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2일, 목요일 ❒.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한국 대학 공교육비, 초등학교보다 적은 기형적 구조 
→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초등 1만 4873달러 vs 대학 1만 3573달러... 

공교육비는 정부와 민간 재원으로부터 투입·지출된 교육비로 대학이 초등보다 적은 나라는 OECD 중 한국과 이탈리아 둘 뿐.(헤럴드경제)









2. 월드컵 예선 오만과의 원정 경기서 3-1로 승리했지만... 
→ 전술 안 보이고, 선수 개인기 의존, 
피파렝킹 76위 약체 상대 후반 중반까지 승기 못 잡아. 
3득점 모두 ‘1골 2도움’ 손흥민 능력에 의존.(세계)▼





◇홍명보 전술 ‘라볼피아나’ 안 보이고, 선수 개인기 의존… 갈 길 멀어
◇월드컵 예선 오만戰 개운치 않은 첫 승
◇변형 스리백에 기동력 떨어져 위기 자초해
◇76위 약체 상대 후반 중반까지 승기 못 잡아
◇3득점 모두 ‘1골 2도움’ 손흥민 능력에 기대
◇양민혁 등 벤치에… “세대교체 소극적” 지적



3. 헝가리 출산율 어떻길래 
→ 여당, 헝가리 출산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린 ‘헝가리 모델’을 시행한 노바크 커털린 전 대통령을 특강 연사로 초청해 저출생 특강. 

헝가리는 2011년 출산율이 우리(1.24)보다 낮았지만(1.23) 우리가 0.7%대로 떨어지는 동안 헝가리는 1.5%대로 상승.(문화 외)


4. 10대 스마트폰 이용률 99.6% 
→ 학교는 스마트폰과 전쟁중. 
초등 교사들, 
‘요즘 애들한테 스마트폰 뺏는다고 했다가 칼부림 날 것 같다’... 
게임하려고 ‘화장실간다’ 거짓말, 
지각은 일상, 등교거부까지 늘어. 사이버도박·왕따 도구로도 악용.(문화)




5. 세계 각국 청소년 스마트폰 금지법 추진 중 
→ 호주, ‘SNS 연령 제한법’(14∼16세) 연내 도입, 
영국, 모든 학교에 수업 시간 스마트폰 사용 금지 권고안. 
대만 2015년부터 청소년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 규제. 
2세 이하 영아는 금지, 어긴 부모는 최대 210만원 벌금.(문화)



지난달 20일 캐시 호컬 미국 뉴욕주지사가 교사노조 맨해튼 지부 사무실에서 SNS 사용에 따른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을 막기 위한 ‘어린이를 위한 안전법’(SAFE for Kids Act)에 서명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6. 국내 방송사도 생중계, 미 대선 TV 토론 ‘뜨거운 관심’ 
→ KBS 2TV, SBS, YTN 100분간 생중계. 
결과에 대해선 대부분 현지 매체, 해리스 우세 판정.(문화)







◇악수로 시작해 100분 난타전
◇에너지·낙태 이슈 격돌
◇해리스 "트럼프, 연방차원서...낙태 금지법에 서명할 것"
◇트럼프 "해리스, 취임하면...첫날 셰일가스 수압 파쇄 금지"
◇"트럼프에 가장 나쁜 밤"
◇트럼프 당선확률 52%서 49%로
◇10월1일 부통령 후보토론 맞대결


7. 한국, 주택도 고령화 
→ 2015년 16%에 불과했던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중, 2022년에는 23%로 빠르게 증가. 
특히 아파트의 경우 30년 이상 된 아파트가 2015년 5%에서 2022년엔 14%.(아시아경제)





◇30년 이상 노후주택 비중
◇2015년 16%→2022년에는 23% 증가
◇노후 아파트 증가 속도 특히 빨라
◇정비사업 척도인 멸실주택 수는 큰 폭 감소
◇수도권이 지방보다 멸실주택 수 크게 줄어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법안 발의됐지만...야당 동의가 관건



​서울 노원구 상계주공 5단지 사진=강진형 기자



8. 지금의 스타벅스는 ‘메뉴가 어렵고 제품 품질이 일관되지 않고, 대기 시간이 길고, 주문 상품을 받는 과정이 혼란스럽다’ 
→ 신임 최고경영자 브라이언 니콜의 진단. 
우리나라를 제외한 세계 각국에서 최근 스타벅스는 부진 중.(아시아경제)


9. 실업급여 2회 이상 탄 외국인 급증 …한 명 4905만원 받은 사례도 
→ 실업급여(구직급여) 반복수급이 나날이 늘어가는 가운데 실업급여를 2회 이상 수급한 외국인 근로자도 5년 새 3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도덕적 해이 우려.(중앙)



국적별로는 수급 대상이었던 외국인 1만2643명 중 한국계 중국인이 786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인(1718명)이 뒤를 이었다. 이들이 전체의 75%를 차지했다.







10. ‘설겆이’ vs ‘설거지’ 
→ ‘설거지’가 맞다. 
원래 ‘설겆이’가 표준어였지만 1989년 한글맞춤법이 개정되면서 ‘설거지’가 바른 표기로 바뀌었다. 
언중들이 많이 쓴다는 이유다.(중앙, 우리말바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