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간단 운용 가이드
개인적으로는 로스트아크에서 서포터의 역할은
1. 보스의 패턴을 딜러들이 무사히 흘릴 수 있게 한다(케어)
2. 딜러들이 딜각일 때 딜을 최대한 강하게 넣을 수 있게 한다(버프)
이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1번이 용맹의 연주(공깎), 윈오뮤, 광시곡, 수연 등을 쓰면서
딜러들의 체력이 널뛰지 않게 막아주는 것이고
2번이 연속성 있는 낙인/공버프 유지와 더불어 확정적인 딜타임에 아덴을 올려서
딜러들이 강하게 때리도록 하는 것입니다.
저는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아래 요소들을 생각하면서 플레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보스 패턴 인지하고 버프 넣기
바드의 경우 천상의 연주, 소나티네, 율동의 하프에는 경직 면역이 없습니다.
보스 턴일 때 무지성으로 저 세개 스킬을 쓰게 되면 살짝만 스쳐도 공증과 낙인이 끊기게 됩니다.
2. 아리아와 심포니아의 가동률 높이기
종종 피드백을 드리다 보면 심포니아와 아리아를 너무 오래 들고 계신 분들이 정말정말 많습니다.
"내가 보스 체력 줄 수를 정확히 알고 이 때 보스가 반드시 그로기라 아껴놓아야 한다"는 경우가 아니면
심포니아와 아리아는 계속해서 돌려주세요.
입문자 분들은 저걸 꽁꽁 싸매고 이때 써야지! 하는 인지를 갖는 것 보다
무지성으로 쿨 돌때마다 굴리면서 연습하시다가 아 이때는 잠깐 아껴야겠다 하고 피드백을 하시는 게
보다 올바른 방향으로 갈 확률이 높습니다.
3. 선각자와 마나의 흐름 스택 반드시 유지하기
선각자와 마나의 흐름 스택은 쿨타임 감소와 아군 공격력 강화 수치에 있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납니다.
이동할 때는 소나티네 - 스페이스 바 < 이렇게 해서 선각자를 유지하시고
레이드 입장 전에도 선각자/마흐 스택 풀로 땡겨놓고 오프닝에 들어갈 준비를 하시고
기믹 중간중간에도 수연/하프 등을 이용해서 선각자/마흐 스택 유지를 하시는 연습을 하셔야 합니다.
정말 유의미하게 큰 차이가 나니까 반드시 인지하고 게임하셔야 합니다.
이건 비단 바드뿐만이 아니라 도화가, 홀리나이트 모두 포함됩니다.
4. 아드 딜타임 이후 1버블 절구 주기
우리가 통상적으로 딜타임을 갖는 구간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1막 1페이즈의 기믹 직후 그로기라던가, 2막 2페이즈 정산 이후 저가무력, 베히모스의 머리딜 등
서포터가 풀버프를 주면서 딜러들이 아드로핀을 먹고 풀딜을 하는 구간이 레이드마다 있습니다.
서포터는 이 때 이 구간이 언젠지 알아 두고, 아드딜타임 이후 공통적으로 깎인 체력을 회복시켜 주세요.
만약 아드타임 이후 힐을 주지 않으면 딜러는 4개의 물약만으로 레이드를 하는 셈이 됩니다.
5. 딜타임 들어가기 전에 미리 버프 다 올려주기
딜러들은 사전작업이 보통 길지 않습니다. 혹은 딜타임이 들어가기 전에 미리 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딜타임에 들어갔을 때 버프를 올리기 시작하면, 가장 강한 초각스킬 등이 이미 들어간 상태에서
용맹 아리아가 들어가고 나머지 짤딜기에만 버프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만약 무력 후 그로기 타임인 경우라면 무력화 게이지가 1/10 미만으로 남은 경우 버프를 다 올리시고
베히 머리같은 경우 날개의 체력을 확인하시어 체력이 약 1/5 미만인 경우에 올리는 등
미리미리 사전작업을 마치고 딜타임이 오자마자 딜러가 스킬을 넣어도 버프가 다 들어가게 해 주세요.
6. 빛의 광시곡 운용
빛의 광시곡은 총 3타가 나가는 스킬로, 각 타수마다 딜러에게 3초간의 실드와 75% 데미지 감소를 부여합니다.
광시곡은 다른 스킬들과는 다르게 쿨타임마다 막 돌리는 스킬은 아닙니다.
딜러가 케어가 필요한 상황에만 적절하게 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스킬입니다.
스킬을 쿨타임마다 돌리면 실드 가동률이 올라갈 수는 있으나,
광시곡이 꼭 필요한 순간에 광시곡이 쿨타임이라면 높은 확률로 딜러가 죽을 수도 있습니다.
입문자시라면, 레이드 트라이 도중 특정 짤패턴에서 딜러가 의문사가 나는 경험을 해 보셨을 겁니다.
가령, 3막 3관 모르둠의 왼팔꿈치 찍기, 2막 2관 아브렐슈드의 지상 부채꼴 패턴, 1막 1,2관의 저가 등
이런 상황을 겪고 나면, 기억해 두었다가 다음에는 이런 패턴에 광시곡을 씌워주는 등의 러닝 커브를 가져가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7. 피격이상 면역 스킬 파악하기
바드의 스킬에는 피격이상 면역 스킬이 많습니다.
이동기(스페이스), 수호의 연주, 음파 진동, 빛의 광시곡이 기본적으로 피격이상 면역 스킬이며,
당연하게도 심포니아와, 그리고 아이덴티티(용맹, 절구) 스킬도 피격이상 면역입니다.
특히 3막 3관 모르둠과 같은 네임드에서는 본인의 피격이상 면역 스킬을 잘 인지해 주시고
만약 패턴을 피하기 힘든 상황인데 기본 피격이상 면역 스킬들이 전부 없다면
아래의 각성기, 아이덴티티까지 활용해서 피격이상 면역을 활용해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서포터 데스나 투다운은 딜러의 그것과 무게감이 다릅니다.
가급적이면 투다운이나 낙사로 인한 죽음을 당하지 않도록 모든 것을 활용해 보세요.
8. 용맹 버블 운용
바드는 반드시 3버블로만 운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유연하게 2버블 용맹, 1버블 절구 전환을 해도 충분히 성능이 나옵니다.
카운터 딜타임이나, 짤패턴 중 딜타임이 보장되는 패턴이 나오는 경우,
2버블밖에 없으시다면 2버블 용맹을 올려줘도 충분합니다.
또한, 1670레벨 이후 도약의 카르마를 개방하시게 되면 도약 2티어를 찍으실 수 있는데
여기서 풍요의 랩소디를 찍게 되면 각각 아리아 사용 시 0.1, 0.2 0.3버블이 찹니다.
이를 활용하셔서, 딜타임일 때 버블을 올려주실 상황에서 버블이 조금 모자란 경우(1.7버블, 2.7버블)
아리아를 먼저 올리고 용맹을 올려주셔서 버블을 보완하는 운영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9. 절구 아끼지 않기
딜러 체력이 많이 흔들리면 절구 줍시다.
물론 "숙련방에 비숙련이 오냐? 프레임 단위로 안 맞고 딜 하면 되지"
라는 말을 할 수도 있는데, 그날 그 상황에서 잘 안풀린 상태일수도 있습니다.
특히 입문자 분들이시라면, 딜러분들도 같은 입문자 입장일 가능성이 높고
그럼 더더욱 체력관리가 어려우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 상황에서 자꾸 물약이 빠지게 되면 딜러 입장에서는 딜각 보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아드 딜타임이 아니더라도 딜러분들 피 빠지면 채워줍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