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고 탈도 많은,

로스트 아크의 MVP 시스템을 파헤쳐 보자.


로스트 아크는 '7가지 기여도' 점수를 합산해 MVP를 선정한다.


준 피해 | 준 무력화 | 파티 회복 | 파티 방어
개인 방어 | 적 처치 수 | 배틀 아이템 기여


그리고 위 7가지 기여도 점수에 따라 관련 칭호를 부여한다.



MVP 선정 방식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1. 7가지 기여도 점수를 전부 합산한다.
2. 총 점수가 가장 높은 사람을 MVP로 선정한다.



MVP는 7가지 기여도 점수 중 높은 점수 세 개를 칭호로 띄운다.

( 칭호는 표시하지 않았음 )


MVP를 제외한 나머지 세 명은
가장 높은 점수와 관련된 칭호를 띄운다.



준 피해와 준 무력화는 점수에 따른 칭호가 어느 정도 공개된 상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하지만 레이드 한정 예외 상황이 존재한다.


MVP의 7가지 기여도 점수 중 '준 피해'가 가장 높을 경우,
'준 피해' 관련 칭호는 MVP를 제외한 나머지 셋 중 단 한 명만 나타난다.


이해하기 쉽게 아래 표를 살펴보자



MVP가 네 명 중 가장 많은 피해(40%)를 입혔다.
그렇다면 A와 B는 똑같이 30%를 넣었기 때문에 둘 다 '준 피해' 관련 칭호인 '강직한 투사'가 떠야하는 게 맞다.

하지만 '강직한 투사' 칭호는 A와 B중 단 한 명에게만 나타난다.

나머지 한 명은 '준 피해'가 가장 높은 점수임에도 '준 피해' 칭호를 뺏겼기 때문에,
두 번째로 높은 점수와 관련된 칭호를 띄운다.

A가 강직한 투사가 떴다면,
B는 강직한 투사가 아닌, '파티 회복' 칭호가 뜬다는 의미다.

따라서 MVP 창은 이렇게 나타난다.


이 구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A가 B보다 딜을 많이 넣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명확한 수치가 공개된 MVP를 제외하면 나머지 셋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반대로 MVP의 '준 피해' 점수가 가장 높지 않을 땐
MVP를 제외한 세 명 전부 '준 피해' 관련 칭호가 나타날 수 있다.

아래 표를 보자.



( MVP는 총합 점수가 가장 높지만, 준 피해 점수는 가장 낮다. )

이럴 경우 MVP 창은 이렇게 나타난다.


참고 기사





틀린 게 있으면 지적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