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같이 보고 싶은 유머 글이나 이미지를 올려보세요!
URL 입력
-
계층
[1보] '71년간 韓 사목' 프랑스 출신 두봉 주교 선종
[30]
-
계층
[속보]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14]
-
감동
가수 션, 세계 최초 루게릭 병원 개원…GD도 1억 기부
[24]
-
계층
노빠꾸 상남자였던 아버지의 신혼 시절.
[17]
-
계층
"사형도 모자란데" 쓰러진 엄마.. '태권도 관장' 선고에 오열
[38]
-
계층
8년째 빨래를 걷지 못하는 이유
[21]
-
유머
로우킥 맞고 오버 떨지말라한 여자PD의 최후..
[55]
-
연예
엄지 여친 짤 (비비지)
[13]
-
연예
20대의 정우성
[25]
-
계층
혼자 애키우는 싱글남 어린이집에서 전여친 만남
[29]
URL 입력
- 기타 이해하면 무서운 사진 레전드 [18]
- 이슈 [속보]주말 외출시 날아갈지도 모름 [13]
- 기타 33살과 25살의 소개팅 [23]
- 계층 ㅇㅎ) 여동생 비슷한 녀석이니깐.manga [18]
- 기타 펌) 썸녀한테 말실수했는데 내가 너무 과한건지 알려주세요. [39]
- 계층 개미집 오나홀. [23]
![]() 2025-04-05 09:00
조회: 2,112
추천: 4
4월 5일 오늘의 역사![]() ❒ 오늘의 역사(4월5일) ❒ ✿2009년 4월 5일 북한, 장거리 로켓 대포동 2호 발사 ![]() 🔺️북한이 2009년 4월 5일 장거리 로켓 발사로 사실상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기술 능력을 입증했다. 이에 따라 북한은 1970년대 후반 미사일 개발에 착수, 1984년 스커드-B 미사일 개발에 성공한 이후 25년만에 ICBM 기술 보유국 반열에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북한이 발사한 로켓의 2단 추진체의 낙하지점이 애초 예고된 무수단 발사장 기점 3천600㎞에는 못미친 것으로 알려졌지만 1998년의 대포동 1호보다 더 멀리 낙하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ICBM 능력을 갖췄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날 발사된 로켓의 2단 추진체는 일본 동쪽에서 1천270㎞ 지점에 떨어졌고 이는 무수단 발사장으로부터 2천300㎞가량 거리인 것으로 추정된다. 1998년 대포동 1호 로켓의 2단계 추진체는 1천646㎞ 지점에 떨어졌다. 지금까지 인공위성을 자력으로 쏘아 올린 국가는 러시아,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영국, 인도, 이스라엘, 이란 등 9개국으로, 이들 국가는 모두 막강한 화력의 ICBM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ICBM 기술 보유가 갖는 국제정치 및 군사적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군사적으로도 최대 사거리 8천㎞로 추정되는 대포동 2호가 미국까지 사정권에 둘 수 있기 때문에 국제 안보지형에도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무수단리를 기점으로 미국 본토 서부까지는 1만1천㎞이지만, 하와이 7천600㎞, 알래스카 7천400㎞로 사정권에 들어간다. 미국의 태평양 전진기지인 앤더슨 공군 기지가 있는 괌까지는 불과 3천600㎞ 거리다. 탄두 무게에 따라 사거리를 충분히 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 본토까지 위협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물론 이날 발사한 대포동 2호에 탄두를 장착해 ICBM화 하더라도 그 사정권이 어디까지일지 현재로선 단언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ICBM의 경우 탄두가 대기권 안으로 재진입 해야 하며 그때 발생하는 초고열을 견딜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를 확보했을지 여부도 아직 불투명하다. 북한은 1998년 8월31일 사전 예고없이 함북 무수단리에서 사거리 1천500~2천500㎞로 추정되는 3단식 로켓인 대포동 1호를 발사해 국제사회를 놀라게 했다. 당시 1단계 로켓은 발사지점으로부 터 243㎞ 거리의 동해 공해상에 떨어졌고 2단계 로켓은 65㎞의 고도로 일본 열도 상공을 지나 1천646㎞ 해상에 낙하했으며 3단계 로켓은 궤도진입에 실패해 대기 중에서 타버린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하지만 탄도미사일이나 인공위성 기술 중 하나인 다단로켓 기술은 상당수준임을 보여줬다. 이후 북한은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키는 3단계 로켓의 고체연료 기술 확보에 나섰고 KN-02 미사일 개발로 소형로켓용 고체연료 기술을 확보했다. ▶2001년 ‘장구 인생’ 45년 김덕수 첫 독주회 ![]() 🔺️`김덕수 사물놀이패` 단장 김덕수씨. ▶2000년 모리 요시로 자민당 간사장, 일본 총리에 선임 ▶1999년 한얼교 창시 신정일씨 별세 ▶199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7호 고성오광대 예능보유자 조용배씨 별세 ▶1991년 한국-마샬군도 국교 수립 ▶1986년 전두환 대통령 유럽4개국 순방 등정 ▶1983년 북한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 ▶1982년 캐링턴 영국 외무장관 사임 ▶1982년 영국 기동함대, 포클랜드 탈환위해 출동 ▶1981년 국내외 과학기술자 종합학술 대회 참석차 북한 출신 재독일 과학자 5명 내한 ▶1976년 제1차 천안문사태 발생🔻 ![]() ▶1975년 한국-캄보디아, 단교 ▶1975년 대만 총통 장제스 사망 장제스, 루즈벨트, 처칠🔻 ![]() ▶1974년 나이로비 해양회담, 나이로비 선언 채택 ▶1972년 북한, 일본기자 17명에게 입북 허가 ▶1968년 전국 고교-대학생에 군사훈련 실시 결정 ▶1968년 체코 자유화 행동강령 채택 ▶1967년 미국의 유전학자 조셉 멀러 사망 ▶1964년 더글라스 맥아더 원수 사망 🔻 ![]() ▶1963년 라오스 내전 재발 ▶1963년 네덜란드 건축가 오우트 사망 ▶1961년 한국-그리스, 국교 수립 ▶1955년 처칠 영국 수상 노령을 이유로 사임, 후임에 이든 ▶1951년 로젠버그 부부 사형 선고 ▶1951년 경남 계엄사령부 김종완, 공비가장 거창사건 국회조사단 기습 ▶1949년 식목일 제정 ▶1945년 소련, 일본-소련 중립조약 파기 ▶1941년 조선만화가협회 발족 ▶1939년 민족운동가 남궁억 사망 ▶1937년 만포선철도 가설에 관한 각서 조인 ▶1929년 물방울 화가`로 유명한 한국의 서양화가 김창렬 출생 ▶1926년 양기탁 길림서 고려혁명당 조직 ▶1923년 남베트남의 대통령 구엔 반 티우 출생 ▶1918년 영국-일본-미군 블라디보스톡에 상륙개시 ▶1916년 미국의 영화배우 그레고리 펙 출생🔻 ![]() ▶1908년 오스트리아 태생의 관혁악단.오페라 지휘자 카라얀 출생 ▶1903년 가야금 명인 한수동 출생 ▶1902년 알렉신이라는 살균제를 발견한 독일의 세균학자 한스 부흐너 사망 ▶1901년`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시인 이상화 출생 ▶1864년 대원군 집정 - 왕을 대신한 섭정으로 19세기 후반 정치를 주도하다 🔻 ![]()
EXP
1,317,442
(14%)
/ 1,440,001
초 인벤인
이게 지구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