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들어가기에 앞서
  • 이전 빌드글에 이어 4번째 개선이네요.
    • 일일이 링크 첨부하기 좀 그래서 이전 글은 본 제목으로 검색해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빌드짜는 시간도 부족해서 파밍은 하루 5개 내외의 지도만 겨우 하는 수준입니다 ㅠㅠ 충분한 파밍시간만 있었다면 빌드의 고점도 소개해드릴 수 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 열심히 달리시는 분들이 많아 슬슬 세기말 분위기이고 대부분의 영상/공략글들은 서서히 본인들 플레이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중자본 이상(20딥 내외 이상)을 필요로 하는 빌드들을 소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아직 얼엑이라서 그런진 몰라도 특정 빌드와 아이템의 퍼포먼스가 너무 강력해 현재 커뮤니티의 플레이스타일이 획일화되는 상황이 있음을 인지바랍니다.

1.영상
비교해서 보시기 편하도록 여러 버전을 올립니다.
  • 전율강철 착용 버전입니다.
  • 아래 영상은 파밍을 위해 전율강철 대신 매찬 희귀 투구를 착용했으니 이속10%의 속도감 차이를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이 정도의 차이가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시면 전율강철, 아니면 일반 희귀 투구를 착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 여전히 이전 빌드글대로 유탄으로 매핑합니다.


  • 저자본 섬광 유탄이 취약한 생증폭(80%) 모드에서 테스트한 영상입니다. 
    • 시폭딜 혹은 마타빨로 매핑해야하는데 저자본 유저의 경우 생증폭때문에 발동이 잘안될 수 있음
    • 하지만 섬광 유탄은 자주 사용할 수 없어 원샷원킬이 안되면 위험해짐
    • 같은 맥락으로 재사용 감폭 모드도 매우 취약함
  • 전율강철 대신 매찬 투구 착용했습니다.
  • 충격 파편과 감전 파열 탄환은 잘 사용하지 않고, 감전 파열 탄환은 전도성 유탄과 함께 희귀몹 딜에 사용합니다만, 고자본빌드인 인트스태킹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 영상은 아직 연구단계라 스킬슬롯에 충파,감파탄이 등록되어있을뿐 탄환빌드인건 아니고 여전히 유탄빌드임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즉, 본빌드를 위해선 유탄노드와 유탄템을 장만해야지 탄환과 공속 등을 챙기면 빌드가 작동하지 않음

  • 이번에 수정한 감파탄으로 지도보스잡는 영상입니다.
  • 현재로선 전도성유탄으로 감전 거는 방향으로 하고 있는데, 영상에 전도성유탄의 약점이 담겨있기에 소개영상으로 채택했습니다.
    • 보스 이동시 노히트
  • 아직 빌드수정 중이라 이것저것 스킬넣어논 상황이어서 슬롯이 부족한 상황이라 부득이하게 비상재장전을 위해 섬광유탄을 잠시 빼놨습니다.
  • 딜콤보 = 전도성 - 전도성징표 - 전도성유탄 - 감파탄(+비상재장전)

2.수정방향
  • 소위 돈찍누, 템찍누하면 강해지는건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스타터의 목적은 돈을 쓰지 않고 우버를 제외한 컨텐츠를 커버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여전히 필요 자본은 1딥 이내로 산정하여 템의존도를 최소화하고 최대한 패시브,스킬만으로 빌드파워를 높이려고 노력했습니다.
  • 본 빌드는 위치헌터의 전직 패시브 시너지를 최대한 활용합니다. 다시 말해 마무리타격, 이단심문 등의 노드들은 아이템스펙과 맵난이도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1엑잘 템으로도 16+2티어 지도까지 무리없이 매핑이 가능한 것입니다.
  • 전기 속성을 사용하지만 충격 파편은 매핑 성능이 좋지 않고 안정성이 특히 떨어졌기 때문에 매핑은 섬광 유탄으로 해야합니다.
    • 레인저는 자체 이속이 높지만 지속형 공격으로 인해 감속패널티를 길게 받아 기본 이속이 충분히 높아야하며 맞지 않고 잡아야하기 때문에 방어도가 아닌 회피를 챙겨야하는 클래스입니다.
    • 하지만 유탄의 공격방식은 레인저처럼 지속적으로 대치하며 카이팅해야하는 채널링 스타일도 아니고 잠깐 쏘고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왔던길로 되돌아가지만 않으면 맞지 않습니다. 
    • 유탄에게 있어 위험한 상황은 계속 이동하는 가운데 퓨즈기폭시간 이전에 지형이나 적에게 부딛혀 이동이 정체되는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GGG는 방어/회피 겸용을 권장한가 싶습니다.
      • 즉, 제네레이더는 멈추면 죽는 클래스
    • 실제로 궁수처럼 지속적인 대치가 필요한 충격파편과 전형적인 척탄병클래스인 섬광유탄을 비교체험해보시면 유탄만의 독특한 안정성 스타일을 깨닫고, 플레이방향과 생존기제 세팅방향을 감잡으실 수 있을 겁니다.
      • 충격파편은 기민한 공격을 요구하는 균열 등에서 보충하는 정도로 사용


3.변경점
아이템
  • 번개 플랫으로 변경

      • 우선순위: 스킬렙>번피>물피>마나획득
    • 후술할 전기처형 기제 채택으로 인해 번개 플랫으로 변경하였습니다.
    • 나머지 아이템은 이전 가이드글에 소개한 것과 동일합니다.
      • 전율강철 대신 매찬 투구로 변경했지만 빌드 기제에 영향주지 않는 변경입니다.
스킬
(필수젬은 보라색 특기)
  • 섬광 유탄 보조젬 변경
    • 비용 절감, 기동성 향상, 안정성 향상
    • 강해진 효과 - 빨리 감기 - 기동성 - 기발함
  • 천둥의 전령 추가
    • 섬광 유탄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처형 기제를 챙겼습니다.
    • 자극 - 신경과부하 - 전기처형 
  • 전도성 유탄 추가
    • 자체 전기처형 증폭효과로 낮은 데미지로도 기제가 잘 발동됩니다.
    • 전도 - 이어지는 충격 - 과충전
  • 폭발 유탄 대신 감전 파열 탄환으로 단일기 변경
    • 감파탄이 폭발유탄보다 약하지만, 전기처형의 안정성/유효딜을 위해 채택했습니다.
    • 전도성 유탄으로 감전+전기처형 걸고 사용합니다.
    • 효과집중 - 번개 주입 - 무도의 속도 - 새탄창 - 원소집중
      • 전기 처형 100% 감폭 + 감전 유발 불가로 인해 원시적인 병기는 좋지 못한 선택입니다.
패시브
  • 번개 피해 추가
    • 야생 폭풍
    • 다가오는 대재난
    • 피뢰침
  • 생존성 보완
    • 타고난 면역
  • 이동속도 보완
    • 흐릿함
    • 이속 주얼
    • 안개같은걸음(정제된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