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엔 몇몇 어종과 포인트를 적어보려합니다.

주홍빛 숲에서 카냐 퀘를 할 때나 낚시를 할 때엔 '풍요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청새치 제외)
주홍빛 숲 풍요기 낮엔 거의 모든 어종이 출현하고, 밤엔 17번에서 오징어도 출현합니다.



1. 황금어 - '주홍빛 숲' 동굴 속에 많음; 8번 위쪽 동굴(캠프), 12번 우측 위 동굴, 16번 캠프(유적 내부) 앞 개울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황금 버그헤드

공략 : 정면 쪽이 좋지만 근처에 루어 던지고 저킹(S) 한번 정도 하면 쉽게 유인됩니다.

밤낮 상관없이 흔한 어종인 것 같습니다.







2. 알배기 아미아 - '주홍빛 숲' 포인트마다 거의 존재; 주홍숲 베이스캠프, 12번 저수지, 12번 우측 위 동굴과 잠수 포인트, 17번 호수, '용도의 폐허'에도 존재; 8번 캠프(잔해의 틈) 앞 개울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에메랄드 채터

공략 : 정면 쪽이 좋지만 근처에 루어 던지고 저킹(S) 한번 정도 하면 쉽게 유인됩니다. 
단, 겁이 많아 일반 물고기들 보다 산만하니 좀 더 거리를 두고 낚시를 시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낮에 더 잘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알배기 아미아 : 사막 13번 오아시스에서도 딱한번 잡아봄" - '극극심해어'님의 제보







3. 그랜드 에스카나이트 - '주홍빛 숲'; 8번 위쪽 동굴(캠프), 12번 저수지, 12번 우측 위 동굴과 잠수 포인트, 17번 호수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텐터클미끼

공략 : 루어를 에스카의 정면 쪽에 잘 던지고 저킹(S) 한번 정도 하면 쉽게 유인됩니다. 특히 17번에선 보이는 것보다 멀리 있으니 루어를 에스카보다 멀리 던지는 게 좋습니다. 
바로 물지 않고 뜸 들이다 물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12번 우측 위 동굴 포인트에서 많이 나오긴 하는데 여기선 너무 깊이 있어서 루어낚시는 비추천.

밤에도 나오긴 하지만 낮에 더 잘 보이는 것 같습니다.






4. 도스트레발리퍼치 - '주홍빛 숲'; '낮' 시간대, 12번 저수지, 12번 저수지 좌측 구석, 13번 우측 수로, 17번 호수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조인트 도스베이트

공략 : 정면 쪽에 루어를 멀리 던진 뒤 WS 릴 감기로 감다보면 유인됩니다바로 물지 않고 뜸 들이다 물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장애물, 튀어오르기, 좌우 힘겨루기 패턴들 모두 골고루 사용합니다. 
특히, 장애물을 통해 가하는 힘이 다른 어종보다 강해 낚싯줄 내구도가 위험할 수 있으니 주의. 

12번도 좋고, 17번도 좋지만 17번이 낮에 물고기가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12번 좌측 구석은 비추천. 낚을 순 있지만 '장애물 피하기 실패' 시 가해지는 힘이 유달리 강해 위험합니다.

'낮'에만 보입니다.



경험상 맨 아래 사진의 포인트(12번 좌측 구석)에선 좀 어려웠습니다.




5. 대왕청새치 - '주홍빛 숲'; '황폐기' 아침 또는 저녁'기상이변' 낮~저녁, 17번 호수13번 우측 수로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조인트 도스베이트

공략 : 정면 쪽에 루어를 멀리 던진 뒤 WS 릴 감기로 감다보면 유인됩니다바로 물지 않고 뜸 들이다 물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튀어오르기 패턴이 익숙하지 않은 분에겐 어려운 물고기입니다.
청새치는 튀어오르기(바늘 빼기)를 매우 적극적으로 시도합니다. 좌우 무빙 조금 하다가 계속 튀어오르기만 합니다. 
큰 개체는 튀어오르기를 4번 연속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신 성공하면 보상은 확실하여 탈진 상태가 다른 어종보다 좀 더 오래갑니다. 

탈진 시, 끌려오다가도 갑자기 튀어오르기를 시전하기도 하니 끝까지 방심은 금물입니다. 

13번 쪽 수로 위쪽 포인트는 잘 안보이지만 거리가 가까워서 금방 끌어올릴 수 있고, 17번 호수 쪽은 2~3마리 정도가 동시 출현하기도 합니다. 

기상이변 낮에도 나오긴 합니다만, 여러번 시도해보니 황폐기 아침에 가장 잘 보이는 것 같습니다.






6. 가쟈우 - '주홍빛 숲'; 12번 저수지, 12번 저수지 좌측 구석, 17번 호수 좌측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물고기리그

공략 : 정면에 루어를 던져 저킹해도 유인되긴 하지만, 정면 쪽에 루어를 멀리 던진 뒤 WS 릴 감기로 감다보면 훨씬 더 잘 유인됩니다바로 물지 않고 뜸 들이다 물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장애물, 튀어오르기를 사용하긴 하지만 빈도는 낮은 편이고, AD 좌우 힘겨루기를 더 많이 합니다.
그래도 힘이 강해 장애물은 조심하셔야 합니다.

12번, 17번 어느 쪽이든 에 출현빈도가 높습니다.






7. 먹보다랑어 - '주홍빛 숲'; 풍요기 아침 또는 저녁, 기상이변12번 저수지, 17번 호수, 풍요기 익룡 이벤트 시 대량 발생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조인트 도스베이트 등 거의 모든 루어 

공략 : 정면 쪽에 루어를 멀리 던진 뒤 WS 릴 감기로 감다보면 훨씬 더 잘 유인됩니다바로 물지 않고 뜸 들이다 물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익룡 이벤트 발생 시 첨벙이는 곳 중앙에 루어 던지고 유인하면 제일 먼저 반응하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

패턴을 골고루 사용하지만 장애물보다는 튀어오르기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연속으로 튀어오르기도 하니 집중해야 합니다.
탈진 시 끌려오다가도 튀어오르기를 시전할 때도 있습니다. 방심은 금물입니다.

기상이변에도 출현하긴 하지만 잘 안보이고, 
풍요기에는 청새치처럼 아침, 저녁에 잘 보입니다. 특히, 아침과 저녁에 발생하는 익룡 이벤트시에 대량 발생하기도 합니다. 

저는 풍요기 아침, 12번에서 자주 봤습니다.






8. 입도 오징어 - '주홍빛 숲'; 풍요기 '밤' 시간대(추천), 기상이변 낮, 저녁 시간대, 17번 호수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텐터클미끼

공략 : 오징어가 가만히 멈춰서 제자리서 한바퀴 돌다가 시간이 지나면 좌나 우로 멀리 이동하고 멈춰서 제자리 돌기를 반복합니다. 

역시 오징어 머리 쪽에 루어를 던지는 게 좋습니다. 
추가로 멈췄을 때, 머리 쪽에 볼록 튀어나온 곳 뒤로 조준점(그 원까지)을 넘긴다 생각하고 던지는 게 좋고, 저킹(S)으로 한두번 건드리면 유인이 잘 됩니다. 
몇번을 저킹해도 반응을 안하면, 오징어가 루어를 정면으로 보지 못한 것이니 루어를 다시 던져보세요.

바로 물지 않고 뜸 들이다 물으니 조금 기다려야 합니다. 

대형어종 중 가장 낚기 쉽습니다. 오징어는 튀어오르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죠.
17번엔 장애물도 별로 없고, 장애물에 걸려도 낚싯줄 내구도가 다른 어종에 비해 많이 깎이진 않는 것 같습니다.
다른 대형 어종보다 AD 좌우 힘겨루기를 더 길게해서 낚시에 익숙해지면 지루해지는 녀석입니다. 

잡으려면 다른 계절보다 '풍요기 밤'에 하시는 게 좋습니다. 오징어가 야광으로 반짝거려 매우 잘 보입니다.

보통 풍요기 '밤'에 잘 보이고, '기상이변 시에는 낮, 저녁'에도 나옵니다.

처음 우드투나 퀘를 마친 직후에도 17번 호수에 보이기도 합니다. 

"입도 오징어 : 숲 17번 호수에서 낮에 한번 잡아봤습니다" - '극극심해어'님의 제보, 기상이변 낮으로 확인
"입도 오징어 17번에서 저녁에 잡았습니다." - '유포리아'님의 제보, 기상이변 저녁으로 확인




위 사진보다 조준점을 좀 더 위로 두는 게 좋습니다.




9. 화석칸스 - '주홍빛 숲'; '기상이변' 저녁~밤 시간대, '풍요기' 저녁16번 캠프(유적 내부) 앞 개울

준비물 : 범용 우드 미노, 물고기리그, '포획용 그물'

공략 : 그물로 잡을 수 있습니다.

크기는 대어인데, 그물로 잡을 수 있는 거 보면 소형어종 취급 받는 것 같습니다. 제보에 의하면 유인만 잘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출현하는 지역이 2개이긴 한데 다른 포인트는 잘 모르겠네요. 잘 안보이기도 합니다.

"저도 화석칸스 16번 캠프(유적내부)에서 낚시로 잡았습니다.
대어 액션은 따로 없이 바로 잡혔고 저녁 / 기상이변으로 해두고 갔더니 바로 나왔습니다." - '푸른빛부채'님의 제보저의 경우에는 기상이변의 밤 시간대에 추가로 확인했습니다.
"풍요 저녁에 화석칸스 16번 유적 내부에서 잡았습니다" - '타임크라이스'님의 제보
"화석칸스 숲 기상이변 낮 16번 유적내부에서 잡았습니다
기름 솟는 계곡  불꽃질주 새벽 14번에서도 잡았습니다" - 낭만슈돌님의 제보






10. 블라인드 퍼치 - '빙무의 절벽', 1번 지역의 1번 캠프 앞 쪽 개울, '용도의 폐허', 8번 캠프(잔해의 틈) 앞 개울

준비물 : '포획용 그물'

공략 : 그물로 잡을 수 있습니다.

눈이 없어서 루어는 통하지 않는 것 같았는데, 릴 감기 유인이 된다고 합니다.

빙무의 절벽에 첫 진입한 스토리 중에도 포인트에 가보면 한마리 정도는 헤엄치고 있을 겁니다. 운이 좋다면 최대 3마리까지도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블라인드는 주홍빛 숲엔 없고, 빙무의 절벽 1번 캠프 앞 개울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용도의 폐허 8번 캠프 앞 개울에서도 2~3마리씩 잘 나옵니다.

에 더 잘 보이는 것 같습니다.

"블라인드 피치 : 용도 13번인가? 젤 아랫층 캠프 물가에서도 잡힙니다" - '극극심해어'님의 제보
"블라인드 퍼치 : 헌터 생활 띄운뒤, 루어 최대한 붙여서 가볍게 WS로 유인하면 잘 뭅니다." - '롤치즈식빵'님의 제보
"블라인드퍼치 범용우드미노로 WS로 천천히 감으면 쉽게 입질합니다.
위치는 《용도의 폐허》〔구역8 잔해의 틈, 구역13 숨겨진 땅굴〕 《빙무의 절벽》〔구역1 얼음 물가〕 이렇게 세 포인트에서 직접 잡아봤습니다." - '마왕'님의 제보





이밖에 다른 대형어나 희귀어종들이 더 있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지금까지 발견한 것만 적어봤는데, 이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