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1-07 06:21
조회: 293,028
추천: 132
2024 로아 컴퓨터,인게임 설정 종결(지싱크 포함)안녕하세요 지금 까지 공유 해드렸던 모든 정보를 통합하고 또한 추가하여 이 게시글 에서 정리 하겠습니다. 10개의 시스템 이상에서 테스트 했을 때 확실한 효과가 있는 설정만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설정이 다르니 한 항목 씩 "정독" 부탁드립니다. 본 글은 윈도우11 데스크탑, nvidia GPU 기준입니다. 천천히 따라오세요 ! 필자의 컴퓨터에 대한 조언 : https://www.inven.co.kr/board/lostark/4821/95546 24/02/21 대응 업데이트 완료 설정 전 필수로 삭제해야 하는 항목 NVIDIA HD Audio Driver이 드라이버의 기능이 필요 하지 않으면 삭제. 윈도우설정 1-1 게임모드경로 윈도우 검색 - 게임 모드 설정 - 게임모드 설명 게임모드는 백 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불필요한 시스템 활동을 줄여 게임에 더 많은 리소스를 제공하는 설정입니다. 추가적으로 윈도우 업데이트가 드라이버 설치를 수행하지 않으며 알림을 보내지 않습니다. 예전 윈도우10 시절 처음 나왔을 떄는 cpu,gpu 스케줄러를 전부 건드는 기능이라 오히려 성능이 저하 될 수 있는 기능이 였으나 이젠 그렇지 않습니다. 이제 사실 끄나 켜나 별 차이가 없어요. 설정법 로아와 다른 행동을 많이한다(유튜브 시청..etc) - 끄기 일반적인 유저 - 켜기 1-2 전원설정 경로 윈도우검색 - 전원 관리 옵션 설정 편집 - 전원 옵션 - 고성능 설명 고성능 고급 설정에서 아무것도 건들지 않았다면 프로세서 전원관리 - 최대 프로세서 상태 의 항목이 100으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100으로 설정 되어 있지 않다면 설정 부탁드립니다. 100 미만으로 설정 하게 된다면 CPU 부스트 클럭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설정법 최대 프로세서 상태 - 100% 1-3 윈도우 그래픽 설정 경로 윈도우검색 - 그래픽 설정 - 기본 그래픽 설정 변경 설명 1.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하드웨어 가속 설정은 cpu의 부담을 gpu에게 덜어주는 기능이겠지만 이설정은 오히려 마이크로 스터터링을 유발합니다. 이 기능을 켜게되면 gpu가 널널한 컴퓨터에서는 프레임이 소폭 상승하지만 가끔 copy 엔진이 활성화 되고 시스템메모리에서 그래픽메모리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copy 엔진의 사용율이 피크를 찍으며 스터터링을 유발합니다. 그리고 이친구를 켜면 로아 로딩때도 느려집니다 궁금하면 켜보세요 2. 가변 새로 고침 빈도 이 부분은 지싱크(프리싱크)를 활성화 시켰을때만 생기는 옵션입니다. 지싱크를 사용 하실 분들은 켜기 ! 3. 창 게임에 대한 최적화 이설정을 한다해서 창모드에서 프레임 제한이 완전히 해제 되진 않습니다. 윈도우8 이상에서는 창모드로 플레이시 무조건 dwm을 거치도록 설계 되어 있기 때문에 삼중버퍼링이 강제로 걸려 완전히 해소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 하게 되면 창모드 상태에서 프레임 제한이 어느정도 해제 됩니다. 수직동기와 삼중버퍼링이 풀리는지 아니면 다른설정으로 바뀌는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윈도우 공식 자료에서도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습니다.찾게되면 수정하겠습니다. . . 단, 엔비디아 설정에서 기본 재생 빈도를 사용 가능한 최고값으로 설정해야합니다. 이 기능을 켜게 되면 게임을 filp 모델로 변경시켜 창모드에서도 지싱크를 사용 할 수 있으며, 기존 레거시 모델보다 높은성능, 더 낮은 프레임 딜레이를 가지며 메모리 관리를 더 우수하게 만들어줍니다. 전체화면에서도 적용 되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로아 자체 수직동기와 충돌이 있어 엔비디아 제어판에서 수직동기를 필수로 비활성화(지싱크는제외) 해줘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성능이 떨어집니다. 설정법 1. 하드웨어 가속 일정 예약 - 끄기 (권장) 2. 가변 새로고침 빈도 - 켜기(지싱크 활성화시) ,없는분들 PASS 3. 창 게임에 대한 최적화 - 켜기 (권장) 주의) 창 게임에 대한 최적화를 활성화 했을때 같이 꼭 설정 해야하는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이 있습니다. 제발 꼭 끝까지 따라오세요! 2-1 코어 격리(없는 분들은 PASS) 경로 윈도우 검색 - 코어 격리 설명 일반적인 유저는 필요가 없는 옵션입니다. 로아 같은 CPU를 잘 갈구는 게임에서 끄게 되면 프레임이 상승합니다. CPU가 가상화 기능을 지원하지 않거나, CMOS에서 가상화를 비활성화 한 경우 넘어가시면 됩니다. 검색해서 사용 할 수 없다하면 넘어가시면 됩니다. 설정법 메모리 무결성 - 끄기 2-2 VMP(없는 분들은 PASS) 경로 윈도우 검색 - Windows 기능 끄기/켜기 - 가상머신 플랫폼 설명 가상 머신 플랫폼을 비활성화 합니다. 이것 또한 효과가 있습니다. 설정법 가상머신 플랫폼 - 해제 3-1 장치관리자 경로 윈도우검색 - 장치관리자 -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 and 오디오 입력 및 출력 설명 hdmi 관련 high definition audio 장치가 대부분 시스템에서 끄게 되면 스터터링 감소 효과가 있었습니다. 마을에서 확실한 체감이 있습니다. 베른, 칼리나리에서 시험해보세요 설정법 사용하지 않는 오디오 장치 전부 - 사용안함 주의) 자신이 사용 하지 않는 오디오만 사용 안함으로 설정해주세요 만약 사용하는 오디오를 사용 안함으로 설정 하게 된다면 소리가 안들리실겁니다.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1. 모든 유저 기본 세팅 경로 엔비디아 제어판 -3D 설정 관리 - 전역설정 설명 전역설정 에서는 모든 게임을 건드는 설정이므로 하나만 설정합니다. 쉐이더 캐시 사이즈를 늘려주는것은 발적화 게임에서 유효하므로 설정합니다. 사실 기본값으로 둬도 전부 못씁니다 설정법 쉐이더 캐시 사이즈 - 10GB(권장) 나머지는 건들지마세요. 2. 일반적인 유저 세팅 경로 엔비디아 제어판 - 3D 설정 관리 - 프로그램설정 - Lost Ark 로아 기본 설치 경로 : C:Program Files(x86)/Smilegate/Games/LOSTARK/Binaries/Win64 설명 전역 설정을 따르는 부분은 건들지 않으며, 필요한것만 수정합니다. 수직동기는 끄는것이 스터터링 완화에 도움되며, 테어링(화면 찢김) 을 방지하기 위해 나온 기능입니다. 로아처럼 화면이 고정된 쿼터뷰 게임은 테어링이 없진 않지만 다른 1인칭 게임에 비해 적으며, 수직동기화를 켜서 얻는것보다 잃는게 더 많습니다. 저지연모드는 GPU 사용량을 임의로 제한을 두어 인풋렉을 줄이는 방식이라 GPU를 90퍼센트 이상 꾸준히 사용 하던 컴퓨터에서는 프레임이 하락합니다. 최대 프레임 속도는 전체화면 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만 창모드 상태에서는 자신의 모니터 주사율을 초과하는 범 위로 제한이 불가능합니다. 144모니터에서 160FPS로 제한해두어도 144로 제한됩니다. 설정법 수직 동기 - 끄기 기본 재생 빈도 - 사용 가능한 최고 값 저지연모드 - 끄기(프레임 하나하나가 소중하신분) 켜기(반응속도 조금이라도 더 챙기실분) 전원관리모드 - 최고 성능 선호 최대 프레임 속도 - 59(60hz), 142(144hz), 162(165hz), 235(240hz) 위 프레임으로 설정후 더 끊김이 심해진다면 프레임 등락폭이 커져서 그런것이니 프레임 제한을 더 낮춰서 사용 부탁드립니다. 끄기(나는 테어링 스터터링 다모르겠고 프레임뽑을래) 3. 지싱크 유저 세팅 경로 엔비디아 제어판 - 3D 설정 관리 - 프로그램설정 - Lost Ark 로아 기본 설치 경로 : C:Program Files(x86)/Smilegate/Games/LOSTARK/Binaries/Win64 설명 창모드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제일 프레임이 안정되고 깔끔합니다. 필자도 창모드에서 지싱크를 활성화 하여 사용 하고 있습니다. 게임 프레임에 맞춰 주사율을 조절하는 기능이므로 프레임이 낮아질때 마우스가 끊겨보입니다. 혹여나 불편하거나 문제가 있다면 지싱크를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설정법 지싱크 활성화 - 창 모드 및 전체 화면 모드로 활성화 모니터 기술 - G-Sync 호환 수직동기 - 켜기(조금의 스터터링을 감수하고 안정적인 프레임) 끄기(스터터링을 최소화) 저지연 모드 - 끄기(최대한의 프레임을 뽑고싶을때) 켜기(조금의 프레임 손해를 보고 적은 인풋렉) 울트라(수직동기화를 활성화 시켰을때) 전원 관리 모드 - 최고 성능 선호 최대 프레임 속도 - 58(60hz), 142(144hz), 162(165hz), 235(240hz) 수직동기화+ 저지연모드 울트라 설정시 프레임 제한 X 위 프레임으로 설정후 더 끊김이 심해진다면 프레임 등락폭이 커져서 그런것이니 프레임 제한을 더 낮춰서 사용 부탁드립니다. 번외, PhysX 애초에 거의 모든 PhysX를 지원 하는 게임은 CPU 활용이 대다수 입니다. 로아도 마찬가지고, 이것을 GPU로 변경한다해서 GPU로 안바뀝니다 그냥 자동으로 두십쇼 의심된다면 PhysX 를 그래픽카드로 설정하고 좌측 상단 PhysX 인디케이터를 켜보세요 무조건 CPU로 잡힙니다. 인게임 설정 그림자와 간접그림자는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이 두 설정만큼은 조절해서 쓰십쇼 02/21 업데이트) 최대 fps 설정 - 인게임 사용 x 백그라운드 fps 제한 - 제한 하고 싶은 만큼 60 이하 권장 (엔비디아 설정에도 있지만 창모드에서 작동을 안합니다) 그림자 - 상~중(권장) 간접그림자 - 낮음~끄기(권장) 이정도면 로아를 하기위해 열심히 최적화 한 것입니다. 곧 카제로스 레이드 에키드나가 나오는데 쾌적한 환경에서 달려보아요 !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꾸욱 관리자 인증 감사합니다! 여담으로 견적을 올려야지.. 올려야지 하고있다가 계속 미루게 되었네요 이글도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조만간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 안녕. 글 복사해서 가져가지 마시고 링크만 달아주세요. EXP
1,769 (84%) / 1,801
로스트아크 인장 컨텐츠캐릭터 이미지![]() 최근 갱신: 25.05.07 캐릭터 기본 정보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1 ~ 100 번째 댓글 [보기]
101 ~ 200 번째 댓글 [보기]
201 ~ 300 번째 댓글 [보기]
301 ~ 400 번째 댓글 [보기]
401 ~ 500 번째 댓글 [보기]
501 ~ 번째 댓글
제가 예전에 무슨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을 건드린건지
특정 프로그램 창이 화면에 비춰질 때 모니터가 한번 깜빡입니다. (ex스팀 메인창, 디스코드 로딩창)
아마 컬러 설정조정 부류를 만지면서 무언가 꼬인 것 같은데, 맞지 않는 창이 뜨니까 모니터가 맞추려고 한번 깜빡이는듯한?
불편하지만 그냥 사용중인데 혹시 집히시는곳이 있을까요?!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짚이는 부분이 있으실까요?
여기서 업그레이드 할라면 CPU만 바꾸면 될까요
모니터HP X34 WQHD(165)//벤큐 XL2720(144)
[CPU] : 인텔 코어i5-12세대 12600KF (엘더레이크)
[메인보드] : ASUS TUF Gaming B660M-PLUS D4 STCOM
[메모리] : 데스크탑 메모리 삼성 DDR4 32G 3200
[그래픽카드] : 갤럭시 갤라즈 GALAX 지포스 RTX 3080 SG OC D6X 12GB LHR
[CPU쿨러] : Thermalright Assassin X 120 Refined SE
[SSD] :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M.2 NVMe (500GB)
[파워] : SuperFlower SF-850F14RG LEADEX III ARGB GOLD
인데 지금 로아 하다보면 갑자기 버벅거리기 시작하다 움직이기도 힘들만큼 버벅입니다 멈추진않아요. 소리도 버벅이는거 보이는 만큼 끊기면서 들어오고 그럴때 엔비디아앱에서 로드율 확인해보면 글카 로드율이 0까지 내려갑니다. 그게 지금 끊기는 이유 인거 같은데 지금 해본건 램교체, 보드교체, 글카교체, 윈도우 재설치, ssd교체 까지 cpu빼고 거의다 건드려본거같은데 게임이 처음에 잘되다가 갑자기 버벅이기시작하면서 로드율이 급락하니까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아직 안해본cpu가 문제일 수 있으려나요? 램도 오버램 사서 xmp먹여놓은상태로 지금 11개월동안 문제없이 쓰다가 갑자기 생긴 문제입니다.. 버벅이는 상태에서는 재부팅해도 게임안켜도 그냥 부팅부터가 맛간 컴처럼 버벅이면서 엄청 오래걸려서 켜지고 버벅임 증상 유지되구요 그래서 xmp빼고 부팅하면 갑자기 또 잘되고 그렇습니다. xmp가 문제일까요 cl38 6000 oloy램이랑 cl30 6000 에센코어램 둘다 마찬가지 증상이 발생하네요.. 제발 살려주세요
FHD 환경에서 3070에서 그래픽카드를 변경하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지금 사용 하는 그래픽카드도 100% 활용 하지 못 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픽 점유율이 80 % 를 넘지 않는다면 CPU 업그레이드 쪽을 먼저 고려 하시는게 좋습니다. 9800X3D를 제일 추천드리고 부담이라면 그 아래 세대인 7800X3D 도 좋습니다
지금 4060ti 5600x 32gb 사용중인데 마을이나 카던을 돌면 프레임이 계속 끊깁니다. 이게 정상인가요?? 만약에 이게 정상이면 573d 가면 확실히 달라질까요 ??
2. 그리고 최대 프레임 속도 - 58(60hz), 142(144hz), 162(165hz), 235(240hz)
수직동기화+ 저지연모드 울트라 설정시 프레임 제한 X
-> 이 부분은 수직동기화 On, 저지연-울트라 설정인 사람들은 최대 프레임 속도 제한을 "끄기"로 하라는 말씀이시죠?
위링크는 1번에 대한 답변입니다 확인해보세요
2. 지싱크 사용 환경에서 수직동기화 + 저지연 모드 울트라 사용시 자동으로 프레임 제한이 됩니다 따로 안하셔도됩니다.
그래픽카드가 불량이거나, 파워문제로 전원공급이 원할하게 되지 않거나, 접촉불량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먼저 그래픽카드 재결합을 해보세요 pci 가 아닌 12vhpwr 케이블을 이용하는 그래픽 카드의 경우 접촉 불량이 자주 일어납니다
로아는 제어판에서 수직켜기/저지연울트라 사용하고 있는데
프레임제한을 말하신대로 해제했더니 144까지 자주 찍는데
문제는 없는걸까요..? 원래는 제어판 142 제한하고 썼습니다.
2. 예외질문이긴한데 전체창모드로만 게임을 하고 있어요
주위에서 아직 윈11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아서 아직까지 윈10으로 사용중인데
윈11로 업데이트 하는게 더 성능부분에서 이득이 있을까요?
창게임에 대한 최적화 기능과 지싱크를 병행 설정 하지 않으면 프레임드랍이 발생한다는건 사실이 아닙니다. 제 생각엔 지싱크를 사용하지 않을때 창게임에 대한 최적화와 수직동기화를 병행 설정하여 성능 하락이 발생한 것인데 지싱크를 사용하지 않은것을 원인으로 생각하여 나온 의견 같습니다.
인게임 그래픽 가동율이 높을땐 96%정도로 유지되어서 이번에 5080으로 바꿀려고 생각중입니다.
cpu : 20% 64도
글카 : 96% 64도
현재 스펙은
-CPU: i7-13700kf
-쿨러: NZXT KRAKEN X63
-보드: MSI MAG Z690 토마호크
-램: SK하이닉스 DDR5-4800 16GB x 2ea (수동오버)
-그래픽카드: 3070 컬러풀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750W 80PLUS GOLD 230V EU 풀모듈러
이렇게인데
5080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체감좀 될련지(옵션이라던가)
만약에 한다면 파워라던지 다른게 바꿀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5080레퍼 TBP가 전작 4080 보다도 80W 더 높다는 정보가 있어 정확히 출시후 실제 전력 사용량을 보아 파워를 변경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모두 상이나 최상으로 옵선두고서 게임을 했었는데
현재 거주지 인터넷이 100메가에 회선을 세대별로 공유를 하다보니 인터넷 속도가 처참합니다..
지금 당장 이사를 갈 순 없어서 로아 끊키는 현상을 줄여보려고 하는데 옵션 하로 낮춰서 해볼까요 ㅠ?
본문중에 1-1, 1-2 는 디폴트값으로 항상 해놨었습니다,,
사양은 5800X3D 3080 165 QHD 모니터 사용중이에효..
5600x, rtx3070 사용중인데 FHD 240hz 지싱크 호환 모니터 사용중이였는데 근 2년동안 진짜 프레임떄문에 열뻗쳐서 화딱지나 죽어버리기 일보직전이였습니다. 80프레임 까지 떨어지고 평균이 100~110이여서 별에 별 좆문가 설정대로 윈도우설정 가속화도 키고 별짓 다했는데 지싱크 끄는 설정으로 하니까 잘되네요..
복받으세요
화면이 엄쩡끊기면서 fps가 1~10대 까지도 떨어집니다...
이거 이유를 모르겠는데 혹시 알수있을까요? 그냥 가만히 있으면 110까지는 나옵니다
근데 화면움직임이 순식간에 확하고 이동하거나 그럴때 생기는거같은데 어떤설정을 건드려야하는지 모르겠어요
로아만 하면 cpu 쿨러가 엄청 돕니다.
특히 쿠르잔전선 마지막 구간이랑 , 카멘 격돌 등등에서 비행기 이륙소리가 나는데,
선생님이 서술하신 옵션 따라해도 똑같더라구요.
인게임에서 올 중옵션으로 해보기도 했습니다.
제가 판단한 결과 특정구간에서 cpu 온도가 상승하면서 그러는거 같더라구요.
혹시 cpu 전력제한 걸고 사용하면, 로아 플레이하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초창기 때 할 때는 이 정도는 아니였는데, 최근 복귀하고 보니까, 심각하게 시끄러워서요.
혹시 구간별 팬속도 조절은 어떻게 하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언더볼팅 까진 아니더라도, 전력제한이나 온도제한으로 소음좀 줄여보고 싶은데,
4k 모니터를 그냥 qhd 나 fhd로 바꿔야 하나 싶기도 하구요.
팬속에 따른 소음은 팬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1200 rpm 까지는 무난합니다.
저는 아이들 상태에서 800rpm 90도기준 1400rpm 설정 해뒀습니다
그래픽 설정 가면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예약, 그래픽 성능 기본 설정 이 두가지만 있네요 ㅜㅜ
그래픽드라이버 ddu로 삭제 후 재설치도 해보고 다 해봣는데 안되는데 뭐떔일까요 ㅠㅠ
최신꺼로 깔아야함
Ddu로 밀어버리구 다운그레이 하니깐 됫어요!!
번외로
로아 소리가 잘 나오다가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변경하면 로아만 소리가 안나오고(나머지 소리 잘 나옴) 게임을 껏다키면 다시 잘 들리는데
뭐가 문제일려나유 ㅠ
다른 게임이나 작업에서는 절대 문제가 없는데, 로스트아크 할 때만 튕깁니다.
튕기는 상황은 대부분 이렇습니다
펫 기능 켤 때
마리샵 들어갈 때
레이드 도중 (정말 눈물 납니다 ㅠㅠ)
컷씬 도중 화면 멈추고 소리만 나오는 경우
갑자기 프리징 후 강제 종료
심할 때는 하루에 5~10번씩 튕깁니다…
BIOS 업데이트, 오버클럭 초기화, 드라이버 재설치, 가상메모리 조정, 다 해봤지만 고쳐지지 않습니다.
제 컴퓨터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CPU: i9-14900K
RAM: 64GB
GPU: RTX 4080 SUPER
SSD: 1.8TB + 1.8TB
듀얼 모니터 (MSI MAG401QR + LG ULTRAGEAR)
정말 하드웨어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 저 같은 증상 겪으시는 분 있나요?
혹시 해결 방법 아시는 분 계시면 댓글이나 쪽지 부탁드립니다.
레이드 도중 튕길 때.. 너무 부담 스럽네요
저 이미지가 당연히 모니터를 직접 찍은게 아닌 스크린샷이라고 가정하고 답변 드립니다
1. 하드웨어 문제는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gpu 가 물리적으로 고장이 났거나 vram에 문제가 있을 경우 모니터에는 보이지만 스크린샷에는 문제가 나타나지 않아야 합니다.
2. 로아 자체 렌더링/셰이더 처리에서 문제가 발생 한것으로 보입니다.
3. 드라이버문제 이거나, 게임 리소스가 손상이 됐거나, 특정 설정 값들이 충돌 하는것으로 보입니다.
4. 해결방안 아래 차례대로 수행 해보세요.
-그래픽 설정을 초기화
-게임 무결성 검사
-후처리 효과들 모두 비활성화
-색약모드 비활성화
-후처리/오버레이 프로그램 종료(디스코드, 엔비디아앱, amd 아드레날린, HDR 기능 ..etc)
-해결이 안된다면 게임 완전 삭제후 재설치, 그래픽드라이버 ddu로 제거후 재설치
도움 되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