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름 + 가문 대대로 물려지는 성

대표적으로 '린'가문을 들수있음. 그 가문의 특징과 성이 아무련 관련이 없는 경우.

인간한테 많이 나타남.

 

2. 이름 + 조상의 별명

대표적으로 '헬스크림'가문을 들수있음. 그롬마쉬가 전장에서 끔찍한 함성을 뱉어내서 붙은 별명이

그대로 성이 된 케이스.(실제로 이런건지 그냥 블리자드가 작명한 건지는 모르겠음)

자식한테 물려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와우의 대다수 캐릭터가 이런 작명법을 쓴다.

이런 작명법을 쓰는 캐릭터는 그 캐릭 본인이나 가문의 내력을 짐작해볼수 있다.

예를 들어 '블러드후프(피발굽)' 가문은 전투를 잘했거나, '윈드러너' 가문은 달리기가 빠르다고 볼 수 있겠다.

실제로 이 가문은 딸 세명이 모두 순찰자니..

 

3. 부모의 이름이 가문의 성이 된 경우

대표적으로 '블랙핸드' 가문을 들수있음. 블랙핸드 본인한테는 이름이지만 자식인 렌드와 마임에게는

성이 된 특이한 케이스. 1번 항목처럼 될 가능성이 있다.

 

4. 성같지만 성이 아닌 경우

대지고리회의 '레가르 어스퓨리'와 '멀른 어스퓨리'는 혈연적으로 아무런 관련도 없지만 성이같다.

(레가르는 오크고, 멀른은 타우렌이다.)

이것은 어스퓨리가 성이 아니라 주술사로서의 이명이기 때문이다. 어스퓨리(대지의 분노)라는 이명이

붙었으므로 대지의 정령과 특히 소통을 잘한다고 볼수있다. 마찬가지로 '에루낙 스톤스피커'나

'제번 스톰송'도 같은 맥락

 

5. 태어날 때의 특징이나 그 사람의 혹은 조상의 삶으로 이름짓는 경우

흔히 우리가 아메리카 원주민식 작명법이라고 부른다. 타우렌들이 굉장히 많이 쓰는 편(ex:용사 다크스카이)

그 사람이 태어날때 새벽별이 떠있다면 '새벽별', 독수리가 날아가면 '흰독수리', 이런식으로 짓는다.물론 영어로

2번 항목과 3번 항목과 비슷하게 변할때도 있다.

 

6. 성없이 이름만 있는 경우

와우에서 가장 많이 쓰는 작명법2. 성이 없으면 모두 해당되므로 4,5번 항목은 거의 다 이렇다.

오우거와 드레나이, 악마들에서 특히 많이 나타나는 것 같다.

악마들은 가문 따위 없을 것 같아서 이해가 되는데 오우거랑 드레나이는?

 

7. 실제 인물의 이름을 따온 경우

주로 개그나 이스터 에그가 많다. 아니면 고인을 기념하는 NPC나.

첸 스톰스타우트는 영화배우이자 감독인 '성룡'의 미국식 이름 '첸'에서 따왔다.

두 달의 제단에 있는 '바람파괴자 진호'는 폭풍저그 홍진호에서 따왔다.

판다렌 꼬마중에 은지원이 있다.  드레노어의 전쟁군주에선 헤비급 프로레슬러 '헐크 호건'을 패러디한

'럴크 로건'이 나온다.

 

8. 중국 발음을 그대로 가져온 경우

어떤 한자는 중국식으로 읽으면 꽤나 간지난다.

'레이 션'은 뇌신을 중국식으로 읽은 것을 그대로 영어로 옮겨온 것이다.

'쿤총'도 곤충을 중국식으로 읽은 것을 그래로 가져왔다.

이런 작명법은 판다리아에만 있으며 극소수이다.

 

9. 용군단식 작명법

용들은 성도 없고 이름뿐이지만, 특이하게 성별을 기준으로 이름뒤쪽이 다르다.

하지만 이러한 작명법을 안 지키는 용도 수두룩하다.

붉은용군단은 여성은 ~스트라자(~strasza), 남성은 ~스트라즈(~strasz)  작명법을 어긴 용은 없다.

푸른용군단은 남성은 ~고스(~gos), 여성은 ~고사(~gosa)  헬레란 용과 사피론은 작명법을 어겼다.

녹색용군단은 남성은 ~우스(ius), 여성은 ~에라(era)  작명법 안 지킨 용이 지킨 용보다 많다(..).

청동용군단은 남성은 ~오르무(~ormu), 여성은 오르미(~ormi)  마스코트인 크로미(크로노르무)는 어째

여성인데도 남자 작명법을 쓴다.

검은용군단은 남성은 ~이온(~ion)또는 ~이안(~ian), 여성은 ~이아(~ia) 용혈족부터 실험체에 이르기까지

워낙 잡놈들이 많기 때문에 작명법을 지키는 건 순수혈통 검은용만 해당되는 것 같다.

황천의 용군단은 남녀 가리지 않고 '~쿠'로 끝난다.

황혼용군단은 검은용군단과 작명법이 똑같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