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판다렌 대지의 정령
* 사용펫
1) 판다렌 대지의 정령(정령) - 1769/334/300 - (돌던지기, 파열, 수정감옥)
2) 물컹이(동물) - 1769/300/334 - (수액 접촉, 끈적이는 수액, 유출)
3) 땅꾼 다르나크(야수) - 1975/300/300 - (숨기, 돌가죽, 돌멩이 메치기)

* 패턴
1) 판다렌 대지의 정령의 패턴
수정감옥 - 파열 - 돌 던지기 - 돌 던지기 - 돌 던지기 - 파열 - 수정감옥 - 돌 던지기 - 돌 던지기 - 파열 ......

2) 물컹이의 패턴
유출 - 끈적이는 수액 - 수액 접촉 - 수액 접촉 ......

이하 반복

3) 땅꾼 다르나크의 패턴
돌가죽 - 숨기 - 숨기공격 - 돌멩이 메치기 - 한턴 쉼 - 돌멩이 메치기 ......

이하 반복

* 극속 토끼로 보는 공략 기보 예시
** 주의: 해당 방법은 단지 쉽게 클리어하는 것 뿐 재미를 반감시킬 수 있습니다. 패턴을 통해 여러분만의 공략 방법을 만들어 보시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릅니다. **

 - 판다렌 대지의 정령이 쓰는 공격기인 파열과 돌 던지기는 동물 속성인 토끼에게 데미지가 적게 들어가며, 수정 감옥은 아예 무시가능하다.

 - 물컹이는 수액임에도 동물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토끼의 '숨기'는 동물계에 강한 공격을 가지고 있다. 단, 이거 하나만으로 토끼가 물컹이를 상대하기엔 애매하다. 물컹이는 토끼가 극속이 아니라면 선턴을 잡아버리는 숭악한 스피드와 언제 공격을 피해야 할지 모르는 애매한 기술로 무장하고 있기 때문에 토끼 하나로 모두 평정하기에 물컹이는 상대하기 애매하므로 물컹이를 이길 수 있는 다른 펫 하나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 땅꾼 다르나크의 경우 극속 토끼로 스킬을 제때 눌러주기만 하면 '한대도 안맞고' 이길 수 있다.

1펫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물컹이 or 판다렌 대지의 정령이다.

판다렌 대지의 정령
1턴: 질풍 vs 수정감옥(수정감옥은 동물 종특으로 무시가능. 게다가 후턴에 쓰기 때문에 해당 턴을 방해하지조차 못한다.)
2턴: 회피 vs 파열(회피로 파열이 무시된다)
3턴: 질풍 vs 돌 던지기(이번 턴까지 유지되는 회피로 돌 던지기가 무시된다)
4턴: 질풍 vs 돌 던지기(맞고 버티는 턴1)
5턴: 질풍 vs 돌 던지기(맞고 버티는 턴2)
6턴: 숨기 vs 파열(숨기의 회피 효과로 파열이 무시된다)
7턴: 숨기공격 vs 수정 감옥(이 숨기공격의 적중 여부가 판다렌 대지의 정령을 매끄럽게 공략하느냐의 키포인트. 해당 공격이 적중하지 않았다면 2턴 가량을 더 끌게 될 것이므로 그만큼  불리해진다.)
8턴: 질풍 vs 돌 던지기(7턴까지의 공격이 제대로 들어갔다면 이번 턴에서 승부가 날 것이며 안되더라도 9턴에서 끝날 것이다. 회피를 쓰면 되지 않느냐고 물으신다면, 그건 판다렌 대지의 정령이 1펫으로 나왔는데 토끼가 거의 죽어갈 경우 최후의 발악으로 쓸 때이다.)
9턴: 질풍 vs 돌 던지기(확실한 마무리)

물컹이 - 약간의 운이 필요하므로 1턴에서 다른 펫으로 교체를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교체를 하지 않는다면 기보는 다음과 같다. 토끼는 물컹이를 상대하기에 애매
1턴: (회피 or 질풍) vs 유출(유출의 적중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깡으로 질풍을 써도 되지만, 상기 기록한 대지의 정령과의 싸움이 길어져 토끼의 피가 적다면 회피로 시간을 버는 것이 나을 수 있다.)
2턴: (질풍 or 회피) vs 끈적이는 수액(1턴에서 회피를 쓰지 않았다면 이번에 반드시 써야 한다. 끈적이는 수액의 도트는 회피가 불가능하다.)
3턴: 질풍 vs 수액 접촉(회피를 2턴에서 썼다면 이번 턴의 수액 접촉을 무시 가능, 그렇지 않다면 맞고 버티는 턴)
4턴: 질풍 vs 수액 접촉(맞고 버티는 턴)
5턴: (질풍 or 숨기) vs 유출(맞고 버티는 턴. 그러나 여기까지 왔다면 이미 토끼의 피해가 심각하기 때문에, 숨기로 최후의 발악을 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a 펫으로 땅꾼 다르나크를 잡을 수 있는 경우며, 아직 피에 여유가 있다면 이 유출을 맞고 버틴다.)
6턴: (숨기 or 숨기공격) vs 끈적이는 수액(숨기를 쓸 경우 끈적이는 수액이 무시된다. 숨기공격으로 피해를 줬을 경우 끈적이는 수액에 꼼짝없이 맞게 되며, 토끼의 피가 충분치 않다면 시한부 목숨이 된 토끼로 최후의 발악을 준비하자.)
7턴: 숨기공격 or 질풍 vs 수액 접촉(버티는 턴)
8턴: 질풍 vs 수액 접촉(마무리 턴)

땅꾼 다르나크 - 여기까지 토끼가 살아있다면 토끼 하나만으로 모두 평정을 한거나 다름없다. 만약 저렙 펫을 쩔한다면 마법, 기계펫을 권장하며, 한대 맞고 다시 토끼로 교체하면 문제없다.
1턴: 질풍 vs 돌가죽 (돌가죽 시전 이후 질풍의 데미지가 반감되지만 어짜피 한대도 안맞기 때문에 상관없다.)
2턴: 질풍 vs 숨기 (숨기가 후턴이므로 때릴 수 있다.)
3턴: 회피 vs 숨기공격 (숨기공격이 후턴이므로 피할 수 있다.)
4턴: 질풍 vs 돌멩이 메치기 (회피가 남아있으므로 돌멩이 메치기까지 피할 수 있다.)
5턴: 질풍 vs 턴 넘기기 (상대가 쓸 기술이 없어서 턴을 넘긴다.)
6턴: 숨기 vs 돌멩이 메치기 (숨기의 회피 효과로 돌멩이 메치기가 무시된다)
7턴: 숨기 공격 vs 돌가죽
이하 2턴에서 다시 반복.

2) 판다렌 불의 정령
* 사용펫
1) 진홍이(용족) - 1600/334/334 - (회오리바람,비상,용숨결)
2) 판다렌 불의 정령(정령) - 1600/334/334 - (제물,점화,지지기)
3) 반짝이(비행) - 1675/315/501 - (혼돈의 독침,불타는 독,떼)

* 패턴
1) 진홍이의 패턴
회오리바람 - 비상 - 비상공격 - 용숨결 - 용숨결 - 용숨결

이하 반복

2) 판다렌 불의 정령(불규칙)
제물,점화,지지기를 불규칙하게 사용하고 2턴 휴식. 다시 제물,점화,지지기를 불규칙하게 사용하고 1턴 휴식.

3) 반짝이
혼돈의 독침 - 불타는 독 - 떼 - 떼 - 떼 

이하 반복

* 공략 기보 예시

1) 진홍이 vs 극속 토끼

1턴: 질풍 vs 회오리바람 (회오리바람 사용 자체는 공격력이 없다. 이후 저게 무작위로 날뛰어서 문제일 뿐.)
2턴: 질풍 vs 비상 (질풍이 선턴이므로 해당 턴에 공격이 가능하다.)
3턴: 숨기 vs 비상공격 (숨기의 회피효과로 비상공격이 무시된다. 단, 비슷한 효과인 비상은 같은 비상공격을 피할 수 없으니 비상으로 비상공격을 피하려 하진 말것.)
4턴: 숨기공격 vs 용숨결
5턴: 회피 vs 용숨결(회피로 용숨결이 무시된다)
6턴: 질풍 vs 용숨결(회피의 잔여효과로 용숨결이 무시된다)

이하 반복. 단, 진홍이가 1펫이고, 6턴안에 진홍이가 마무리 된다면 생존기가 없는 상태에서 불의 정령과 마주쳐야 하므로  그것은 그것 나름대로 문제가 될수 있다.

2) 판다렌 불의 정령 vs 극속 토끼 - 불규칙하기 때문에 기보를 적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나, 간단하게라도 적는다.

1턴: 회피 vs 무작위 기술중 하나(뭐가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안전하게 회피를 하는 것이 좋다. 재수가 좋아서 제물을 피한다면 거침없이 두들겨주자.)
2턴: 질풍 vs 남은 두가지 기술중 하나(보통은 2턴에 지지기를 사용하는 편이다. 물론 그럴 확률이 높다는 것일 뿐 실제로는 지멋대로 쓴다.)
3턴: (숨기 or 질풍) vs 마지막 기술(이 턴까지 지지기를 안썼다면, 숨기를 굳이 쓸 필요도 없이 질풍을 써도 된다.
4턴: 질풍 vs 턴 넘기기
5턴: 질풍 vs 턴 넘기기
6턴: 회피 or 숨기 vs 무작위 기술중 하나(보통은 1턴에 썼던 기술을 다시 사용한다.)
7턴: 질풍 vs 남은 두가지 기술중 하나(보통은 2턴에 썼던 기술을 다시 사용한다.)
8턴: 질풍 vs 마지막 기술

3) 반짝이 - 반짝이는 토끼로 상대할 수 있는 성질의 펫이 아니다. 다만 물 속성이 아닌, 방벽 기술 계열의 펫에게 약하기 때문에 이런 펫을 대동하고 있다가 여기서 써주면 쉽게 공략이 가능하다. 기보에서의 예시는 에메랄드 새끼용을 기준으로 한다.

1턴: 에메랄드 형상 vs 혼돈의 독침(혼돈의 독침의 도트 데미지와 효과는 에메랄드 형상으로 모두 무효화된다)
2턴: 에메랄드 이빨 vs 불타는 독침(불타는 독침은 에메랄드 형상을 온전히 무시하는, 최대 생명력의 6%를 깎는 도트 데미지다. 그러나 반짝이가 에메랄드 새끼용에게 입힐수 있는 피해는 오직 이 불타는 독침 뿐이므로, 무시해도 좋다. 게다가 에메랄드 이빨은 비행 타입의 펫에 카운터다.)
3턴: 에메랄드 이빨 vs 떼 (떼의 모든 공격은 에메랄드 형상에 무효화된다. 다만 받는 데미지 100% 증가 디버프는 남는다.)
4턴: 에메랄드 이빨 vs 떼 (디버프가 있음에도 떼의 모든 공격은 에메랄드 형상에 무효화된다. 이유는 디버프의 효과를 받기 전에 에메랄드 형상에 데미지가 감소되는지 체크를 우선하기 때문이다.)
5턴: 에메랄드 형상 vs 떼 (에메랄드 형상은 아주 끝나 없어지기 전에 리필해주어야 그 효과를 계속 볼 수 있다. 판다렌 정령들의 펫들은 모두 에메랄드 새끼용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이하 에메랄드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계속 두들기면 끝.

3. 판다렌 물의 정령
* 사용펫
1) 말리(물) - 1600/300/375 - (수압,첨벙,소용돌이)
2) 살금이(동물) - 1675/334/315 - (물 분출,치유의 물결,해일)
3) 판다렌 물의 정령(정령) - 1769/300/334 - (소용돌이,간헐천,해일)

* 패턴
1) 말리의 패턴
소용돌이 - 첨벙 - 첨벙공격(소용돌이 터짐) - 수압충전 - 소용돌이 - 수압 발사 - 수압충전(소용돌이 터짐)......

2) 살금이의 패턴
살금이는 패턴이 없다.

3) 판다렌 물의 정령의 패턴
간헐천 - 소용돌이 - 해일 - 해일(간헐천과 소용돌이 모두 터짐) - 소용돌이 - 간헐천 - 해일(소용돌이 터짐) - 해일 - 소용돌이(간헐천 터짐)......

* 기보 예시
1) 말리 vs 오닉시아의 새끼 - 말리는 극속토끼보다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예 느리고 한방이 강력한 펫이나, 그것조차 따라잡는 속도를 가지고 있기도 하고 빠르기도 한 비행펫을 쓰는 것이 좋다. 여기서는 한방이 강한 펫인 오닉시아의 새끼로 설명한다.

1턴: 소용돌이 vs 꼬리 휩쓸기(장기전으로 가기 전에 한대라도 더 때리는 것이 좋다.)
2턴: 첨벙 vs 비상(상대가 미리 첨벙을 쓰는 것을 알고 있기에 사용할 수 있는 전략. 이후의 첨벙 공격은 무시된다.)
3턴: 첨벙공격 vs 비상공격(선턴인 첨벙공격은 무시되고, 아군의 비상공격은 들어간다. 다만 이런 공격류의 적중률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이 일격이 적중하지 않는다면, 다시 시작을 고려해봐도 좋다. 이후 소용돌이는 그대로 맞게 된다.)
4턴: 수압충전 vs 꼬리 휩쓸기(지금까지의 공격이 모두 적중했다면, 이 일격의 적중으로 말리는 끝난다. 더 장기전으로 가면 다른 펫으로 말리와 싸울 각오를 하는 것이 좋다.)

2) 살금이 - 살금이는 기보를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정해진 패턴이 없기 때문이다. 최대한 오래 버티면서 내가 눕기전에 살금이를 눕히거나, 아예 대 동물 학살 펫으로 교체하여 살금이를 잡거나 하면 된다.

3) 판다렌 물의 정령 vs 오닉시아의 새끼

1턴: 간헐천 vs 꼬리 휩쓸기(물의 정령은 바닥에 깔아두는 기술로 턴을 많이 낭비한다. 그동안 극딜을 하자.)
2턴: 소용돌이 vs 꼬리 휩쓸기
3턴: 해일 vs 꼬리 휩쓸기(살금이도 그렇고 판다렌 물의 정령도 해일을 사용한다. 계속 해일로 인한 피해가 누적되면 대기 중인 펫들이 죽어버릴 수 있으니 싸움을 빨리 끝내는 것이 좋다.)
4턴: 해일 vs 비상(이 4턴에서 소용돌이와 간헐천이 동시에 폭발한다. 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회피기를 사용한다.)
5턴: 소용돌이 vs 비상공격
6턴: 간헐천 vs 꼬리 휩쓸기
7턴: 해일 vs 꼬리 휩쓸기(마무리가 되는 턴)

4. 판다렌 바람의 정령
* 사용펫
1) 폴폴이(동물) - 1769/315/315 - (방향제,나방분진,누에고치)
2) 살랑꼬리(용족) - 1694/319/319 - (저공비행, 칼날 바람, 야생의 바람)
3) 판다렌 바람의 정령(정령) - 1694/319/319 - (촉촉한 안개, 야생의 바람, 칼날 바람)

* 패턴
1) 폴폴이의 패턴
방향제 - 누에고치 - 나방분진 - 턴 넘기기

이하 반복

2) 살랑꼬리의 패턴
저공비행 - 야생의 바람 - 칼날 바람 - 칼날 바람

이하 반복

3) 판다렌 바람의 정령의 패턴
촉촉한 안개 - 야생의 바람 - 칼날 바람 - 칼날 바람 - 야생의 바람 - 칼날 바람

이하 반복

* 카운터 펫: 작은 에메랄드 새끼용
1) 바람의 정령이 가지고 있는 모든 펫은 비행타입의 공격을 가지고 있고, 이는 모두 용족에게 약화되어 들어간다.
2) 작은 에메랄드 새끼용이 가진 기술인 에메랄드 형상은 난타계, 도트계의 공격에 강한 방어능력을 보인다. 그런데 바람의 정령이 가지고 있는 펫들의 공격 기술은 폴폴이가 쓰는 방향제를 제외하면 모두 난타계와 도트계이다.
3) 작은 에메랄드 새끼용이 쓰는 평온은 계속 유지시킬 경우 매턴당 140~170의 생명력을 회복시켜 준다.

버티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에메랄드 형상 - 평온 - 공격 - 공격 - 평온 - 에메랄드 형상 - 공격 - 평온 - 공격

이하 반복.

수면 등으로 턴이 꼬이더라도 에메랄드 형상이 1턴 남았을때 다시 리필해주는 것을 잊지 않으면 평온이 한턴 정도 끊겨도 버틸 수 있다.

장기전이 되지만 해당 전투에서의 안전성은 보장되며, 오래 걸리더라도 결국 승리하게 된다.





결국 이리 길게 썼지만 이것이 객관식의 정답 같은것은 아니며, 찾아낸 적의 패턴을 통하여 여러분들이 더 좋은 답안을 충분히 쓸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