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이슈 갤러리 같이 보고 싶은 유머 글이나 이미지를 올려보세요!
URL 입력
-
계층
매우 수상하다는 한국의 우주 기술
[45]
-
계층
진짜 사나이 촬영중 리얼 100% 빡친 서경석...jpg
[27]
-
연예
외국인도 감탄하는 ITZY 유나 행사장 무보정 실물
[21]
-
계층
한개도 안웃긴 분 손!
[36]
-
유머
디아블로4 여자 드루이드 김OO
[19]
-
사진
17년 연습했다는 카메라 장노출 빛 아티스트
[15]
-
유머
나이가 조금씩 들면서 생긴 습관
[19]
-
유머
SKT 대리점에서 받았다는 유심교체 관련 지침
[29]
-
유머
하루에 게 50마리를 먹어치운다는 가오리 떼들.jpg
[14]
-
유머
늦둥이 여동생이 생기면 벌어지는 일.
[19]
이미지 업로드중입니다
(1/5)
URL 입력
ㅇㅇㄱ 지금 뜨는 글
- 유머 신천지 톡방에 나타난 씹덕 [14]
- 유머 나이가 조금씩 들면서 생긴 습관 [19]
- 계층 ㅇㅎ 박민정 딸기팬티 [15]
- 연예 이젠 2002도 응답해야 하네. [26]
- 계층 ㅇㅎ) 은근히 야하다는 치마 길이 [14]
- 계층 ㅇㅎ?) SNL 나온 김사랑 [14]
![]() 2024-12-05 16:28
조회: 3,132
추천: 1
게임대상 점수 비중, 알려진 것과 달랐다![]() 혹시 이상한 점을 찾으셨는가? 심사위원회가 어디에 점수를 더 줬네 덜 줬네를 따지기 전에, 점수 비율이 알려진 것과 좀 다르다. 바로 각각 20%씩을 차지한다는 국민/전문가 투표의 점수들이다. 심사위원회 점수가 60점 만점에서 46~56점을 받는 와중, 투표 점수는 20점 만점에 0.48~7.86점 사이에 그치고 있다. 점수가 매우 짜게 매겨지기에, 총점에 기여하는 비율도 훨씬 적다. 실제로 대상 수상작을 보면 총점 67.07점 중 심사위원회 점수 비중이 85.8%, 국민 투표 비중은 5.5%, 전문가 투표 비중은 8.6%다. 만점 기준 비중이 60:20:20인데, 결과값에서는 86:6:8 수준이다. 차이가 훨씬 커진 것이다. 그렇다면 왜 국민/전문가 투표 점수들은 저렇게 짜게 매겨진 것일까? 취재 결과 해당 점수는 전체 투표 수를 20점으로 놓고, 해당 작품이 얻은 표 비율을 20점 만점에 대입해 적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즉, 대상의 국민투표 점수 3.63점은, 전체 투표 중 18.15%의 득표율을 얻은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큰 문제가 발생한다. 앞서 설명했듯 국민/전문가 투표 점수는 100%라는 파이를 10개 가량의 후보작들이 나눠먹는 형태다. 몰표가 나오지 않고 표가 갈린다면 절반인 10점도 챙기기 어렵다. 반면 심사위원단 점수는 파이 나눠먹기식이 아닌 개별 채점으로 매긴다. 그렇기에 만점에 근접한 점수 활용률을 보여준다. ![]() 그렇게 결과가 상이하게 나오는 두 가지 채점 결과를 절대평가로 단순 취합해 총점을 매긴 것이 바로 게임대상의 선정 방법이다. 근본적으로 다른 채점 방식들을 같은 값으로 취급해 총점을 내다 보니, 60:20:20이라는 비율과 달리 심사위원단 점수 비중이 훨씬 높은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 기본적인 수학과 통계조차도 모르는 어처구니없는 행태다. ![]() EXP
672,259 (33%) / 720,001 인벤러
![]() 자체생산 게임리뷰 모음(~2023) 자체생산 게임리뷰 모음2(2024~) |
새로고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