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생 조건
    무력화가 발생하는 몬스터의 무력화 게이지를 무력화가 발생하는 스킬로 모두 소멸 시키면 무력화가 발생합니다.

  • 무력화 게이지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1. 무력화가 발생한 직후에는 무력화 게이지가 회색으로 처리되며, 이때는 무력화 공격을 해도 무력화 게이지가 깎이지 않습니다.
    2. 몬스터 마다 특정 페이지에는 무력화 게이지에 잠금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때는 무력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발생 연출
    무력화가 발생하면 몬스터로부터 폭발하는 듯한 연출이 발생하고, 사운드가 발생합니다.

    또, 몬스터 정보에서 무력화 게이지가 붉은색으로 깜빡거립니다.


  • 발생효과
    몬스터는 수초간 그로기 상태에 빠져, 아무런 행동을 하지 못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가이드의 무력화에 관한 내용입니다.


카운터 어택

카운터 어택은 몬스터가 특정 외형을 취했을 때 정면에서 카운터 가능 스킬로 타격에 성공하면 몬스터가 잠시동안 그로기 상태에 빠져 행동하지 못하는 공격을 의미합니다.

일부 몬스터의 특정 스킬에서만 카운터가 가능합니다.

  • 발생 조건
    몬스터가 파란색으로 빛날 때 정면에서 카운터 가능 스킬로 타격에 성공할 경우 발생합니다.
    스킬 속성 중 공격 타입에서 카운터 가능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발생효과
    몬스터는 잠시동안 그로기 상태에 빠져 아무런 행동을 할 수 없습니다.


이건 카운터 어택에 관한 설명이고요.



부러진 뼈 각인, 디스트로이어의 아이덴티티, 기공사 섬열파 2번째줄의 무자비 트라이포드 등의 무력화 상태의 적에게 데미지 증가 옵션은 현재 위에 적힌 두 가지 경우에만 발동합니다.


일부의 패턴을 통한 무력화를 제외하고요. 이제 여기서 문제가 나옵니다.


벨가누스 제물


벨가누스 마법진


엘버하스틱 잡기


엘버하스틱 파란오오라


아르카디아 이계의문


홍염의요호 무력화패턴


흑야의요호 무력화패턴


예시를 이정도 들겠습니다. 위에 적은 것들은 패턴을 파훼하게 된다면 몬스터가 폭발하는 듯한 이펙트와 사운드 이후 잠시동안 그로기 상태가 되는 패턴들입니다.


이중에서 대체 어떤게 무력화 판정을 받아 무력화 데미지 증가를 받을까요?


아르카디아 이계의문 패턴? 게이지 깎는다고 무력화뎀증 안들어갑니다. 구슬 다 막은 다음 나오는 그로기상태요? 거기도 뎀증 안 들어가요.


벨가누스 제물패턴? 뭐 이건 폭발 이펙트도 나오고 그로기상태도 되는데 아무튼 무력화 아니라고 칩시다. 뎀증 안들어갑니다.


벨가누스 마법진? 무력화를 넣어서 무력화와 똑같은 연출이 나오는데 뎀증은 안 붙습니다.


흑야의 요호 무력화 패턴도 무력화시 뎀증이 안 들어갑니다.


엘버하스틱 잡기? 얘도 무력화를 넣어서 몹을 그로기 상태로 만드는데 뎀증은 안 붙습니다.



그런데 또 홍염의 요호 무력화 패턴은 파훼하면 무력화시 뎀증이 들어갑니다. 이건 또 왜 들어가는데요? 


거기에 엘버하스틱의 파란 오오라 패턴도 무력화를 넣어 파훼시 데미지증가가 적용됩니다.


왜요? 대체 무슨 일관성인데요 이게? 이 패턴들이랑 저 패턴들이랑 다른 점이 대체 뭔데요?



그냥 지금 로스트아크에 존재하는 무력화 패턴은 일관성이 전혀 없습니다. 찐무력만 되게 막아놓은거다?


그럼 카운터어택은 왜 되는데요? 카운터어택도 패턴파훼인데 나머지 패턴파훼는 왜 어떤건 되고 어떤건 안되는데요?


이건 되고 저건 안되고 ㅋㅋ 일관성이 전혀 없습니다.


부러진뼈 각인 채용하신 분들, 채용하실 분들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다.

현재 로스트아크에서는 무력화 패턴에 무력화시 데미지 증가가 일부만 적용되는 상황이며,

어떤 패턴에 무력시 뎀증이 적용되는지는 직접 쳐보셔야 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