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8-22 15:17
조회: 133,317
추천: 47
건슬 아크패시브에 대해 이것저것 쓰는 글(개인적으로 편집한 영상입니다, 영상은 안 보셔도 무방하고 글만 읽으셔도 괜찮습니다) ![]() 아크패시브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거나 여쭈어보이는 부분 위주로 작성했습니다. 개인 주관이 많이 담겨 있습니다, 절대적인 사실만 서술해놓은 건 아니므로 참고하는 데에 사용해주세요. 시간이 없으시다면 문단마다 맨 아래에 볼드로 요악해둔 부분만 읽어주세요. 세번째 문단은 그냥 다 읽으세용. 1. 아크패시브로 언제 넘어가야 하는가 / 유물악세로 아크패시브를 넘어가면 딜증이 어느정도인가? 최근에 본 질문 중 가장 많은 주제인 것 같습니다 아크패시브 전,후의 스탠스별 딜증을 계산해 언제 넘어가는 것이 효율적인지 살펴보았습니다 기준이 된 스펙은 이렇습니다 아크패시브 전 원예저타피아 333331 세팅 / 악몽 세트 특성 치명 1797 / 특화 694 아크패시브 후 깨달음 포인트 72 (상깨물 X / 전투레벨 70) 에기르 고대장비 2부위 계승 원예저타아 33333 (모두 전각) 예둔,아드 77돌 특성 치명 1547 / 특화 944 진화는 한돌2 - 무마2까지 3티어 노드를 찍은 상태이며 깨달음은 메인노드 (피스메이커-라이플) 2레벨에 시크릿불릿 4레벨을 찍은 상태입니다. (메인노드 3레벨보다 메인노드 1레벨을 내린 후 시크릿불릿 4레벨을 찍어주는 것이 딜증 기댓값이 조금 더 좋습니다.) 진화트리에 관해서는 다른 문단에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암튼 기준이 된 조건으로 아크패시브를 넘어갔을 때, 스탠스별 딜 증감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크패시브로 넘어갔을 때 딜 변화 (악세 고려 X) 핸드건(레오불) - 18.27% 증가 샷건 - 6.83% 감소 라이플 - 12.68% 감소 궁 - 11.9% 증가 쿨타임 감소 14% 증가 악세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딜 감소율이 커 사용이 어려워 보입니다. 하지만 유물 중단일 이상은 큰 가격부담 없이 맞추는 것이 가능하고, 기존 3티어 악세에서 4티어 3연마 악세로 변경할 때 부위당 약 3천가량의 스텟이 상승하기 때문에 (민첩) 해당 부분도 고려해 보았습니다. 악세 올 중단일 기준 (중잡잡 5부위) 핸드건(레오불) - 24.18% 증가 샷건 - 1.47% 감소 라이플 - 7.31% 감소 궁 - 17.49% 증가 쿨타임 감소 14% 증가 악세 특옵만 가정해도 더 쎄지는데, 약 1.5만가량 늘어난 악세 스텟까지 계산하게 된다면 2%가량 더 강해집니다. (장비 강화 수치에 따라 변동됨) 즉 중단일 악세로만 넘어가도 큰 폭으로 딜이 올라가며, 만약 상깨물이 있다고 가정하면 훨씬 더 쎄집니다. 결론 에기르 고대장비 2부위 / 올 유물악세 (중단일 이상) / 전투레벨 66레벨 / 올 전각 / 상깨물이 없는 상태 기준 아크패시브로 넘어가면 유의미하게 강해집니다. 보이는 영수증은 다소 내려갈 수 있으나 쿨감 14%가 확보되어 실질 딜량은 더 늘어나게 됩니다. 만약 전각 1~2개를 통째로 덜 읽더라도 아크패시브 세팅이 비슷하거나 더 강하며 상깨물까지 있다면 전각 3개가 없어도 넘어가는 데에 문제가 없습니다. 만약 유물 각인을 2개이상 읽은 상태고, 상깨물도 있고 전투레벨이 68레벨 이상이라면 고대장비 1부위 만으로도 아크패시브로 넘어가면 더 강해집니다. (1680이상 고대악세라면 고대계승 1부위부터 그냥 무조건 넘어가면 쎕니다) 2. 진화 트리별 딜증 수치 비교 건슬은 스킬마다 특화 효율이 적용되는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해당 결과를 뽑기 위해서는 스킬별 딜지분을 측정한 뒤 지분만큼 특화를 따로 연산해주는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카멘 4관문의 플레이 영상을 찍어 데미지 로그를 손기입해 지분을 따봤으며, 해당 로그는 아래 스프레드 시트 링크에 적어두었습니다. 4관인 이유는 에기르는 이제 딜기믹딜 딜찍이라 스킬 딜지분이 크리 유무에 따라 크게 갈리거나, 기믹 사이 빠르게 우겨넣는 마절포타, 각성기의 딜지분(특히 각성기) 이 어마어마하게 뻥튀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다른 레이드들도 죄다 딜찍이라 비슷한 문제를 공유했기에, 그나마 업타임이 긴 카멘 4관문에 지인 딱렙딜러 5명을 섭외해 최대한 오래 때린 결과로 측정을 했습니다. 플레이 세팅은 한돌3/ 무마1혼신1 / 마용2 를 사용하는 범용적인 트리이며 마절포타 9겁 / 대퍼레 8겁 (대12 퍼11 레13 레벨입니다) 각인은 원예저아안(안상) 을 올 전각으로 착용했습니다. Youtube Loading 손미터기 스프레드 시트 링크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8PtoiG90sBLMs0eS0mepjsmYnYVIB1KONyBvTKbmQX0/pubhtml (개인적으로 보기 편하게 막 적어둬서 정리가 잘 안되어 있어요) 손미터기를 딴 결과는 이러합니다. 영상 손미터기 딜지분 마탄 19.23% 절멸 14.04% 포샷 20.05% 타다 11.78% 대재앙 8.18% 퍼샷 6.71% 레오불 10.34% 핸드건 짤스킬 1.58% 중독(유탄) - 0.98% 출혈(나선) - 1.66% 만찬,심판,암수 - 0.66% 궁 - 3.81% 전승자 - 0.53% 물론 단 한판을 측정한 결과이므로 어느정도 걸러볼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히 크리 운이나 스킬 쓰는 순서에 따라서도 지분이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여기에 몇부분 더 해설을 적어보자면 모든 스킬들 중 포샷을 가장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포샷의 쿨타임이 주력기들 중에서는 짧은 편이라, 딜구간이 짧은 구간에서 사용 횟수가 올라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포대마절, 대레퍼를 쓰고 다음 사이클에 가장 먼저 쿨타임이 돌아온 포커스샷을 쓴 직후에 기믹에 가는 등) 그리고 기존에는 대마절 위주로 단심을 묻혀 포커스샷과 쿨타임을 비슷하게 하는 플레이를 했었는데, 단심 미사용으로 포커스샷만 쿨타임이 짧아지게 된 것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궁의 지분이 실제보다 많이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아드로핀 마다 궁을 사용해야 하는데 4관에서는 궁 한번이 통째로 빗나갔고, 한번은 예둔이 터져버리기도 했고 /5관에서는 궁을 사용할 수 있는 업타임인데도 아예 사용하지 않았고 / 6관에선 레이드 특성상 아드로핀 없이 궁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서포터의 버프 타임에 아드로핀을 먹은 상태로 궁을 쿨마다 꾸준히 사용하므로, 해당 부분을 감안한다면 궁 딜지분이 5~6.5%까지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에기르에서는 지분이 7%~ / 아게오로스에서는 12%~++까지도 나옵니당.) 그리고 중독 룬은 제가 아직은 고급으로 착용하고 있는데, 그냥 전설을 먹었다는 기준으로 측정했습니다. (단순히 틱뎀 3번을 6번으로 늘려 측정했습니다.) 기타 유난히 잘 맞은 스킬이라던지, 유난히 빗나간 스킬, 크리 보정 등등을 감안해 개인적으로 수정한 최종 딜 지분 수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적인 레이드 스킬별 딜 지분 예상치 마탄 19% 절멸 14.5% 포샷 20% 타다 12.4% 대재앙 8% 퍼샷 6.5% 레오불 10% 핸드건 짤스킬 1.5% 출혈/중독 2.6% 궁 5.5% 해당 딜지분을 토대로 진화 노드별로 딜증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산은 시즌4 딜량 계산기에 건슬 특화 효율을 짬뽕해서 직접 만든 엑셀 계산기를 사용했습니다. 기준이 되는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준 스펙 악세 특옵 X (잡잡잡) 올 전각 치피 251% (예둔 44% + 엘릭서 하의 7%가 끝, 어빌스톤 X) 회심 12% 에기르 고대 계승 풀피스 1. 한계돌파 3 / 무한한 마력 1, 혼신의 강타 1 / 마나 용광로 2 - 딜 100 - 쿨감 7% 일반적으로는 해당 세팅을 사용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2. 한계돌파 3 / 무한한 마력 2 / 마나 용광로 2 - 딜 96.28 - 쿨감 14% 최종적으로 14%의 쿨감을 얻게 되는데, 쿨누수가 심해 일반적으로 사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후술하겠지만 허수아비인 아게오로스나 베히모스 등의 레이드에서도 다른 세팅에 밀려 사실상 사용하지 않게 된 트리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카멘 3관문 초기처럼 정말 죽치고 오랫동안 때려야 하는 레이드가 생긴다면 사용을 고려해봅시당. 3. 한계돌파 3 / 혼신의 강타 2 / 마나 용광로 2 - 딜 103.35 - 쿨감 0% 기준 세팅보다 딜이 3.35% 상승하고 쿨감이 사라집니다. 해당 세팅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동일 쿨감인 뭉가 세팅보다 딜이 약간 낮으며 최종적으로 치적 악세와 아드 유물각인을 읽는다는 가정 하에 오버치적이 되어 사용하기가 애매해져 버립니다. 4. 한계돌파 3 / 무한한 마력 1 , 파괴전차 1 / 마나 용광로 2 - 딜 98.41 - 쿨감 7% - 공속 4% 5. 예리한 감각 2 , 한계돌파 1 / 무한한 마력 1 , 혼신의 강타 1 / 마나 용광로 2 - 딜 98.73 - 쿨감 7% 6. 예리한 감각 2 , 한계돌파 1 / 무한한 마력 1 , 파괴전차 1 / 마나 용광로 2 - 딜 97.65 - 쿨감 7% - 공속 4% 7. 예리한 감각 2 , 한계돌파 1 / 혼신의 강타 2 / 뭉툭한 가시 2 - 딜 103.44 - 쿨감 0% 마나용광로에 혼신 2를 찍은 딜몰빵 세팅보다 미세하게 강해졌습니다. 원래 뭉가트리가 마용트리보다 부족했는데, 마용이 적용되지 않는 출혈/중독/궁 딜지분을 포함해 계산한 결과 뭉가가 조금 더 강해지는 결과가 나왔네요. 마용 효과를 받지 못하던 궁이 뭉가의 모든 진피증 효과를 받게 바뀜으로써 아게오로스처럼 딜타임이 짧거나, 딜기믹딜 레이드거나, 순간적인 딜뻥이 있는 레이드에서 효용성이 높습니다. 물론 크리가 안뜨면 너무 슬픕니다. 8. 예리한 감각 2 , 최적화 훈련 1 / 혼신의 강타 2 / 뭉툭한 가시 2 - 딜 100.85 - 쿨감 4% 기준 세팅보다 딜이 0.85%밖에 늘어나지 않는 반면 쿨감이 3% 낮아집니다. 고려하지 않아도 괜찮아 보입니다. 9. 예리한 감각 2 , 한계돌파 1 / 혼신의 강타 2 / 뭉툭한 가시 2 / 달인 엘릭서 - 딜 96.42 - 쿨감 0% 달인으로 올라간 치적만큼 특화스텟을 찍게 되어 효율이 똥이 되네요, 고려하지 않아도 괜찮아 보입니다. 결론 사용을 고려해볼 세팅은 두가지로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한계돌파 3 / 무한한 마력 1 , 혼신의 강타 1 / 마나 용광로 2 가장 범용적이고 일반적인 트리로, 어디에 사용해도 무난합니다. 2. 예리한 감각 2 , 한계돌파 1 / 혼신의 강타 2 / 뭉툭한 가시 2 위 세팅보다 딜이 3.44% 증가하고 쿨감 7%가 사라집니다. 가디언, 딜찍 레이드, 딜기믹 레이드 등 한정적인 사용에서 사용하면 효용성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레이드에 사용해도 나름 괜찮습니다. 다만, 뭉툭한 가시 특성상 추가 스펙업 (아드/예둔 유각, 치적 치피 악세) 으로 치적이나 치피가 올라갈 시 효율이 약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드/예둔 유물각인에 악세 상중 (치피상 치적중) 을 모두 착용한다고 가정할 시 뭉가세팅과 마용세팅의 딜 차이는 2.8%까지 좁혀집니다. (+추가) 초각성 스킬의 등장으로, 마나 용광로 풀효율을 적용받는 스킬이 생김 + 각성기 하나만큼의 지분이 초각성기로 변경되게 됨으로써 뭉툭한 가시 세팅의 효율이 약간 더 내려갔습니다. 이제는 뭉툭한 가시의 효용성이 많이 낮아져, 정말 딜찍이 아닌 상황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어빌스톤 / 각인 / 악세 / 유각 / 보석 딜증 효율 스킬별 딜지분이 있으니 여러가지 이것저것들의 딜증 효율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결과를 보는 건 간단하지만 계산 노가다는 좀 힘들긴 하내요,, 어빌리티 스톤 (77돌, LV2 기준) 딜증 효율 - 원한 3.18% - 저받 3.29% - 타대 3.28% - 예둔 3.49% - 아드 3.41% 이미 깎인 돌이 있다면 바꿀 필요는 크게 없어 보입니다. 만약 돌을 처음 깎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예둔/아드 돌을 깎는 것이 좋아보이네요. 원한/타대 77돌을 끼고 있다면 예둔/아드 77돌로 바꾸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약 0.43%의 딜량이 상승합니다. 타격의 대가 각인의 딜증 효율 - 13% 안상 유지율이 92.8% 이상이면 타대보다 효율 UP + 해당 결과에서 초각성 스킬이 등장하고, 초각성기의 등장으로 궁 하나만큼의 지분이 내려가 타격의 대가의 딜증 효율은 조금 더 올라가 약 13%가 됩니다 안상 유지율이 전체 업타임 중 92.8% 이상이면 타대보다 고점 자체는 올라갑니다. 체력 관리에 자신이 있고 레이드가 충분히 숙달되어 있다면 안상 등의 각인을 고려하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바드가 평생깐부거나 공속 시너지 직업이 있다면 질증 사용을 고려해 보는것도? (잘모르겟슴) 마효증의 딜증 효율은 약 12.1% 정도가 나옵니다. 상단일 치피 반지 두부위(치피 8%)를 샀을 때의 딜 증가량 - 마용기준 2.98% / 뭉가기준 2.8% 현재 치피 반지가 좀 많이 비싼 걸 감안하면 악세 구매 효율은 목걸이 > 귀걸이 > 반지 순이 될 것 같습니다. 반지는 무조건 치피로 구매하세요, 치적은 효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해당 이유로 상중이나 상상 등의 악세로 교체할 때도 반지는 가장 나중순위입니다. 유물 각인서 별 딜 증가량 (20장 다 읽을 때) - 아드레날린 마용기준 3.55% / 뭉가기준 3.25% - 예리한 둔기 마용기준 2.89% / 뭉가기준 2.74% - 저주받은 인형 2.63% (+ 안상) - 타격의 대가 2.63% - 원한 2.54% (+ 타격의 대가 딜증 효율이 수정되었습니다) 그냥 깡 딜증만 본다면 아드레날린이 넘사입니다. 근데 가격도 넘사네요, 그때그때 가격을 보고 결정하면 좋을 듯 합니다. 보석 딜 증가량 (올 8겁8작 기준) - 마절포타를 9겁으로 올릴 시 딜 2.67% 상승 - 여기서 대퍼레를 9겁으로 더 올리면 딜 1.27% 상승 - 여기서 마절포타를 10겁으로 올릴 시 딜 2.61% 상승 - 대퍼레까지 10겁으로 올리면 딜 1.25% 상승 10겁은 정말 리스펙입니다. 4. 기타등등 마용은 치적 90% (샷건기준 100%) 에 맞추고 뭉가는 치적 109.28% (샷건기준 119.28%) 에 맞추는 것이 맞습니다. 혹시나 해서 뭉가 오버치적이나 언더치적으로도 계산을 해 보았는데, 샷건 만치적에 딱 맞추는 것이 제일 쎄네요. 만약 스텟이 딱 떨어지지 않는다면 오버치적보다는 언더치적이 더 낫습니다. 마용 세팅을 하는데 치적 92 or 88 둘중 하나로만 된다면 88%를 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순환 팔찌 치적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순환 하옵을 받는 기준 치적 90% / 87.5% / 85% 로 나누어 계산을 해 보았는데 90% 기준이 가장 쎄네요, 다르게 말하면 순환의 치적 옵션은 4할정도는 버려지는 옵션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EXP
2,629
(14%)
/ 2,8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특화 효율이 별로라 제가 개인적으로 계산해 봤을 땐 치명관련 진화 주고 특화 더 주기보다 그냥 치명스탯을 더주는게 좀더 높게 나왔던거 같은데(스킬 딜비중은 고려안하고 샷건, 라이플 기준으로만 봤었음)
실제로 허수도 쳐보면 예감이나 혼강주기보다 극치로 해서 하는게 dps 더 높았던거 같네요
6m 무마2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뭉가를써야하나 무마2를 써야하나 고민하고 있습니다.
피메 혼2뭉2가 제일 쌜까요?
혹시 무마1 혼강1에 달인 엘릭서를 낀 뭉가트리는 어떨까요?? 특화를 덜올리는만큼 보다 나을것 같은데...
세팅두개로 한동안 다닐거같습니다
다만 치적시너지들어오면 애매해지네요....
지금은 혀깨물이지만 평주2렙에 치적반지끼면 치명스탯을 10줘도 오버가되버려서
하나 사기로 맘먹어쒀
치25 특15로해서 안상이나 타대뭔가아쉬워서 질증파괴전차 최근사용중입니다
생각보다 실전에 쓸만한거 같아서 효율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