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LG 트윈스 치어리더 복장 문제를 구조적으로 짚은 기사를 쓴 뒤,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게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에 전·현직 치어리더 약 40명에게 '인터뷰 요청' 메시지를 보냈고, 그중 4명이 응답해왔다. 폐쇄적인 문화 속에서도 어렵사리 용기를 낸 이들의 이야기를 전하며 후속 보도를 이어간다. 이 기사는 그 '용기'의 기록이다.

"해가 갈수록 수위 올라가... 누구를 위한 노출인지 모르겠다"

"의상이 점점 과해지고 있어요."

A씨는 프로야구 응원단에서 일했던 전직 치어리더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된 LG 트윈스 치어리더 의상에 대해 "하루이틀 일이 아니"라면서 "프로야구 10개 구단 모두 의상이 점점 과해지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했다.

A씨는 "처음에는 콘셉트에 따라 의상이 있었고, 어떤 구단에선 노출이 많은 의상을 허락해 주지 않았다. 원피스를 입더라도 최대한 노출이 없는 의상을 가져오라고 했다. 그런데, 해가 갈수록 점점 수위가 올라갔다. 사실 노출이 심할수록 SNS에서 조회수가 잘 나오긴 한다. 그렇지만 응원하는 데 필요 이상의 노출은 누구를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내가 이걸 문제 삼으면 예민한 걸까?' 싶은 마음에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라고 털어놨다.

현직 치어리더 B씨도 비슷한 이야기를 전했다. "요즘 야구장뿐만 아니라 농구, 배구, 축구 어디를 가든 여성 관중이 정말 많다"며 "가족 단위 팬도 많고, 친구들끼리 오는 여학생들도 많다. 스포츠 산업이 달라진 만큼, 이제는 의상과 퍼포먼스 또한 변화되고 있는 관중 구성에 걸맞은 방향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현실은 오히려 거꾸로 흐른다. 의상은 더 짧아지고, 더 붙고, 조명은 더 밝고, 카메라는 더 가까워진다. 이는 응원 퍼포먼스의 일부가 아니라, 전략적 노출이 된 지 오래다.

치어리더의 의상은 치어리더들이 대행사와 함께 선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것이 이들의 '입을 자유'였을까. A와 B씨는 단호하게 "아니"라고 답했다. 이들은 입을 모아 "우리가 무대 콘셉트에 따라 의상을 결정하고, 일부 의상을 수정도 하지만, 온전히 자율적 의상 선택권이 있다고 볼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슬슬 레이싱 모델처럼 일자리 삭제 분위기 만드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