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05-26 02:52
조회: 44,249
추천: 67
패스파인더 코어 강화 정리안녕하세요. 패파님들!
오늘은 자기 전에 코어 강화를 정리하고 자려고 이렇게 글을 씁니다! 패파 코강 쉽나요? 어렵나요? 라는 질문으로 시작해서 어떤걸 강화해야하나요? 이거 강화하는거 맞나요? 까지 그리고 더 나아가 이것까지 강화해야하나요? 의 고민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Q. 패파는 무슨 5차 스킬들을 사용하나요? A. 패스파인더 5차 스킬 레이븐 템페스트, 얼티밋 블래스트, 옵시디언 배리어 모험가 궁수 공용 5차 스킬 이볼브 궁수 공용 5차 스킬 가이디드 애로우, 크리티컬 리인포스 모험가 공용 스킬 메이플 여신의 축복 그 외 공용 스킬 ex) 로프커넥트, 에르다 노바, 에르다 의지 등 이렇게 사용합니다. 스킬들의 대한 스펙과 정보는 직접 검색으로 찾아보셔야 합니다! *본 캐릭터 육성, 광부용 육성, 보스돌이 육성 각 칸을 클릭해주시면 칸에 맞는 내용이 나옵니다 * 본캐릭터 육성 광부용 육성 보스돌이 육성 본 캐릭터를 육성하시는 분들에게는 사실상 선택지가 많지는 않아요. 본 캐릭터를 패파로 잡는 순간 모든 코어를 다 강화해야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본캐라는 것이 가장 자주 키우고 아끼는 캐릭터잖아요? 강화 코어로는 블래스트, 디스차지, 레조넌스, 어썰트, 임팩트, 미스텔, 트랜지션, 아스트라까지 다 해주셔야 하는데요. 추천드리는 코어 묶기는 블래스트 | 디스차지 | 레조넌스 어썰트 | 임팩트 | 아스트라 미스텔 | 트랜지션 | 레이븐 (아니면 아무거나 들어가도 지장X) 이렇게 입니다. 블래스트 | 디스차지 | 레조넌스 를 묶는 이유로는 블 디 연계 자체가 패파의 모든 것이고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묶어두는 것이 좋구요. 레조넌스의 경우 사냥에서든 보스에서든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기에 뺄 이유가 없으므로 항상 묶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어썰트 | 임팩트 | 아스트라 를 묶는 이유로는 보스 세팅이기 때문입니다. 어썰트와 임팩트, 레조넌스를 실시간으로 사용하면서 게이지를 줄여야하기 때문에 보스전을 사용할 때 끼시면 됩니다. 미스텔 | 트랜지션 | 레이븐 을 묶는 이유로는 사냥 세팅이기 때문입니다. 본캐로 패파를 결정한 이상 후반 미스텔 원킬과 트랜지션을 이용한 빠른 사냥은 필수 요소입니다. 레이븐은 어차피 템페스트나 이볼브를 사용하기에 없어도 그만이지만 미스텔과 트랜지션은 패파 사냥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미스텔 하나로 사냥터 몹 절반이 날아간다 보시면 좋습니다. Q. 전 어차피 블디 원킬 나는데 트랜지션 꼭 강화해야하나요? A. 네. 트랜지션으로 이동했는데 몹이 안죽으면 거기서 또 블디를 써야하는데 블래스트로 몹이 다 죽으면 그나마 낫지만 안죽으면 또 2마리 잡으려고 스킬 2번쓰는 안타까운 상황이 일어나기도 하며, 짧은 몹 젠 주기에 맞춰 사냥하는데 블디를 쓰는 시간마저 경손실입니다. 스킬 코어 우선 순위 1. 레이븐 템페스트 2. 크리티컬 리인포스 3. 메이플 여신의 축복 4. 얼티밋 블래스트 5. 옵시디언 배리어 레이븐 템페스트의 경우 패파의 극딜 그 자체이므로 먼저 올려주시는 것이 좋으며 크리티컬 리인포스를 레이븐 템페스트와 같이 써줌으로써 극딜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메용2도 마찬가지입니다. 얼티밋 블래스트의 경우 적은 스킬 레벨로도 금방 맥뎀에 막히나, 무릉에서는 꽤나 유용하기에 5위보단 높은 4위가 적당합니다. 배리어는 1레벨이어도 밥 값은 하나 올리면 지속시간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5번째에 위치했습니다. 위 코어들 설명에서 등장한 핵심은 어느 강화 방식을 따르던지 블래스트 | 디스차지 | 레조넌스는 필수로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다른 건 어떻게 묶던 상관은 없지만, 블 디 레 세가지는 이왕이면 묶어서 함께 강화해주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Q. 그러면, 이볼브랑 가이디드 애로우는요? 이것도 강화 해야하나요? A. 아니요! 할 필요 없습니다! 전혀 할 필요가 없어요! 그냥 코어 젬스톤 까서 나오는 거 있으면 그거 끼시고 강화 하셔도 충분합니다. 나중에 여유가 되시면 그때 해주셔도 전혀 늦지 않습니다. Q. 메르세데스는 가이디드 애로우 항상 켜놓고 다니던데 패스파인더는 왜 필요 없나요? A. 가이디드 애로우와 같은 공용 스킬들은 직업 별로 퍼뎀이 다른 것이 아닌 동일합니다. 그렇기에, 스공이 타 궁수보다 높은 메르세데스는 패스파인더보다 훨씬 더 좋은 효율을 내기 때문입니다. Q. 이볼브는요? A. 메르세데스 가이디드 애로우와 비슷하지만 조금은 다른 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스플릿 미스텔과의 상성이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스플릿 미스텔은 여러 마리의 몹을 관통시켜서 사출기를 만들어야하는데 스플릿 미스텔이 공격 스킬이다보니 이볼브가 다 잡아냄으로써 사출기가 나오질 않아 오히려 마릿수를 깎아 먹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Q. 스파이더 인 미러에 대한 스킬은 왜 내용에 포함되지 않나요? A. 이 글을 보시는 주 타겟층이 메린이 패파 분들이기 때문에 스인미는 빼두었습니다! 스인미에 대해서 말하자면 스인미의 경우 강화해주는 것이 좋지만, 이왕이면 가격이 많이나가니 경험의 코어 젬스톤을 통해 레벨을 올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레이븐 템페스트나 크리인도 중요하나 스인미의 활용도도 무시 할 수 없기에 경코젬 올인은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강화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필자의 경우 스인미 레벨은 17레벨까지 경코젬 넣고 크리인과 레이븐 템페스트에 올인했습니다. Q. 와 저 얼블 맥뎀뜨네요 ㅋㅋ 패파 갓캐릭터인듯? A. 이제 계속 보셔야합니다. Q. 위에 나와있는 코강 방식을 무조건 따라해야 하나요? A. 아닙니다. 그저 참고하라는 방식이지 위에 방식대로 강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기에서 섞어서 해도 상관없는데 다만, 나중에 코어칸 부족에 시달릴 위험이 있기도 합니다. 저의 경우 당시 아스트라가 너프 전이어서 성능이 우세해 블래스트, 디스차지, 아스트라 이렇게 묶었는데 최근 바꾸느라 고생했던거 생각하면.. Q. 뭐 강화하는게 좋나요? A. 사실 레이븐 빼고 다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3중 코어가 잘 나오는 편입니다. Q. 패파 코강 많이 어렵나요? A. 사실 코강 자체는 많은 스킬을 가진 직업치고는 쉬운 편입니다. 그렇게 생각한 이유로는 코젬 깔 때마다 나오는 것이 대부분이 3줄이기 때문에 원하는 코강을 하는데 크게 어렵진 않습니다. 다만, 코어 칸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조합대로 짜기란 어렵습니다. 그게 쉬운 직업이 있기는 할까싶지만요. Q. 코젬 몇개정도 까면 될까요? A. 스킬 코어 30레벨 찍고 그러는거 아니면 대충 500개 600개를 까거나 300개 까고 천천히 이벤트 코젬 같은걸로 까면서 육성해도 별 문제 없어보입니다. Q. 이볼브와 가이디드 애로우 둘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뭘 고르실건가요? A. 상황에 따라 다르나 어지간하면 이볼브 고를거 같습니다. 이볼브 자체가 짧은 지속시간과 괜찮은 깡뎀으로 템페 쿨일때 간단하게 딜넣기 좋습니다. 또, 사냥때도 일직선으로 몹을 다 쓸어버리다보니 맵이 어려운 지형에서도 도움이 많이 되구요. 루시드 골렘 쫄몹 처리에도 조금이나마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초 고스펙이라서 몹이 가이디드로 원킬이 난다면 사냥에서 효율이 뛰어난 가이디드를 선택하겠네요. 저스펙에선 효율이 좋지 않지만, 고스펙 기준 미친 마릿수를 자랑하는 스킬이기에 상황마다 다른거 같습니다. Q. 얼블이나 배리어 보면 다른 직업에 비해 5차 스킬 중요도가 떨어져 보이는데 차라리 이볼브나 가이디드를 먼저 찍는 방법은 어떤가요? A. 전용 5차 스킬이 다른 직업에 비해 중요도가 떨어져 보이더라도 전용 5차는 그래도 전용 5차입니다. 얼블의 경우 스킬을 올리면 무릉에서 데미지가 끝도 없이 증가하고 실전에서는 굳이 게이지를 채우지 않아도 막 쏴도 맥뎀이 됩니다. 그렇다는건 언제든 최고 데미지를 뽑아낼 수 있고 렐릭 레볼루션을 사용하면서 언제든 원하는 타이밍에 데미지 신경 안쓰고 가이던스를 끌어올 수 있다는 점이 있네요. 배리어의 경우에도 지속시간이 늘어나면서 데미지도 늘어나는데 하드루시드와 같은 곳에서 이볼브를 킬 이유가 없기 때문에 설치해두면 딜링도 쏠쏠합니다.(좋진 않아요) 이볼브와 가이디드는 그저 서브 스킬일 뿐입니다. Q. 크리티컬 리인포스가 많이 중요한가요? 어차피 크뎀 노블 있어서 효율이 쫌 의심이... A. 크뎀에 30%가 추가되면서 크리인 효율이 예전보다 낮아지긴 했으나 딜 상승량은 버프 스킬중 가장 높은 효율을 보여줍니다. 크리인 대신 메용2를 먼저 선택하기에는 맞지 않는 극딜 주기로 오히려 딜로스가 발생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이 글은 뭔가 급하게 쓴 느낌이 나네요.. 원래는 코어 이미지도 올리고 웹 에디터로 자료도 만들어 놨었는데 인벤에서는 쓸 수 없다고 하네여.. 그래서 그냥 깡 텍스트로 글을 적었습니다.. 보스 팁, 생존 팁, 링크 정리를 올렸는데 코어 정리만 안올렸더라구요. 그래서 이렇게 급하게 적고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패파가 인기가 있는 직업이다보니 하는 사람은 많은데 대답해주는 사람은 별로 없어서 막 강화해볼까 생각하시는 분들이 이 글을 읽으시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글 내용중 이상한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보이신다면 쪽지나, 댓글로 언제든 알려주시고 수정할 내용은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작성자 글 모음 아래 네모칸은 작성자가 사용한 정보 글 링크가 담겨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정보 글로 이동됩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EXP
242,284
(29%)
/ 260,001
프로재획러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http://www.inven.co.kr/board/maple/2296/47235?my=chu&category=%ED%8C%A8%EC%8A%A4%ED%8C%8C%EC%9D%B8%EB%8D%94
패스파인더 생존률 100% 활용하기http://www.inven.co.kr/board/maple/2296/47282?my=chu&category=%ED%8C%A8%EC%8A%A4%ED%8C%8C%EC%9D%B8%EB%8D%94
패스파인더 링크 상황별 정리
http://www.inven.co.kr/board/maple/2296/46125?category=%ED%8C%81/%EC%A0%95%EB%B3%B4
근데 가이디드 애로우는 여유가 된다면 강화를 해주는 게 맞다고 봐요. 풀강,풀지속 기준 스인미보다 딜점유율이 더 높게 나오는데(딜점유율 3%) 이 정도 점유율이면 하드보스리상 스펙에서는 강화를 당연히 고려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사실 제가 가이디드와 이볼브를 만렙찍을 여유가 안되서 해보질 않아가지고
정확한 답을 못드렸던거 같네요 ㅠㅠ
저도 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당
갠적으로 이 코강 방식이 정석이라 보면 되겠네요.
각자 자기만의 방법이 있는 법이져
저도 말은 저렇게 했지만 실제로는
저렇게 안묶었 것도 많은듯해요!
그저 참고 자료일 뿐입니다 ㅋㅋ
디 블 레
이렇게 같이 22레벨인걸 보아하니 조금만 더 강화해서 두 코어만으로도
60레벨을 찍게끔 맞춰주시는게 제일 깔끔할거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트랜 블 디를 깔끔하게 포기할 수 있을겁니다.
만약, 위에 말씀드린 것 처럼 두 코어로 60을 찍게 되셨으면
트랜 블 디 코어를 트랜 임팩 어썰트 이 세 스킬 코어에 합쳐주시면 될것같네요.
트 블 디 코어 레벨이 높으셔서 레이븐을 포함하기 아까우니 어썰트를 포함했습니다.
답글 보면 트랜 임팩 아스트라로 바꾸신다고 하셨는데 좀 아까운거 같습니다.
아스트라 레벨은 이미 어느정도 올려두셔서 더 올리시는건 아깝다는 생각도 듭니다.
왜냐면, 아직 어썰트 임팩트 레벨이 낮기 때문이죠.
위에 블 디 레 , 디 블 레 코어를 60찍으시는 과정에서 트 임 어썰트 코어가 나오면
그 코어에 트랜 디 블 코어를 넣어주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ㅠ
강화하는 것이라면 그게 맞습니다. 언젠간 30레벨을 달성하는게 맞아요.
하지만, 얼티밋 블래스트를 30레벨을 찍겠다고 코어를 수백개를 까고 그러는 순간
저자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얼티밋 블래스트를 레이븐 템페스트를 놔두고 먼저 강화할 이유가 없는것이
맥뎀이 100억이라는 한계치가 정해져있기 때문입니다.
얼티밋 블래스트의 맥뎀은 저자본이어도 금방 경험 할 정도로 데미지가 쌘 스킬이니
우선적으로 강화하는건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주스탯 2만대부터 맥뎀이 뜨기 시작했었네요.
블 디 레 코어에 블 디 아 코어를 강화시켜주면 블 디 아 코어 레벨이
블 디 레 에 옮겨가기 때문에 분해하실 필요는 없구요.
무조건 블디레로 갈 이유도 없습니당
블디아로 꾸준히 하셔도 괜찮아요.
감사합니다! 정성추!!
전 작년 처음 시작할때도 사람들이 블디아 묶길래 왜 저렇게 묶지?? 블디레 묶고 사냥용 보스용 스왑하면서 다니면 안되나? 하고 블디레를 묶었는데 요즘은 이게 정석이 됐네유~
매번 패파 공략글들 잘보고있습니다~
어썰트가 사냥용에 포함시키지 않은건 본 캐릭터만 그렇게 써놨습니다!
그 이유는 사냥에서는 어썰트를 빼도 대부분이 원킬이 나는데 보스에서는 어썰트도 나름 중요한 역할을 하니 사냥에서는 빼게 된 것 입니다.
만약 보스 세팅으로 코어를 바꾸게 되면 어썰트가 빠지거나 아니면
어썰트 하나때문에 사냥 코어를 껴야하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면
코어칸 부족에 허덕이게 됩니다.
그에 비해서 사냥할때는 보스 코어를 하나만 껴두어도 원킬컷을 쉽게 달성할 수 있으니 코어칸이 부족하지 않거나 덜 허덕이게 됩니다.
어썰트를 사냥용에서 빼기에는 아까운 스킬이 맞습니다.
왜냐면 저도 사냥용 코어에서는 어썰트를 넣었으니까 말이져.
정햇다님이 말씀하신 미스텔 트랜지션 어썰트가 사냥용 코어 정리에 나와있는만큼
그렇게 하셔도 문제는 없습니다!
쿨마다 레조 어썰트를 돌려야되나요? 보스전에서 트리플 임팩트의 역할도ㅠㅠㅠ 모르는게 넘많네요 204밖에안되서
블디가 중요합니다. 이거는 모두가 다 아실거에요.
그 외 추가적인 딜 사이클은 레조넌스 쿨에 맞춰서 임팩트 레조넌스를 돌리는거구요.
어썰트의 경우 저주 중첩을 쌓는다거나 생각나면 한번씩 써주고 또 움직이면서 자주 쓰는 편입니다.
임팩트의 경우 공중에서 쓸 경우 즉시 그 자리에서 멈추면서 공중을 체공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더블점프를 쓰면서 원하는 지점에 딱 멈출때 주로 쓰구요.
요약하자면
블디 - 레조넌스 쿨에 맞춰서 트임레조
어썰트는 블디 안쓰는 타이밍에 한번씩 써주기
(주로 이동할때나 트랜지션 이후 + 임팩트 레조 어썰트)
트리플 임팩트의 경우 더블점프하면서 원하는 목적지에 딱 멈추게하거나
윗점후 공중 체공할때 사용
지금처럼 계속 하셔서 완성하시면 쭈욱 쓰시는데 문제 없을듯합니당
만약에 블 디 레 이런 코어가 나와야 하는데
레 블 디 이런순서인 코어가 나와도 블디레로 치는건가요??
아니면 무조건 블 디 레 순서인 코어를 뽑아서 써야해요?? 8ㅅ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