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08-27 19:53
조회: 8,660
추천: 5
액린이들 생존력 올리는법먼저알아야 하는것 :
1. 빌드마다 생존방법이 다름(방어, 회피, 피흡, 재생, 선공 등등) / 가장 보편적인 생명 위주로 서술함(에쉴x) 2. 템에서 생존을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액린이들만 도움될듯 3. 맨아래 세줄요약 본인이 생각하는 중요순서로 적음 1. 원소저항 75% : 액린이들이 액트밀고 가장 먼저듣는 잔소리 - 원소저항 맞춤? 원소 저항이 얼마나 중요한지 1티어 지도를 기준으로 실험했는데, 생명력이 7천이 넘어도 원소저항이 내려가면 굉장히 아픔. 반대로 생명력이 4천이어도 원소저항이 높으면 닳지도않음. 내 빌드에 특이사항이 없는경우엔, 원소저항을 맞추는것이 최우선. 생존쪽에선 원소저항을 포기하면서 다른걸 올리는게 가장 미련한 행동 2. 생명력 빌드마다 생명력이 얼마나 필요한가?는 다르다고 생각함. 생명에 특이사항(피흡이나 재생치)이 없다고 가정하고 서술해봄 액트 끝나고 맵핑을 기준으로 1T~5T = 3500 이상 추천 6T ~ 10T = 4000 이상 추천 11T ~ 16T = 4500이상 추천 이것보다 낮으면 다른수단(토샷처럼 먼저잡거나, 싸클처럼 피흡하거나 등)이 없는경우 끔살율이 높음 주의할점 : 특정 생존형 빌드나 변태가 아닌이상, 생명력은 6천만 가도 충분함. 6천이 넘는 생명력을 맞출경우에, 딜을 포기하거나 다른 생존치(저항, 방어, 회피 등등)를 포기하는건 미련하다고 생각함(물론 다른건 멀쩡하고 생명만 올리는게 가능하면 베스트) 3. 방어/회피 보통 액린이들은 이부분을 별로 신경쓰지 않고 끔살이난다. 방어나 회피는 본인의 직업특성대로 맞춰주는것이 좋다. 장비를 고를 때, 무작위옵션만 보고 고르지말고 나의 코어템(고유템)이 어떤 베이스인지, 나의 빌드가 어떤 방어체계인지 등등을 고려해서 방어 or 회피중 한가지로 도배하는게 가장 좋다. 방어랑 회피를 동시에 맞추긴 어렵고 대부분의 경우엔 효율이 낮아짐. "철의 반사신경" 노드를 이용한 경우엔 회피도 방어로 변환되기에 수치가 높은쪽만 보면 됨 보통 방어베이스 캐릭은 생존기로 "용암방패"를 이용하고, 회피베이스 캐릭은 생존기로 "불멸의외침" 또는 "바알 은총"을 이용하는게 좋다. 또한, 회피는 일정이상 높은수치가 아니라면, 방어보다 효율이 떨어진다. 베이스가 통일이 힘들거나(코어템이 애매하다던가), 어중간하면 회피보단 방어쪽이 이득일경우가 많다. 4. 상태이상 저항 끔살의 여러가지 이유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게, 상태이상이다. 상태이상은 대부분 카오스피해로 들어온다. 카오스저항은 맞추기도 어렵고, 효율이 높지않기에 카오스피해가 들어오는 상태이상들을 대부분은 면역, 해제로 버티는게 통상적이다. 최대한 맞추면 좋은 면역 : 타락한 피 면역(주얼-타락옵션) 특정빌드가 아니면 맞추기 어렵지만, 맞추면 좋은 면역 : 저주면역, 출혈면역 그 외에 맞추면 좋고, 없으면 아쉬운정도 : 동결면역 >> 중독면역, 점화면역 나머지는 본인취향에 맞게(또는 빌드나 직업에 맞게)맞춰주고 저주, 출혈, 동결은 따로 못 맞췄으면, 플라스크에서라도 챙겨주는게 좋다.(특히 출혈, 저주는 필수) 세줄요약 : 1. 원소저항 75%이상 >>> 일정량 이상의 생명력 > 방어/회피(+ 생존스킬) = 상태이상 면역/해제 순서로 맞춰보자. 2. 생명력은 일정이상만 투자하고 나머진 다른곳에 투자하는게 합리적(방어, 회피도 동일) 3. 최소한 플라스크를 통해서라도 필수면역은 맞춰줄것 ![]() 죽지말고 게임하자
EXP
38,401
(80%)
/ 39,0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회피캐는 기본적으로 회피를 해서 아예 안맞거나
회피 뚫려서 갑자기 큰 데미지가 확 들어오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25% 뎀감을 자주하는 타입인 불멸은 딱히 쓸모가 없지 않나 싶음
차라리 불멸 8~12렙에 강철피부를 14~16렙 정도 끼워서
한번씩 들어오는 데미지를 아예 깎아버리는게 어떨까 싶어서
전 주로 강철피부 쓰고 있네요
4~5000 데미지 확 들어오는건 불멸이나 강철피부나 별 차이 없고
2~3000 데미지 한번씩 들어오는건 강철 피부가 낫고
그런 데미지가 여러대 들어오는건 불멸이 나음
근데 회피캐가 데미지를 여러대 연속으로 받는다는건
이미 회피캐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기 땜에
역시나 회피캐면 강철피부에 한 표 던지고 싶네요
카오스 저항을 많이 안 올리니까 카오스에 위협을 느끼는 경우가 많을 뿐
상태이상은 속성별로 다양합니다.
특히 잘 죽는게 출혈과 독장판인데
출혈은 물리 데미지이고
독장판은 카오스 데미지인데 상태이상이 아니라 그냥 말 그대로 장판입니다.
중독 상태이상이 따로 있고, 독장판이 따로 있습니다.
중독 면역을 챙겨도 독장판은 데미지가 들어옵니다. 엄밀히는 독이 아니기 때문이죠.
그리고 적 중에서도 카오스 속성의 공격을 하는 적들이 꽤 있는데
산 송장 연금술사(Undying Alchemist)가 던지는 폭탄도 카오스 데미지이고
뱀이나 기타 여러가지 몬스터 중에도 카오스 데미지를 입히는 몹이 섞여있습니다.
모든 뱀이 카오스 데미지를 입히는건 아닌데 일부 뱀은 카오스 데미지를 입히는 것이죠.
신디케이트도 카오스 데미지를 입히는 적이 있는데
특히 토라나 아이슬링을 상대할 때 주의해야합니다.
토라가 톡식레인 같은 스킬을 쓰는데 카오스 저항 -60%로 고티어에서 토라의 공격을 제대로 맞았을 때 체력 6천이면 그냥 순삭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평소에 사냥할 때는 항상 만피 유지하면서 몹들 다 쓸어버리고 다니는데 갑자기 만피에서 의문사 당하는 경우 있죠?
그 중 하나가 이런 경우입니다.
토라가 공격하기 전에 죽이면 몰라도 일단 토라가 쏘고나서 죽이면 선택지 고르는 사이에 땅에 떨어져있던 포자가 터지면서 죽게 되죠.
이미 몹들 다 죽여서 방심하고 있는 타이밍이고
체력도 만피라서 체력흡수가 적용되지 않는 상황에 토라가 죽기 전에 쐈던 톡식레인의 포자가 터지면서 카오스 데미지가 들어오는 것입니다.
저주면역은 없어도 안 죽는데 동결면역은 없으면 죽습니다.
맵 옵션으로 올레지가 감소하는 저주는 레지를 109%로 맞춰두면 저주가 적용되어도 75%가 됩니다.
무조건 109%를 맞출 필요는 없고.
레지 감소맵을 돌 때만 저주면역 물약을 챙겨가거나 셋팅을 바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