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05-13 23:11
조회: 24,451
추천: 14
[MHR] 쌍검학개론
1. 쌍검의 이해 쌍검은 공격 속도가 빠르고, 공격거리가 짧은 무기이다. 빠른 공격 속도로 많은 공격을 가하여 높은 총 피해량을 만들어낼 수도 있지만, 몬스터에 휘둘려 많은 공격을 가하지 못하면 제 성능을 뽑아내지 못하는 무기이다. 짧은 공격거리로 항상 몬스터의 지근거리에서 수렵을 진행하기에 몬스터의 공격 전조를 보다 예민하게 살필 수 있어야 한다. 2. 귀인화와 귀인 강화 쌍검은 [ZR]을 통해 '귀인화'라는 자가 버프를 걸 수 있다.
'귀인 게이지'가 가득 차 빨간색으로 변한 시점에서 '귀인화'를 해제하면 '귀인 강화' 상태로 변경된다.
쌍검의 전투는 '귀인화'와 '귀인 강화'를 오가며 진행된다. 기본적으로 '귀인화' 상태로 수렵을 진행하다가, 잔여 스태미나가 적어지면 '귀인 강화' 상태로 전환하여 스태미나가 다시 회복될 때까지 수렵을 진행하고, 스태미나가 회복되면 다시 '귀인화' 상태로 전환하는 게 기본이다. Q. 일반 상태에서는 수렵을 하지 않나요? A. ㅔ. 일반 상태는 모든 면에서 '귀인화'와 '귀인 강화' 상태보다 뒤떨어지며, 두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어느 쌍검 유저라도 어려울 것이 없기에 수렵시 일반 상태를 활용하는 경우는 전혀 없습니다. 3. 벌레철사 기술
밧줄벌레 소모 1. 쌍검의 공격거리보다 짧은 거리에 쿠나이를 꽂는다. 이후, 매 공격마다 쿠나이가 꽂힌 위치에 대미지가 발생하며 약 4초 후 큰 대미지를 주며 사라진다. 마지막 대미지는 4초 간 공격 횟수에 따라 증가한다. 짧은 공격거리, 긴 선후딜레이, 강제 후퇴 등으로 사용이 매우 까다롭다.
밧줄벌레 소모 1. 발도 상태에서 공중으로 뛴다. 각도는 약 80º. [X]나 [A]로 연계 공격을 할 수 있다. 지상에서 발동 시 '질주'와 모션이 동일하다. 공중에서 발동할 수 있으며, 공중에서 발동 시 몸을 말아 구르는 형태로 공중으로 뛴다. 발동부터 몸을 구르는 모션까지 회피 판정이 존재한다. 후술할 '공중 쌍검' 운영에 중요한 기술이다.
밧줄벌레 소모 1. 반격 기술. [L] 스틱 방향으로 '질주'한다. 직선 '질주'와 모션이 동일하다. 질주 중에 피격 시 피해를 무효화하며 [L] 스틱 방향으로 나아가며 공격한다. 반격 시 피격 당하면 그대로 피해를 입고 날아간다. 다단히트 공격에 주의가 필요하다. 시전 방향과 반격 방향을 따로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을 잘 활용해야 한다. 4. 운영 교체기술에 따라 두 가지로 운영이 나뉜다.
4.1. 지상 쌍검 '돌진연참'은 [L] 스틱 방향으로 적당 거리를 전진하며 공격하는 기술이다. 선후딜레이가 짧고, 연계되는 모션이 많아 이동기 및 공격 시동기로 출중한 성능을 가졌다. 돌진연참으로 몬스터와의 거리를 순식간에 좁힐 수 있고, 몬스터의 갖은 이동과 자세 변경에도 무리 없이 대응할 수 있다. 돌진연참의 뛰어난 기동력으로 몬스터에 끊임없이 달라붙어 공격을 퍼붓는 것이 지상 쌍검 운영의 핵심이다. 대경직 유발 부위에 끈질기게 달라붙어 지속적으로 대미지를 누적하고, 대경직시 약점 부위에 DPS가 높은 '난무'로 공격하는 것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돌진연참 이후 [L + A]로 회전베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360º도 방향전환 기술로 타격 부위 조정에 용이하다. ex.) 돌진연참[A] - 귀인역수베기[X] - 귀인2단베기[X] - (몬스터 패턴에 따라) 귀인6단베기 or 돌진연참 ex.) 벌레철사 베기[ZL + X] - 돌진연참[A] - 난무[X+A] - 교체 기술
- 장점, 단점
4.2. 공중 쌍검 '귀인공무'는 [L] 스틱 방향으로 짧은 거리를 뛰어 찍는 공격을 하며, 공격이 적중할 시에 '귀인공선연참'이 발동한다. '귀인공선연참'은 제자리에서 공중으로 뛰어오르며 공격한다. 귀인공무 발동 중 짧게 회피 시간이 존재하며, '귀인공선연참' 발동 직후에도 짧게 회피 시간이 존재한다. 공중 공격 직후 체공 시간 동안 [X]와 [A]로 공격 연계가 가능하며, '망루뛰기'를 발동할 수도 있다. 공중에서 가하는 공격은 하나 같이 강력하다. '귀인공무' 이후 체공하는 동안 강력한 공격을 퍼붓는 것이 공중 쌍검 운영의 핵심이다.
'공중 회전베기'는 공중에서 약간 전진하며 공격을 하는 기술로 준수한 공격력을 가졌다. 발동 이후 '공중 회전난무'로도 연계할 수 있다.
귀인화에서의 '공중 회전난무'는 몬스터의 몸을 타고가며 공격을 하는 기술로 몬스터의 길이에 따라 공격 횟수가 달라지며 몬스터의 끝에 가서는 '회전난무 천 피니시'라는 강력한 공격이 발생한다. (일명, 리바이 베기) 귀인 강화에서의 '공중 회전난무'는 대각선 아래로 내려 찍으며 공격한다. 몬스터의 몸을 타지 않아 길이에 구애받지 않으며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대미지를 줄 수 있으며, 추가 버튼 입력으로 강력한 '회전난무 피니시'를 발동할 수 있다. 귀인화 위주로 수렵을 풀어나가는 지상 쌍검과 달리, 공중 쌍검은 '귀인 강화'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귀인화 - 공중 회전난무'의 경우 어거지로 몬스터와의 각도를 비틀지 않는 이상 반드시 몸을 타게 되고, 그 결과 강력한 피니시를 약점(주로 머리)에 집중하지 어렵다. 그에 반해, '귀인 강화 - 공중 회전난무'는 헌터의 [L] 스틱에 따라 공격 방향이 지정되어 '회전난무 피니시'를 일점에 집중하기 용이하다. (Tip. 몬스터의 머리를 벽에 맞닿게 만들면 회전난무 피니시를 모두 히트하기 용이하다.) 그리하여 귀인화 회전베기로 귀인 게이지를 쌓고, 귀인강화 공중 회전난무와 회전난무 피니시로 강력한 대미지를 주는 것이 공중 쌍검의 운영법이다. ex.) 귀인공무[A] - 공중 회전베기[X] - 귀인역수베기[X] - 귀인2단베기[X] - 귀인공무[A]... ex.) 귀인공무[A] - 공중 회전난무[A] - 회전난무 피니시[A] - 귀인공무[A]... - 교체 기술
- 장점, 단점
[MHR] 쌍검 망루뛰기 회피 판정 검증 5. '런너', '체술', '스태미나 급속 회복' 런너: 대시 등 서서히 스태미나를 소비하는 행동의 스태미나 소비량이 감소한다. Lv.1 : 지속 스태미나 소비량 15% 감소 Lv.2 : 지속 스태미나 소비량 30% 감소 Lv.3 : 지속 스태미나 소비량 50% 감소 체술: 회피 등 고정적으로 스태미나를 소비하는 행동의 스태미나 소비량이 감소한다. Lv.1 : 고정 스태미나 소비량 10% 감소 Lv.2 : 고정 스태미나 소비량 20% 감소 Lv.3 : 고정 스태미나 소비량 30% 감소 Lv.4 : 고정 스태미나 소비량 40% 감소 Lv.5 : 고정 스태미나 소비량 50% 감소 스태미나 급속 회복: 스태미나의 회복 속도가 빨라진다. Lv.1 : 회복 속도 1.1배 Lv.2 : 회복 속도 1.2배 Lv.3 : 회복 속도 1.4배 쌍검은 스태미나를 자원으로 쓴다. 스태미나를 지속적으로 소모하여 강력한 귀인화 상태를 유지하고, 스태미나를 고정적으로 소모하여 강력한 공격을 하며, 스태미나를 고정적으로 소모하여 공격을 회피한다. 그렇다면 위 셋 중 어떤 스킬의 우선도가 높을까? <각 스킬이 효과를 보는 상황>
지상 쌍검의 경우, 런너의 가치가 높다. 수렵 대부분의 시간 동안 귀인화 상태를 유지하기에 귀인화를 오래 유지하게 해주는 런너의 가치가 보다 높다. 짐승이 아닌 일반 귀인화라면 더더욱. 공중 쌍검의 경우, 런너와 체술의 가치는 비슷한다. 귀인화 상태로 수렵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긴 하나, 무시할 수없이 긴 시간이다. 다만, 공중 쌍검의 경우 귀인화[짐승]의 채용률이 높기도 하고 그 자체가 기동력이 떨어지기에 스텝 사용률이 높으며, 공중 회전난무(귀인화)의 경우 스태미나를 다량으로 소모하기에 체술의 효과를 보기 좋다. 귀인 강화의 비중이 오르긴 했으나 공중 회전난무로 소모하는 귀인 게이지가 많기에 귀인 강화의에서 전투가 그렇게 길지 않아 '스태미나 급속 회복'이 크게 활약하진 못한다. Q. 세 스킬 중 아무거나 Lv3 정도만 챙겨야 되면요? A. 런너 3을 챙기세요. 레벨에 따라 일정하게 효율이 증가하는 체술과 달리 런너의 경우 2레벨에서 3레벨의 증가폭이 큽니다. 6. 무속성? 속성? 세팅 대검 참모아베기 강격 3차지의 모션 배율 [물리 : 속성 = 264 : 1.8] 쌍검 난무 16타의 총 모션 배율 [물리 : 속성 = 135 : 15.4] 몬헌은 각 공격 모션마다 물리와 속성에 해당되는 배율이 정해져 있다. 이 배율이 높을수록 대미지가 증가하는데, 물리 배율의 경우 대부분 5 ~ 300 정도의 수치를 가지고, 속성 배율의 경우 대부분 0.5 ~ 3 정도의 수치를 가진다. 최소와 최대의 비율을 보면 [물리 1:60 /// 속성 1:6] 정도의 차이를 가진다. 즉, 무기의 타수가 많을수록 속성 배율이 종합적으로 높으며, 타수가 적을수록 물리 배율이 종합적으로 높다. 쌍검은 빠른 공격 속도로 많은 타수를 낼 수 있는 무기로 속성 무기로 속성 세팅을 하는 것이 좋다. [MHR] 5속성, 깡딜 쌍검 / 약점 특효 2, 200 호석 / 2.0 ver. 쌍검으로 보는 '속성치 투자 효율'과 '속성치 투자의 디메리트' 7. 같이 보면 좋을 영상 [MHW와 MHR 체험판의 비교] [교수님의 쌍검 교체기술 정리]
EXP
53,288
(76%)
/ 54,0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중간에 회전나무가 하나 있네요 ㅋㅋ
중간중간 귀인강화를 쓰는 시간이 늘어난 공중쌍검에서
짧은 귀인강화상태에서 더 많은 스테를 회복할수 있는
스급회는 오히려 시너지가 크다고 볼수 있지 않을까요?
회전난무(귀인 강화)는 스태를 소모하지 않습니다.(본문에 따로 적지 않았어서 수정 서술 했습니다.)
스급회를 전혀 채용하지 않더라도 회전난무(귀인 강화) 4번의 시간이면 스태가 완전히 바닥난 상태에서도 250의 스태미나 바를 충분히 채우기 때문에 스급회가 막 엄청 큰 시너지를 내진 않습니다. 그럼에도 있으면 무조건 좋긴 하죠.
귀인화 공중회전베기 연속이랑
귀인강화 회전난무 피니시랑은 뭐가 DPS가 높나요?
글에서만 보면 귀인강화 콤보가 더 높을거같은데
첨부된 테오 TA영상에서 대경직에 귀인게이지 풀인데
귀인화 공중회전베기 콤보를 계속 쓰는걸 봐서 헷갈려서요
그러나 각도를 잘못 맞추면 몬스터의 등을 타게 되고 등을 타는 시간만큼 dps에 손해를 보기에 본문에선 본문에선 몬스터의 각도에 구애받지 않는 귀인강화 공중회전난무를 추천드렸습니다.
팁으로 몬스터의 머리를 벽에 밀착시키면 각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귀인화 공중 회전난무를 풀히트할 수 있습니다.
공중회전베기도 상당히 강력합니다만, dps 자체는 위 둘이 더 높습니다. (이론상 난무보다 강한게 함정;;;)
답변감사함다
맨날 귀인화 공무 공중회전베기만 했었는데
귀인강화 회전난무도 써보러 퇴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