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같이 보고 싶은 유머 글이나 이미지를 올려보세요!
URL 입력
이미지 업로드중입니다
(1/5)
URL 입력
ㅇㅇㄱ 지금 뜨는 글
- 계층 게임도 안뛰었는데 단독 2위라구 [12]
- 이슈 조희대는 헌재 가는게 더 긁힘 [18]
- 유머 낮잠 자도 월급 600만 원, 무슨 직장이길래 [11]
- 이슈 대법원 로그기록 [14]
- 이슈 최민희 의원 긴급 페북 [24]
- 이슈 고려대 로스쿨 교수의 글 [9]
![]() 2025-04-26 14:56
조회: 2,721
추천: 1
홍준표, 지가 말하고 지가 모르는 CBDC에 대해서 알아보자!![]()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Q : 비트코인같은 화폐 아니야? A : 아니다. 이건 중앙은행이 통제 가능한 디지털 화폐이다. Q : 지금도 인터넷 뱅킹이나 카드를 사용하는데 이것도 디지털 화폐라고 볼 수 있지않나? A : 아니다. 지금 우리가 카드나 인터넷 뱅킹을 하는것은 기본적으로 "실물화폐가 있다고 치고, 데이터로 숫자가 왔다갔다가 하는거다" 지금 A가 B에게 돈을 주려면, A가 인터넷 뱅킹이나 카카오페이를 열어서 입력 - A은행으로 데이터가 감 - B은행으로 데이터가 감 - B의 인터넷 뱅킹이나 카카오페이로 데이터가 이동 이런 순이지만, 디지털 화폐는 실물 화폐로 주듯이, A에게서 B에게로 "은행을 거치치 않고" 디지털화폐를 그냥 줄 수 있는 것이다. 즉, 우리가 돈을 거래하려면 은행을 거쳐야하지만, 1. 디지털 화폐는 디지털상의 돈을 2. 은행을 거치치 않고 3. 개인간 거래 할 수 있는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레코드 판이나 카세트 테이프로 음악을 들을 때는 내가 상대방에게 음악을 들으라고 주려면 실물이 필요 했지만, 디지털 화폐는 우리가 파일로 음악을 주는 것과 같이 보이지 않는 데이터를 화폐로 주는 것이다. 즉, "각국"의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전자화폐로, 국가에서 만들고, 국가에서 공인한 자산이라는 것이다. CBDC가 활성화되면 어떤 현상을 유추해볼 수 있느냐면 1. 은행은 그 기능을 상실 할 수 있다. 지금은 실물화폐를 맡겨놓고 데이터 상으로 돈을 우리가 주고 받는건데, 이젠 실물 화폐가 필요없으니 은행의 기능이 대폭 축소한다. 2. 개인의 돈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국가에서 000이름 딱 치면 주루룩 다 볼 수 있다. 그래서 국가 통제라는 것 때문에, 반발이 있을 수 있지만, 이것도 지금 해결방안을 논의중이다. 3. 미국 달러화의 힘이 줄어든다. 각국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화폐이기 때문에, 미국의 힘이 줄어들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그래서 트럼프가 되게 싫어한다. 가볍게 이렇게만 알아보자. 그리고 우리나라는 지금 CBDC를 지금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2017년부터 연구와 시험을 시작했으며, 25년 지금 "프로젝트 한강"이라는 이름으로 일반 이용자 대상으로 실거래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다른나라의 경우 중국, 일본, 나이지리아 등 여러나라가 시범운행이나 실험을 했었고, 스웨덴처럼 하다가만 나라도 있고, 덴마크나 에콰도르처럼 반대하는 나라도 있다.
EXP
168,536
(34%)
/ 185,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