 퍼트리고 번화쓰면 글쿨 한번 줄일수 있지않을까요??
4-1 원소빌드 딜 사이들 중 1타겟일시
늑정 -> 태고의 파도 -> 폭격 -> 정작 -> 5 소돌 이상 수급 -> 번화 -> 한랭의 일격 -> 우폭냉충
여기서 늑정->태파->폭격->정작-> 이후 10스택 우폭냉충은 킵한상대로 5소돌을 다시 번화로 사용하시는건가요?
4-2 물리빌드 딜 설명에서
한랭의 일격 및 한랭버프 우폭(소돌 수급을 위해) 라고 쓰신건 한랭버프 냉충을 오표기 하신거 맞으신가요?
감사합니다.
회오리치는 소용돌이 특성을 찍지는 않아서 한랭 버프 냉충 자체로는 자원수급은 불가능합니다.
다만 2셋 효과로 인해서 폭격 후에 아무것도 할 것 없을 때 냉충을 쏘는건 마엘 1개를 얻을 수는 있겠네요
일단 스탯을 어떻게 챙겨야하나가 고민입니다.
특화가 너무 높은거같아서 특가로 맞추던걸 가특으로 맞춰서 현재
특화 41퍼 가속 20퍼후반 맞췄고 치명이 19퍼인가 그런데유연이 너무 낮습니다.
템셋팅에 따라 3~5퍼 왔다갔다 하는데 유연을 좀더 챙겨야하나요?
그리고 혹시 낙뢰는 광칠때도 후순위로보고 우폭냉충이랑 연번으로 광친다고생각해야되죠?
정작이 2스택이 아니라면 10 스택 정작 -> 정작이 2스택이라면 6 ~ 8 스택 정작
이게 이해가 잘 안됩니다 정작이 2스택이라는 말이 무슨 뜻이져?? 정작을 두번써서
스택이 쌓인상태인가요?? 정작도 스택이 쌓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