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8-26 02:36
조회: 796,054
추천: 121
[그믐] 413 세팅 가이드 (24.10.17 업데이트)안녕하세요
아크 패시브, 초각성 업데이트로 공략 업데이트 합니다. - 24.10.17 무마 입타 세팅 추천 업데이트 1. 각인, 아크 패시브, 스킬세팅, 룬 뭉툭한 가시 노드 각인 : 원한, 돌격대장, 저주받은 인형, 예리한 둔기, 아드레날린 입식 타격가 노드 각인 : 원한, 돌격대장, 저주받은 인형, 예리한 둔기, 질량 증가(안정된 상태) or 아드레날린 스킬 *영혼 참수로 영혼 강탈을 강제 종료할 수 있게 됨으로 단심이 두 번째에 터져도 어느 정도 효율을 볼 수 있게 되어 다시 속행 채용 가능합니다. ![]() ![]() ![]() ![]() ![]() ![]() ![]() 아크 패시브 1) 뭉툭한 가시 노드 ![]() 한방 딜이 높고 딜찍 레이드에 다소 유리합니다. 그러나 아드 6스택을 유지하지 못할 시 진화형 피해(전각 19.58%, 유각 27.98%) 하락하여 실전 딜 저점이 낮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진화의 경우 기본 틀은 3티어 4티어 노드만 고정이고 치30 신10 베이스에 1티어 2티어 노드는 본인의 악세, 팔찌, 회심, 달인 엘릭서에 따라 최적값을 찾아가면 됩니다. *팁과 노하우 게시판의 "칼슘맨" 님이 등록하신 아크 패시브 계산기(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100459) 활용 추천 2) 입식 타격가 노드 ![]() 입식 타격가 노드는 DPS가 뭉가에 비해 다소 높고 실전 딜의 저점이 높습니다. 다만 아드 대신 질증 채용 시 저점이 조금 더 올라가지만 공속이 느려지는 답답함이 조금 생기고 안상의 경우 생명력 관리를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영혼 참수와 프랜지 사이드로 살귀 딜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영혼 제어도 적절하게 섞어서 투자합니다. 깨달음의 카르마로 98포인트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될 경우는 영혼 참수3, 영혼 강화1 투자할 예정입니다. 뭉툭한 가시 노드의 경우 영혼 제어1을 투자하지 않을 경우는 ![]() 심판2 부터는 두 번째 사이클까지 프랜지 사이드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잠재력 해방 5포인트를 투자해 줍니다. 보스 정산, 기믹 하는 시간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매 사이클마다 사용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딜사이클 영상은 가장 높은 dps를 보기 위해 치는 사이클임을 참고하시고, 러스트 네일은 아래 스킬 순서처럼 카운터, 피면, 부족한 영혼석 수급 등의 활용을 위해 아껴둘 수 있습니다. *영혼 참수로 영혼 강탈을 강제 종료할 수 있게 됨으로 단심이 두 번째에 터져도 어느 정도 효율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가장 효과적인 건 첫 사이클 시작이니 참고해 주세요 영혼 참수는 상황에 따라 준비되는 대로 바로 써도 되지만 상황이 된다면 최대한 살귀 스킬들을 사용하고 마지막에 영혼 참수를 사용합니다. *영혼 강탈 종료 직전에 사용해도 막타까지 강화 데미지가 들어갑니다. 종료와 동시에 사용하지만 않으면 됩니다. 4. 패턴 후 보다 강하게 때릴 수 있는 구조 413의 경우 사신 스킬의 딜 비중이 높아서 가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스 패턴 등으로 사이클이 늘어져서 시너스로 영혼강탈 상태로 진입을 못 하게 된다면 베스티지를 추가로 사용하며 순간딜을 더 끌어올리면서 영혼강탈 진입이 가능합니다. *베스티지를 사용하더라도 다음 사이클에 베스티지가 돌아옵니다. 일반적으로는 강화길로틴-소울시너스 2개 스킬만 쓸 수 있지만 보스 패턴 등으로 다 같이 딜 중단 후 재개할 때 강화길로틴-소울시너스-베스티지 이런 방법으로 3개 스킬을 한 번에 사용함으로 평소보다 더 강하게 때릴 수 있게 됩니다. 그 외에 경계 게이지 상황에 따라 다음 강화길로틴을 사용했을 때 영혼강탈을 진입하게 될 시에는 영혼석 관리 후 일반길로틴 - 소울 드레인 - 강화 시너스 와 같은 방법으로 딜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어렵게 생각할 수 있지만 딜사이클 대로만 따라 해도 전혀 문제없으니 처음엔 딜이 중단 된 이후에는 딜사이클 첫시작 순서대로만 해도 됩니다. 나중에 적응되면 자연스레 응용하게 될 겁니다. 5. 아드 10초 극딜, 20초 극딜 1) 아드 10초 극딜 아드로핀은 하베스트 쓰기 직전에 써도 되지만 여유 있게 길로틴 사용하기 전에 쓰는 걸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가장 강력한 구간은 강길시(베)-리탈-프랜지, 프랜지+영참을 같이 쓰는 구간인 점을 염두에 두시고 상황과 서포터의 버프 타이밍이 겹친다면 이때 쓰시기 바랍니다. 각성기 응용한 딜 고점을 볼 거라면 2각으로 이대로만 쓰시면 됩니다. 6. FAQ Q1 : 보석 우선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A : 딜비중 대로라면 길로틴>리탈>베스>하베>시너스 순입니다. 다만 시너스를 강화로 때리거나 베스티지를 한 번 더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딜 몰이나 영수증을 고려해서 겁화는 사신 보석을 우선순위로 높이는 걸 추천합니다. 작열은 길로틴=시너스>루나=하베>베스>리탈 입니다. Q2 : 영혼 참수 쓰기 어렵지 않나요? A : 프랜지 사이드 심판 채용 후에는 수월해집니다. 다만 영혼 참수 각에 보스가 기믹하러 사라지면 너무 슬픕니다. Q3 : 아크 패시브 이후 그믐 괜찮나요? A : 좋습니다. 딜 구조적인 부분 덕분에 여전히 실전 딜 0티어 성능이라고 봅니다. Q4 : 달인 회심 둘 중 어떤 게 더 좋나요? A : 치적 시너지가 없을 땐 달인, 있을 땐 회심이 좋습니다. 상단에 링크했던 아크 패시브 계산기 활용하세요. Q5 : 데스 피날레는 선택지에 없나요? A : 없습니다. Q6 : 무마를 줘도 되나요? A : 영혼 참수를 위한 스킬 9번 사용을 보다 빠른 시간 안에 만족시키길 원하신다면 쓰셔도 좋습니다. 다만, 도약 2포인트 기준 프랜지 사이드를 두 사이클에 연달아 쓰는 목적으로 채택하신 거라면 혼강2 극치로도 2번째 사이클 2번째 리탈 전에 동일하게 준비되기 때문에 고점인 극치 혼강2를 주는 걸 추천합니다. Q7 : 아드 유각이나 팔찌, 반지로 치명을 더 가져왔을 때 신속 주는 게 좋을까요? A : 회심을 가고 치적 초과분 만큼 예감에서 한돌을 주는 게 좋습니다. 파티에 치적시너지가 1~2명일 때 회심+한돌3 세팅으로도 더 이상 딜이 오르지 않는 구간부터 신속을 줍니다. Q8 : 자체 치적은 몇 %가 고점인가요? A : 회심+한돌3이 가장 고점인데 아드 유각 기준 74.34%, 전각 기준 80.34% 입니다. 아래는 예시로 현재 제 세팅 기준 효율 계산한 내용입니다. 아크 패시브 계산기 활용해서 본인 세팅에 맞게 찾으시면 됩니다. ![]() 7. 마치며 감사합니다.
EXP
414,211
(50%)
/ 432,0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1 ~ 100 번째 댓글 [보기]
101 ~ 200 번째 댓글 [보기]
201 ~ 300 번째 댓글 [보기]
301 ~ 400 번째 댓글 [보기]
401 ~ 500 번째 댓글 [보기]
501 ~ 600 번째 댓글 [보기]
601 ~ 번째 댓글
기준점
무1혼1 치명30 신속10 길로틴스윙 8작기준 쿨타임 16.69초
무1혼1 치명29 신속11 길로틴스윙 8작기준 쿨타임 16.48초
무1혼1 치명30 신속10에비해 스킬계수 1.21%감소(하베제외)
혼2 치명24 신속16 길로틴스윙 8작기준 쿨타임 16.6초
무1혼1 치명30 신속10에 비해 스킬계수 2.09%감소(하베제외)
신속 특성이 가지는 가치는 공속 한개 뿐이긴 합니다
쿨감량이 완전 동일하진 않아서 1P만큼 조율한 비교군을 한개 더 넣어봤어요.
혼강 치명 수치로 증가하는 진피랑 무마의 진피는 다르게 계산이 되는 것 같네요.
실제로 쳤을 때 확실히 혼강2에 신속 336 준 것보단 무마1의 딜이 조금 더 높게 나왔네요.
스킬 쿨감은 336만큼 신속을 줬을 때 실제로도 조금 더 빠른 건 맞았지만 쿨감 약간에 공속뿐이라 무마가 확실히 나은 선택인 것 같습니다.
다만 무마를 주지 않더라도 2번째 사이클 2번째 리탈 전에 똑같이 프랜지가 준비되기 때문에 스킬 쿨이 조금 늘어나는 거에 불편함이 없으시다면 고점인 혼강2에 극치 세팅을 추천드립니다.
보통 3사이클까지 계속 치는 상황은 베히모스 외에는 없어서요.
1~2사이클 > 휴식 > 1~2사이클 > 휴식
이런 상황이 반복된다면 깨달음을 주는 게 더 좋긴 하겠지만 어디까지나 허수아비 같은 상황에서나 가능한 것이고,
두 번째 프랜지는 영혼 강탈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준비되기 때문에 상황이 좋지 않다면 프랜지, 리탈, 영혼 참수 셋 중 하나를 못 쓰게 될 수 있어서 저는 도약을 먼저 주는 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좋은 쪽으로 개선 됐으면 좋겠네요
뭉가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지금 예감1 혼강2 주면 자체치적이 정확히 109퍼가 나오거든요.
1. 백어택은 119퍼로 들어가는지?
2. 만약 1번이 맞다면, 치적시너지 들어오면 오버치적이 나니까 혼강을 파괴전차로 바꿔주면 되는지?
혼자서 트리시온에서 길로틴,시너스 각각 마용/뭉가 데미지 비교해보니 119%로 들어가는것 같긴 한데, 연구하시는 분께 한번 여쭤봅니다.
2. 파전 보다는 무마가 낫고, 엘릭서가 되신다면 달인 -> 회심이 좋습니다.
제일 비슷해 보이는건 본문의 치26 회심 한돌 or 치24 회심 한돌 이렇게 2개가 환각때의 치적과 비슷하다고 느끼는데 맞을까요? 그리고 뭉가를 고정으로 하라고 되어있던데, 뭉가 대신 입타는 효율이 많이 안좋을까요?? 극 고점을 고려하고 플레이 하는 스타일이 아니다보니 혹시라도 입타의 사용은 별로일까 하여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치신 반반을 쿨감이 아닌 공속 때문에 채용하신 거라면 무마를 한돌로 변경하시면 비슷한 맛이 납니다.
팔찌로 공속 가져올 수 있는 방법도 생겨서 팔찌 저격도 좋은 선택입니다.
오늘 그믐 업데이트 소식 듣고 부캐 그믐 다시 살렸는데
가이드 다시 보니 입타 그믐은 아드대신에 질증을 간다고 하셔서..
제가 돌대 9 아드7 돌인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97돌 포기해야하는건가요
저는 주력 8겁에 길시는 7작을쓰고잇는데 그믐이 이번 영참이 바뀌면서 그냥 이 경우도 한돌3 무마2 입타2 쓰나요?
지금은 끝마2 한돌1 무마2 입타2쓰고있습니다.
그래도 유각없으면 무마입타빌드가 좋은가요?
예둔 돌대는 유각있습니다
치적 시너지 들어왔을 때 수치 보고 달인을 회심으로 바꾸는 정도로 추천합니다.
질량 증가(안정된 상태) or 아드레날린 이중에 안상은 제외하고 질증이랑 아드랑 선택지가 왜 나뉘는걸까요??
한돌 무마 입타 빌드가 더 낫다고 보시나요? 한돌찍으면 1경계 1프렌지가 안되는거 같아서요 1680배럭이라 당장 도약 70은 힘듭니당
고정팟이 있을 경우는 딜 팀포에 따라서 영참까지 들어가는 세팅으로 찾아가시면 됩니다
극치에 각인은 원 돌 예 저 아 쓰고 있습니다.
이번에 포피셜 유튜브 보고 제 캐릭터를 로스트빌드로 시뮬 돌려보니까, 한방 딜은 낮아지는데 DPS 자체는 5퍼 정도 올라서 이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혹시 1660 5부위 7겁작 둘둘에서는 뭉가, 입타 중 어느게 좋을까요? 70이 아니다보니 영참을 못써서요 ㅎ..
혹시 97질량아드돌 낀 1660 5부위 소울이면 앜패, 각인 어떻게 찍는게 좋을까요? 일단 한동안 1660 주차할 생각인데 어떻게 찍어두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1640 이후에 봐야하는 공략글인가용??
하베스트 부분 아덴 쌓이는 순간을 하베스트 - 길로틴 - (+하베스트 사신출현 트포) 이라고 생각하시고 길로틴을 하베스트 누르고 다 나가길 기다리지마시고 빠르게 눌러보세용
그러면 하베스트의 사신출현 트포 만큼의 아덴은 따로 길로틴 강화로 나간후에 찹니다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좋은 가이드를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렇게 댓글 적은 이유가 다름이 아니라
Ember님의 가이드가 너무 좋아서
제 유투브의 가이드 모음집 영상에서 해당 가이드가 소개되었습니다.
원래는 먼저 여쭈어보고 영상에 포함을 시켰어야 했는데 제가 아직 초보 유투버여서 영상에 포함하고 업로드한 뒤 이렇게 연락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영상에 포함되지 않기를 원하시면,
이 댓글의 답글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확인 즉시 해당 부분을 편집 기능으로 통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해당 가이드가 포함된 영상 사이트 주소는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