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 요약: 골드 주화 = 전날 메소마켓 시세 기준 1300메포

NEXT 업데이트 때 메이플 옥션 통합이 들어왔고, 여기서 전날 메소마켓 시세에 기반한 '관세'가 등장했습니다. 이제 관세를 쭉 기록하면서 당일 주화 시세와 비교를 해보면 무슨 관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41일간 일반 월드 관세를 기록해보았습니다.
날짜 골드 주화 관세 날짜 골드 주화 관세
12월 19일 53644500 243 1월 9일 53329900 244
12월 20일 54832700 237 1월 10일 53263600 244
12월 21일 55806400 233 1월 11일 53349400 244
12월 22일 56743700 229 1월 12일 53409200 244
12월 23일 57492500 227 1월 13일 53301300 244
12월 24일 57505500 226 1월 14일 53189500 245
12월 25일 57279300 227 1월 15일 53132300 245
12월 26일 57072600 229 1월 16일 53054300 245
12월 27일 56946500 229 1월 17일 52954200 246
12월 28일 56598100 230 1월 18일 52864500 246
12월 29일 56231500 232 1월 19일 52837200 246
12월 30일 55972800 233 1월 20일 52169000 250
12월 31일 55887000 233 1월 21일 52123500 ?
1월 1일 55911700 233 1월 22일 52074100 250
1월 2일 55524300 235 1월 23일 52049400 250
1월 3일 55100500 236 1월 24일 52167700 250
1월 4일 54702700 238 1월 25일 52306800 249
1월 5일 54268500 240 1월 26일 52367900 249
1월 6일 53753700 242 1월 27일 53131000 ?
1월 7일 53566500 243 1월 28일 53160900 245
1월 8일 53410500 244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검은 선은 선형회귀모형을 적합한 것으로, 잔차분석 결과 잔차가 설명변수에 대한 비선형적 추세를 보여 이 모형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위 그림에서 5500만 메소 부근에는 파란 점이 검은 선 아래 분포해 있고, 양 끝에서는 검은 선 위에 분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단순한 모형이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해서, 그냥 둘을 곱해봤습니다. 관세에 10을 곱한 값이 전날 메소마켓 시세이므로, 골드 주화의 대략적인 메포 시세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골드 주화의 가치가 1300 메이플포인트라고 해도 문제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골드 주화의 가치가 정확히 1300 메이플포인트라고 가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메소마켓 시세를 추정한 다음에 관세의 10배와 비교해보겠습니다.

검은 선은 항등함수입니다. 전체적으로 파란 점이 검은 선보다 위에 올라와 있지만, 위로 올라온 정도가 일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세에서 메소마켓 시세 추정량을 뺀 잔차를 그려보면,

잔차가 -1에서 +9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해 있습니다. 2280메포 근처에 이상치가 두 개 있는데, (2024년 12월 22일, 12월 26일) 지금 와서 확인할 수는 없으니 일단은 집계 과정에서 뭔가 오류가 있었던 걸로 판단하겠습니다.

이로써 주화 시세와 관세를 정하는 기본적인 로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골드 주화는 메소마켓 시세 기준 1300 메이플포인트의 가치가 있다.
2. 관세는 메소마켓 시세에 9 메이플포인트를 더하고, 10으로 나누어 정수 단위로 버림한다.

이전에 알려진 1000만 메소 + 1000 메이플포인트 공식은 관세와 큰 차이를 보여 올바르지 않은 가설입니다.

아즈모스 업데이트 당시 수준으로 메소마켓 시세가 급변할 때 주화 시세 상승률을 +3.09% 근처로 인위적으로 조정한 정황이 발견되는데, 추가적인 분석은 제2의 아즈모스 사태 발생 시 진행해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