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적게시판지기 희망을가지자입니다.

이번에는 메카닉에 대한 짤막한 사냥터 및 육성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펌글이지만 자세히 보시는게 좋을것이라 판단됩니다.)

 

 

 

Q. 메카닉이란?

 

기본적으로 ''을 사용하는 해적중에서도 캡틴계열의 레지스탕스 직업입니다. 메탈아머로 불리는 로봇을 탈 수 있는게 메카닉의 특징이며 다양한 설치스킬과 로봇들을 소환해 사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4차 스킬 엠플리파이어로 파티원의 화력을 뽑아낼 수 있고 헤비머신건이라는 스킬로 순간적인 화력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총을 사용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총이 없으면 모든 스킬을 쓸 수 없습니다. 반대로, 해적직업이기 때문에 무기를 끼지 않는 상태에서 주먹으로 패는것이 가능합니다!)

 

스킬편.

 

- 1차 메카닉 스킬 -

 

                                                                                                        단,다수공격을 하고 싶으면 플레임 런처 먼저

메탈아머:프로토타입 (1) - 개틀링 샷 (10) - 플레임 런처 (1) - 드릴 러쉬 (1) - 개틀링 샷 (M) - 플레임 런처 (M) - 프로토타입 (M) - 드릴 러쉬 (M)

 

사실 1차때에는 '스킬트리'라는것이 미미합니다. 이유가 모든 스킬들을 마스터 할 수 있기 때문에 뭘 해도 저 네개의 스킬들을 전부 마스터 하시는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카오스 전에는 드릴 러쉬를 선행투자 하였으나 카오스 후에는 후딜이 붙어 과거의 위상을 보여주지 못합니다.그러니 저는 드릴러쉬를 후방 배치했습니다.

 

 

- 메카닉의 꽃, 메탈아머:프로토타입

메카닉 모든 스킬의 기본 뼈대가 되는 스킬입니다.메탈아머에 탑승한 상태에선 몬스터에게 피격당해도 밀리지 않는 100% 스탠스 효과를 보여주고 방어력,공격력이 기하학적으로 증가합니다. 그리고 이 스킬이 없으면 메카닉 스킬을 99% 쓰지 못합니다.

 

 

- 개틀링 샷

1차때는 총 4번을 때리는 시원시원한 타격감이 있는 스킬입니다. 프로토타입 상태에서 스킬을 쓸 수 있으며 2차때 배우는 헤비웨폰 마스터리가 있다면 총6번을 때릴수가 있습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단일공격이며 후반에는 미사일탱크나 각종 공격스킬에 밀려 거의 보지 못하는 스킬이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초보 몬스터를 공격하기엔 편합니다.

 

 

-드릴 러쉬

전방에 드릴을 날려 몬스터들을 미는 밀격 스킬입니다.데미지 자체는 미약하나 이 스킬의 진정한 묘미는 바로 '적을 미는 것'에 있습니다. 카오스 패치후에는 뒤에 후딜이 달려서 연속기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죠. 하지만 저는 이래야지 밸런스가 맞는다고 드네요. 이 스킬을 난사해서 스틸을 하는 못된 메카닉 유저분들이 많아서 시리..

 

개틀링샷과는 다르게 후반에도 자주 사용하는 스킬이며 후딜을 줄이기 위해서는 '드릴러쉬로 적을 밀고 그 직후 바로 아토믹해머나 로켓펀치를 사용하는것을 반복'하는걸 추천합니다.

 

즉 드릴러쉬 -> 아토믹해머나 로켓펀치 ->드릴러쉬 -> 반복.

 

- 2차 메카닉 스킬 -

※패시브 스킬은 후에 적겠습니다.

 

 

로켓 부스터 포기형(추천) :

 헤비웨폰 마스터리 (1) - 메카닉 마스터리 (1) - 아토믹 해머 (3) - 로켓 부스터(1) - 메카닉 마스터리 (5) - 메카닉 부스터 (5) - 헤비웨폰 마스터리(M) - 메카닉 마스터리 (M) - 아토믹 해머(M) - 오픈게이트 (3) - 퍼펙트 아머 (M) - 메카닉 부스터 (M) - 오픈게이트 (M) - 남는 스포 모두 로켓 부스터에 투자.

 

오픈 게이트 포기형 :

 헤비웨폰 마스터리 (1) - 메카닉 마스터리 (1) - 아토믹 해머 (3) - 로켓 부스터(1) - 메카닉 마스터리 (5) - 메카닉 부스터 (5) - 헤비웨폰 마스터리(M) - 메카닉 마스터리 (M) - 아토믹 해머(M) - 오픈게이트 (3) - 퍼펙트 아머 (M) - 메카닉 부스터 (M) -

로켓 부스터(M) - 남는 스포 모두 오픈게이트에 투자.

 

오픈 게이트 포기형을 왜 올렸냐면. 카오스 패치 이후로 로켓 부스터가 빨아먹는 MP양이 늘어나고 4차때는미사일탱크와 병행하며 쓰기 때문에 너무 MP소비가 극심합니다. 그래서 MP소비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저걸 선택했지만. 오픈 게이트도 나름의 장점이 있고 사냥속도를 줄여주기 때문에 좋은 스킬입니다. 고로 저는 로켓 부스터 포기형을 추천드려요.

 

 

 

- 아토믹 해머

2~3차의 주력 공격 스킬중 하나입니다. 내장된 원자력으로 강력한 해머를 날린다는 건데 방어률 무시까지 있어서 이거 꽤나 좋은 데미지를 뽑아내고 3차의 메탈피스트 마스터리 까지 합하면 어마어마한 데미지를 만들어내는것이 가능합니다. 거기다가 기절 효과까지 있어서 쓸만한 스킬이죠. 문제는 카오스 패치 이후로 너무 많은 하향질을 당했다는 겁니다.

 

 

- 메카닉 부스터

프리스트를 제외한 모든 직업들이 가지고 있는 부스터 계열 스킬입니다. 쓰면 공격속도를 올려주기 때문에 4차때 가면 상당히 쓸만합니다. 이걸 쓰고 나면 답답해서 사냥을 못할 경지에 이르게 되요. 하지만 메카닉 초반에는 그다지 속도가 느리다~ 할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후방 배치 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 스킬이 빛을 보는건 3차 후반에서 4차라고 생각되네요.


 

- 로켓 부스터

사진에 보시는것처럼 위에 땅이 있으면 그 땅위로 올라가서 착지하며 데미지를 입히는 스킬입니다. 다만, 대다수의 분들은 공격목적으로 보다는 '이동목적'으로 많이 사용하죠. 특히 4차때 미사일탱크와 병행하며 쓰는 스킬입니다.MP소모가 심하죠...올라갈때 한번 착지할때 한번. 총 두번 MP를 소비합니다. 메카닉은 마법사가 아닌데..

 

 

- 오픈게이트 : GX-9

 

메카닉이 최초로 배우게 되는 설치형 스킬입니다. 총 두개를 설치해야 하는데 두개 다 설치하면 저렇게 포탈이 생깁니다. 저 포탈에서 윗키를 누르면 이동이 가능하며 좁은 일자형 지형에서 이 스킬을 사용하면 상당히 쓸만합니다. 성벽에서도 편하며 찾는 유저들이 은근 있는 스킬입니다. 초반에는 3만 찍어도 쓸만하기 때문에 후방에 배치.

 

참고로 설치한 메카닉과 파티를 맺으면 파티원들도 저걸 이용하는것이 가능합니다.

 

(반사는 초등학생의 주요 스킬이라고 합니다...)

- 퍼펙트 아머

 

이 스킬에는 두가지 효과가 있습니다. 하나는 영구적으로 가드효과가 늘어난다는 점. 두번째는 자신이 받은 데미지를 반사하는 효과. 일단 전자는 상당히 쓸만합니다. 메카닉이 지나갈때 잘 보면 GUARD하며 미스 비슷한게 뜨는데 그게 바로 이 스킬의 효과입니다. 후자는 쓸만해보일진 몰라도 상당히 귀찮습니다. 위에 보시는바와 같이 데미지도 좀...미묘하고 어그로도 잘 끌어서 조용히 지나가고 싶어도 잘 못지나가요.

 

초반에 입는 데미지가 약한 2차시기때는 그리 효과를 잘 못본다고 생각하여 후방배치 했습니다.

 

- 3차 메카닉 스킬 -

※패시브 스킬은 후에 적겠습니다.

 

 

메탈피스트 마스터리 (1) - 로켓펀치 (1) - 헤비머신건 (1) - 메탈피스트 마스터리 (M) - 헤비머신건 (M) - 로켓펀치 (M) - 럭키다이스(M) - 새틀라이트 (M) - 액셀레이터 (M) - 마그네틱 필드 (M) - 남은 스포 힐링로봇에 투자.

 

드디어 3차에 진입하셨습니다. 로켓펀치가 중후반에 가서 마스터 하라는 이유가 메카닉에게는 로켓펀치가 굳이 없어도 아토믹해머가 있습니다. 메탈피스트만 마스터 하면 로켓펀치급 화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액셀과 마그네틱은 굳이 초반에 찔끔찔끔 찍어서 효과를 미미하게 보느니 그냥 후반에 화끈하게 마스터 하는것이 좋다~ 해서 이렇게 했습니다.

 

 

 

- 로켓펀치 ~아토믹을 선택하느냐 펀치를 선택하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메카닉3차의 공격스킬 입니다. 펀치가 나가 관통하면서 데미지를 입히고 확률로 기절을 입힙니다. 이 스킬이 좋다고 생각되는 곳은 사핼지대 같은 일자형 맵입니다. 로켓펀치는 직선으로 나가기 때문에 지형빨을 좀 받는 스킬입니다. 그래서 대난투 서바이벌때는 이 스킬만큼 효자 스킬이 없죠.

 

많은 분들이 로켓펀치와 아토믹에서 고민을 하시는데,저는 빨코에서 몰이 사냥을 할때 아토믹을 선택했고 사핼지대에선 로켓펀치를 애용했습니다. 그러니까 즉 상황을 잘 보고 쓰시는걸 추천합니다.

 

 

-새틀라이트

상당히 귀여운 소환수 입니다. 레벨이 올라갈수록 갯수가 증가합니다 (1개-2개-3개). 나중에 4차때 관련 스킬인 세이프티도 있고 비중도 나름 상당한 녀석입니다. 메카닉 유일의 소환수이고 마돌이나 소돌을 먹지않고 시간제한도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공격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점. 유저가 세대 칠동안 이녀석은 한대 칩니다.

그리고 메이플 뉴비님들이 새틀라이트를 보고 뭔지 궁금해 하는데 메카닉 소환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액셀레이터 :Ex-7

맵 전체의 모든 몬스터들에게 적용되는 광범위한 디버프 스킬입니다. 몬스터들의 이속을 올려주는 대신 방어력을 하락합니다. 다만 이 스킬은 초반일때는 재미를 쏠쏠히 못보고 마스터 레벨때 재미를 볼 수 있으니 초반에 이 스킬을 투자하지 마시고 후반에 마스터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당연스럽게도 보스,준보스(성벽몬스터등)에겐 적용 안됩니다.

 

 

-메탈아머:헤비머신건

네~ 나왔습니다. 메카닉 순간적인 화력의 주인공님. 헤비머신건 상태로 들어가면 모든 공격이 크리티컬로 적용됩니다.(단 스킬은 못써지고 기본공격만 가능)보스전 1:1에서 훌륭한 화력을 자랑하고 하향당했지만 하향당했는건지 헷갈릴정도로 과거만큼의 위력을 보여주는 녀석입니다. 그리고 후에 미사일탱크를 배우면 데미지가 더 증가합니다!

 

이 스킬을 초반에 1 찍는 이유가 보통 70대에는 안개바다나 데비존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주로 파퀘) 그때 조금이라도 보스잡이를 단축시키기 위해 1정도를 찍는걸 추천합니다. 특히 안개바다.

 

원본 크기로 보시려면 그림을 클릭하세요.

-마그네틱 필드(과거엔 거의 최강이였다. 허나...)

 

카오스 패치의 가장 큰 피해자 스킬입니다. 예전에는 마스터 하면 마그네틱 필드가 터지고 난 뒤에 바로 스킬 쓰는것이 가능했으나 이젠 후딜이 생겨 그것이 무리이게 됬습니다. 일단 세개의 로봇을 설치하면 저렇게 전기 방전이 일어나는데 그 주변에 있는 몬스터들에게 데미지를 입히고 기절을 시키는 스킬입니다.

 

역시나 이 스킬도 지형빨을 좀 받는 스킬입니다. 저는 빨코에서 3층에서 사용해봤고 202호에서 자주 설치해봤네요.

사핼지대 같은 일자형도 좋지만 레벤광산같은 곳에서도 꽤나 쓸모 있습니다.

 


(자급자족의 메카닉 세계!)

 

- 힐링로봇:H-LX

 

저렇게 힐링로봇이 설치되고 엎드리면 피가 회복되는 스킬입니다. 다만 클레릭의 힐보다는 떨어지는 감도 있으나 보스존에서의 물약 쿨타임을 덜어주는 좋은 스킬이기도 합니다.

 

이 스킬은 쓰는 사람의 역량에 따라서 달라지는 스킬이기도 해요. 잘만 컨트롤 하면 성벽4에서 포션을 잘 안먹고도 힐링포션으로 회복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힐링로봇을 꽤 사용해신 분이라면 회복되는 타이밍을 잘 아실텐데 그때를 노려 엎드리는것도 좋습니다.

 

 

- 럭키다이스

 

각각 번호마다 효과

 

① 꽝

② 방어력 상승 30%

③ MP/HP 30%

④ 크리티컬 확률 15% 증가

⑤ 데미지 20% 증가

⑥ 경험치 30% 증가

 

빅뱅 이후로 모든 해적 직업들에게 생긴 운빨 스킬입니다. 1과 6의 차이가 심하죠? 특히 6같은 경우는 연속3번이 뜨는 경우도 많습니다. 경험치 30% 증가 + 성벽 풀파 + 심 + 2배까지 합하면 경험치가 안드로메다로 날아가기도 합니다.

 

저도 처음에 이 스킬을 무시했지만 무시해선 안될 스킬이란걸 알게 됬어요. 각각 하나하나마다의 능력치가 너무 편해서...

MP/HP맥스같은 경우 피가 빈약한 메카닉의 목숨줄을 늘려주는 스킬이기도 합니다. 크리티컬 15% 확률 증가는 미탱과 합하면 좋은 데미지를 뽑아낼 수 있어요.

 

- 4차 메카닉 스킬 -

※패시브 스킬은 후에 적겠습니다.

 

 

단, 익스트림 대신 타이탄을 선행으로 찍는 분이 있습니다. 상관은 없지만.

메탈아머 익스트림 (1) - 레이저 블래스트 (1) - 메탈아머:미사일탱크 (1) - 워머신:타이탄 (1) - 레이저 블래스트 (M) - 미사일탱크 (M) 메탈아머 익스트림 (M/하지만 익스트림을 중간중간에 찍으셔도 지장은 없습니다) - 메이플 용사 (M) - 앰플리파이어 (M) - 로봇 마스터리 (M) - 그 이후론 어떻게 찍으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메용은 다른 사람들에게 받던가 아니면 자신이 직접 뚫어서 마스터를 하던가 둘중 하나. 메용 마북 가격이 안드로메다

 

사실 4차부터는 딱히 스킬트리라는게 없어요. 마북이라는게 뚫기도 어려워서 스킬을 못찍고 다른대에 투자하는 경우도 종종 있거든요(모아두면 되지만). 그러니까 함부로 남의 스킬트리 가지고 망캐라느니 뭐라느니 하지맙시다.

 

 

(미탱+헤비.위의 헤비머신건 데미지와 비교하면 확실히 차이가 난다.)

 

- 메카4차의 주력스킬들! 메탈아머:미사일탱크/레이저 블래스트

미탱과 레블은 서로 없어선 안될 존재입니다. 미탱이 있어야 레블쓰기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러니 초반에 한쪽을 찍지 말고 꼭! 미탱과 레블을 같이 찍어주시길 바랍니다.특히 레블은 쩔어주는 범위 덕분에 쿰 팔때는데에 좋은 스킬입니다.

거기다가 미탱 상태에서 헤비를 쓰면 헤비머신건의 공격력이 올라가는 일석이조를 자랑하죠!

 

하지만 1/1쓰는 보스와 대면할때는  HP만큼이나 MP관리에 유의해주세요. 미탱이 5초마다 MP를 먹습니다.

미탱 상태에서 스봉을 맞으면 일반공격이 좋기 때문에 스봉 씹어먹고 공격하는게 가능하죠.

 

여담으로 레블은 2번이나 하향당했습니다....신이시여...

 

 


 

- 메카닉 유일무이한 전체공격 스킬, 워머신:타이탄
(렉머신이 아니라?)

 

사실 4차 전직하고 주는 스포3은 익스트림/미탱/레블에 투자해야 정석이지만 익스트림 대신에 타이탄을 찍는 유저분들이 많습니다. 이유는 하나죠- 타이탄이 너무 간지나서!!

 

거기다가 저렇게 공격키를 연타하면 데미지가 2배로 뻥튀기 되어 쩔어주는 데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공격키 연타하는 도중에 죽는 경우가 참~ 많고 렉이 너무 심해서 사람들이 꺼려하는 스킬이죠.

렉을 줄여주지 않는 이상은 사냥터에서 쓰기엔 좀 힘들듯 보입니다.

 

그러니 메카닉 유저 여러분들은 되도록이면 성벽에선 타이탄 사용을 자제해주세요~

 

 


 

- 로보 팩토리 : RM1

저렇게 다람쥐 모양의 상자에서 강아지 로봇들이 나와 자폭해서 터져 죽는 스킬입니다. 다만 문제가 뭐냐면 1찍으면 지속시간도 짧고 어그로를 끄는게 없는지 몹 없는 반대편으로 가서 죽는일도 자주 일어납니다. 그러니 이 스킬을 쓸때는 몹을 구석으로 몰아놓고 구석에서 쓰시는걸 추천드려요.

 

(스샷, 구하는대로 올리겠습니다.)

- 엠플리파이어 : AF - 11

파티원들의 데미지를 퍼센트로 올려주는 스킬입니다. 의외로 범위도 좀 넓습니다. 엠파 범위안에 들어간 캐릭터들은 캐릭터 주변에 붉은빛이 감돕니다.

근데 초반 스킬레벨이 쪼렙일때는 그다지 효과는 잘 못보는 스킬이라서...후반부에 가서 결정될 스킬이겠네요.

 

메카닉 유일의 파티스킬.(힐링로봇 제외)

 

스텟편

 


네...

여러분은 저처럼 안찍으시면 됩니다. 참쉽죠?

 

농담이고 스텟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돈이 많은 쪽.

 

올덱스로 가는 편이 좋습니다.힘은 힘퍼템으로 맞추거나 해서 부족한 힘을 보완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힘퍼템이나 힘템이 가격이 조금 장난이 아닌지라 왠만한 갑부가 아닌 이상은 도전하지 않는 편이 좋아요 ~_~

사실 이쪽을 도전하시겠다면 장난아닌 갑부시겠지만.

 

 

-스텟의 정석

 

힘을 약 30~60정도  까지만 찍고 나머지는 모두 덱스로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정석이라고 제발 자동배분으로 찍지 마세요...저처럼 됩니다.

 

 

사냥터편

 

(관련 스크린샷들은 제가 돌아다니면서 스샷을 찍어온뒤에 내용과 함께 추가하겠습니다. 그리고 입메가 아니라 제가 직접 겪은 사냥터들이에요 ㅠ)

 

정석을 원하신다면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292&l=43

 

 

Lv.30~37

 

 

버섯의 성 마천루에서 아토믹해머로 쓸어주는걸 추천합니다. 그럼 30~37구간은 금방 지나가요. 37찍고 바로 커닝스퀘어로 갈아타시는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Lv.37~45

 



커닝스퀘어를 추천드립니다. 여기까진 정석이네요.

 

커닝스퀘어 퀘스트를 깨시면서 마지막에는 CD를 잡으시거나 아니면 50까지 락스피릿 퀘스트를 안깨고 VIP구역에서 사냥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사냥하는 방법은 제가 말씀드렸던 드릴러쉬 -> 아토믹 이런식으로 하시는게 좋아요.

 

Lv.37~45 (2)

구름공원에서 픽시

 

Lv.45~50

하늘계단의 그류핀/라이오너/샐리온을 잡는데 메카닉에게는 속성공격이 별로 없으나 1차때 배우는 '플레임런처'가 불속성이니 그류핀을 집중적으로 노리것는이...만 저는 그런거 모르고 아토믹만 갈렸네요.

 

Lv.45~50 (2)

에오스탑이나 헬리오스탑의 라츠잡이. 헬리오스탑은 아토믹에게 지형도 알맞아서 좋습니다.

 

Lv.50~58

슬리피우드 던전. 여기서 사냥하시면 뇌전도 잘 떨구죠. 거기다가 드레이크의 동굴(구 개미굴)에서는 넓지만 지형자체는 아주 좋은편이라서 다른 사람들과 파티를 맺거나 하는편도 좋고 솔플로도 잘 오릅니다.

스샷으로 설명해야 하는데 글로 설명하자니 못하겠네요. 후에 추가하겠습니다.

 

Lv.54~64

아랫마을을 추천드립니다. 월묘도 좋지만 특히 삼미호는 귀고리 효자로 유명한 녀석이죠. 이번 패치로 인해서 저주를 더 이상 걸지 않으므로 경험치도 잘 줍니다. 쑥쑥 올라요.

 

Lv.64~68

장난감공장에서의 로보토이들.

 

Lv.64~70

지구방위본부의 쿨란초원등.

 

Lv.68~70

레벤 광산에서 경비로봇등을 학살.

 

Lv.70~77

경비로봇이 질리면 라키로 이동해서 75정도가 될때까지 라키잡이를 하시고 75쯤 되면 라쿤으로 넘어가시는것이 좋습니다.

 

Lv.77~80

사핼지대

 

Lv.77~100

겔리메르 연구소/레벤광산.

다들 레벤광산 무시하시는데 여기 좀 쩔어요. 고향에 돌아와보세요.

 

Lv.85~90

씨투.씨원.

 

 

Lv.90~100

202호. (저는 105때까지 저기서 놀았는데 뇌전이 참...)

 

Lv.100~110

빨간코 해적단의 소굴2 / 빨코미던

 

Lv.110~115

네오시티 파티퀘스트

 

or

 

Lv.110~115

듀얼파이렛

 

Lv.115~120

원탁.

 

Lv.110~145

성벽.

 

Lv.145~165 추길, 후길, 망길 뚫으며 업

 

or 165까지 성벽

 

Lv.165~200(아마도) 미래의문

 

 

 

 

사냥터편은 좀 많이 부족한 느낌입니다. 빠른시일 내에 보충하겠습니다.

 

ps.태클/지적/오타는 언제나 받겠습니다.

 

 

 

 

 

[이 글의 권한은 인벤의 '렌피카'님으로 부터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