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3-08 21:37
조회: 12,665
추천: 9
FHD QHD 4K 프레임차이 +8인레이드추가해상도 및 사양 고민/질문들이 많이보이기에 정보 공유차 작성합니다.
맨 아래에 팁 적혀있습니다. 이 사양에 이렇게 셋팅하면 이정도 프레임 나온다는 용도임 저는 옛날 아브렐슈드/일리아칸도 가고있지만 대부분의 유저들은 안갈것같아 카멘부터 찍었습니다. 레이드는 아직 저는 쪼렙이라 카멘/상아탑만 찍어왔습니다. 이번주 에키드나 가볼예정이니 추가하겠습니다. 사실 거의 모든레이드에서 프레임 양상은 비슷합니다. 카멘/상아탑이 조금 낮은편에 속합니다. 옵션은 여러방면 테스트 후 제일 낫다 싶은 옵션으로 사용중입니다. I5 12600K RTX 3070TI DDR4 3200 CL22 깡통램입니다. 수직동기화는 없습니다. ![]() 파티원의 이로운효과만 표시 상태입니다. 영상 녹화시 적게는 10, 많게는 15~20프레임정도 하락합니다. 영상 아래에 프레임 적어놓겠습니다. 모두 네이티브 해상도입니다. 1. 카오스던전 4K UHD(3840*2160) 영상속 평균프레임 122 > 미녹화시 약 135 2. 카오스던전 QHD(2560*1440) 영상속 평균프레임 147 > 미녹화시 약 160 3. 카오스던전 FHD(1920*1080) 영상속 평균프레임 151 > 미녹화시 약 160 요약- 1. FHD > QHD는 그래픽카드가 놀고있기에 해상도를 올려도 프레임차이가 거의없습니다. 2. QHD는 그래픽카드 여유가 약간 있지만 4K를 올렸을땐 여유가 부족하므로 프레임 하락이 발생하네요 4.아게오로스 4K UHD(3840*2160) 솔로 영상속 평균프레임 115 >미녹화시 약 128 5.아게오로스 4K UHD(3840*2160)파티 영상속 평균프레임 103 > 미녹화시 약 115 6.아게오로스 QHD (2560*1440)파티 영상속 평균프레임 132 > 미녹화시 약 145 7.아게오로스 FHD(1920*1080)파티 영상속 평균프레임 135 > 미녹화시 약 147 요약- 카던과 마찬가지로(사실 모든컨텐츠 마찬가지) 1. FHD > QHD는 그래픽카드가 놀고있기에 해상도를 올려도 프레임차이가 거의없습니다. 2. QHD는 그래픽카드 여유가 약간 있지만 4K를 올렸을땐 여유가 부족하므로 프레임 하락이 발생하네요 3. (중요)4K싱글 > 4인 차이는 이펙트가 이로운효과 제외 모두 꺼져있기때문에 프레임하락이 크지 않습니다. 8.상아탑 4K UHD(3840*2160)싱글 3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28 > 미녹화시 약 140 9.상아탑 QHD(2460*1440)싱글 3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52 > 미녹화시 약 165 10.상아탑 QHD(1920*1080)싱글 3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55 > 미녹화시 약 167 요약- 카던과 마찬가지로(사실 모든컨텐츠 마찬가지) 1. FHD > QHD는 그래픽카드가 놀고있기에 해상도를 올려도 프레임차이가 거의없습니다. 2. QHD는 그래픽카드 여유가 약간 있지만 4K를 올렸을땐 여유가 부족하므로 프레임 하락이 발생하네요 에키드나 4K UHD(3840*2160)싱글 1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96 >미녹화시 약 110 에키드나 QHD(2560*1440)싱글 1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18 > 미녹화시 약 128 에키드나 FHD(1920*1080)싱글 1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119 > 미녹화시 약 128 11.에키드나 4K UHD(3840*2160)싱글 2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22 > 미녹화시 약 135 12.에키드나 QHD(2560*1440)싱글 2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22 > 미녹화시 약 135 13.에키드나 FHD(1920*1080)싱글 2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22 > 미녹화시 약 135 요약 1. 2관문은 FHD > QHD> 4K 모두 그래픽카드가 놀고있기에 해상도를 올려도 프레임차이가 거의없습니다. FHD QHD에서의 글카 로드율을 보시면 탱자탱자 놀고있습니다. 이상태에선 해상도를 올려도 크게 프레임변화가 없습니다. 2.에키드나 2관문은 유난히 글카를 못갈굽니다. 더 좋은 CPU였다면 FHD QHD에서 그래픽카드 로드율이 올라가며 프레임이 상승했을겁니다. (4K는 이미 풀로드라 CPU를올려도 큰차이없음) 3.1관문은 FHD > QHD는 동일, QHD > 4K는 약 20%정도 하락하네요. 글카 로드율을 보시면 됩니다. 14.카멘 4K UHD(3840*2160)싱글 3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04 > 미녹화시 약 117 15.카멘 QHD(2560*1440)싱글 3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25 > 미녹화시 약 137 16.카멘 FHD(1920*1080)싱글 3관문 영상속 평균프레임 131 > 미녹화시 약 145 요약- 카던과 마찬가지로(사실 모든컨텐츠 마찬가지) 1. FHD > QHD는 그래픽카드가 놀고있기에 해상도를 올려도 프레임차이가 거의없습니다. 2. QHD는 그래픽카드 여유가 약간 있지만 4K를 올렸을땐 여유가 부족하므로 프레임 하락이 발생하네요 17.카오스게이트 4K UHD(3840*2160) 영상속 평균프레임 88 > 미녹화시 약 100 18.카오스게이트 QHD(2560*1440) 영상속 평균프레임 99 > 미녹화시 약 110 요약 1.FHD는 QHD와 거의 동일합니다. 2.QHD는 그래픽카드 여유가 약간 있지만 4K로 올렸을땐 여유가 부족하므로 프레임 하락이 발생하네요 3.보시다시피 이펙트가 이로운효과제외 다 꺼져있기때문에 사람이 8명이상 몰려도 프레임하락이 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잡몹이 쫙 늘어날때가 프레임하락이 더 심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영상에 나옵니다. 19.필드보스 4K UHD(3840*2160) 영상속 평균프레임 90 > 미촬영시 약 105 20 필드보스 QHD(2560*1440) 영상속 평균프레임 98 > 미촬영시 약 108 21.필드보스 FHD(1920*1080) 영상속 평균프레임 101 > 미촬영시 약 110 요약 1.FHD > QHD > 4K의 프레임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글카 로드율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2.로아는 사람이나 개체수가 많아지는 구간에는 CPU를 확 타기때문에 글카 로드율이 떨어져버립니다. 글카 로드율이 많이남은 상태에선 해상도를 올려도 크게 프레임이 하락하지 않습니다. 3.아주좋은 CPU였다면 FHD > QHD > 4K의 프레임이 다 달랐을겁니다.(글카로드율 여유가없기때문) 대신 FHD QHD에서 지금보다 프레임이 많이 높아지게 됩니다. 22.일리아칸 8인 4K(3840*2160) 1관 영상속 103 미녹화시 약 115 일리아칸 8인 QHD(2560*1440) 1관 영상속 115 미녹화시 약 125 23.일리아칸 8인 4K (3840*2160)2관 영상속 109 미녹화시 약 122 일리아칸 8인 QHD(2560*1440)2관 영상속 127 미녹화시 약 130 24.일리아칸 8인 4K(3840*2160)3관 영상속 88 미녹화시 약 100 일리아칸 8인 QHD(2560*1440) 3관 영상 날아감 미녹화시 약 120 요약 1.4K QHD의 차이는 약 10%정도입니다. 글카 로드율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2.글카 로드율이 많이남은 상태에선 해상도를 올려도 크게 프레임이 하락하지 않습니다. 3.아주좋은 CPU였다면 FHD > QHD > 4K의 프레임이 다 달랐을겁니다.(글카로드율 여유가없기때문) 대신 FHD QHD에서 지금보다 프레임이 많이 높아지게 됩니다. 4.FHD는 QHD와 99% 동일합니다. 25.카양겔 파티 4K(3840*2160) 1관 영상속 124 미녹화시 약 135 카양겔 파티 QHD(2560*1440) 1관 영상속 124 미녹화시 약 135 26.카양겔 파티 4K(3840*2160) 2관 영상속 123 미녹화시 약 133 카양겔 파티 QHD(2560*1440)2관 영상속 125 미녹화시 약 135 27.카양겔 파티 4K(3840*2160)3관 영상속 124 미녹화시 약 135 카양겔 파티 QHD(2560*1440)3관 영상속 124 미녹화시 약 135 요약 1.해상도별 프레임차이가 거의없습니다. 4K에서도 글카 노는구간이 많습니다. 글카 로드율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2.글카 로드율이 많이남은 상태에선 해상도를 올려도 크게 프레임이 하락하지 않습니다. 3.아주좋은 CPU였다면 FHD > QHD > 4K의 프레임이 다 달랐을겁니다.(글카로드율 여유가없기때문) 대신 FHD QHD에서 지금보다 프레임이 많이 높아지게 됩니다. 4.FHD는 QHD와 99% 동일합니다. 28.칼리나리 제련 앞 4K UHD(3840*2160) ![]() 29.칼리나리 QHD(2560*1440) ![]() 사진속 92 > 실제 7~90 왔다갔다 함. 사람수에 따라 다릅니다. 30.칼리나리 FHD(1920*1080) ![]() QHD와 마찬가지입니다. 31.엘네아드 4K UHD(3840*2160) ![]() 사진속 89 > 실제 7~90 왔다갔다합니다. 사람수에 따라 다릅니다. 32.엘네아드 QHD(2560*1440) ![]() 사진속 90 > 실제 7~90 왔다갔다 합니다. 사람수에 따라 다릅니다. 33.엘네아드 FHD(1920*1080) ![]() 사진속 85 > 실제 7~90 왔다갔다합니다. 사람수에따라 다릅니다. 요약 1.토요일 오후 9시기준 사람 제일많은곳 찾아 찍었습니다. 2.FHD / QHD 모두 글카 여유가 많기에 4K까지의 프레임 차이는 아주 적습니다. 로드율을 잘 보시면 됩니다. 가장 중요한점 1. 4K 최하품질이 QHD 풀옵션보다 그래픽이 월등히 좋습니다. 2. QHD 최하품질이 FHD 풀옵션보다 그래픽이 월등히 좋습니다. 3. 위의 해상도별 프레임은 아래에 설명하는 DSR 가상해상도가 아닌 네이티브(실제모니터) 해상도입니다. 4. 저는 5K 21:9 UHD (5120*2160)모니터로 게임하고 있습니다. 보통 그래픽 미쳤네 느끼고 순간순간 황홀합니다. 아래는 모니터(해상도)변경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드리는 팁입니다. 이전글에 직접 작성한 글이며, 모두 검증된 내용이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내 사양으로 모니터를 업글하면 어느정도의 프레임이 나올까?에 대한 해결책입니다. NVIDIA 제어판 3D설정에 DSR이라고 있는데 가상으로 해상도를 바꾸는거임. 높은 해상도로 적용시키고 게임 내에서도 해상도 변경시키면 적용됨 DSR해상도로 100프레임 나오면 진짜 모니터로 바꿔도 100프레임 나옴. 오차범위 5%이내 보통 DSR보다 네이티브 해상도가 프레임이 더나옵니다. 본인이 직접 FHD > QHD > 21:9QHD > 21:9 UHD까지 직접 다 모니터바꾸기전 DSR로 확인하고 모니터 바꿨음 동일하게 나옴 +유튜브 구글 등 찾아보면 DSR 해상도랑 실물모니터 해상도의 프레임 차이는 거의 없다는걸 알수있음 내 사양으로 괜찮을까? 묻는것도 좋지만, 직접 DSR로 확인해보면 99%정확하게 알수있음. 다른사람 기준으론 쾌적하지못해도 내 기준으론 쾌적할수 있으니 궁금하면 직접 해보고 판단하시는걸 추천드림. DSR 해상도의 프레임과 네이티브 모니터의 프레임 차이가 거의 없거나 체감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건 검증된 내용입니다. 위의 프레임 공유는 참고만하시고, 프레임이 궁금한 컨텐츠에서 직접 프레임 확인을 해보시고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은 "이사양에 이옵션이면 이정도나옴" 이라는 글이며, 또한 DSR을 이용해 본인 사양으로 직접 프레임 확인을 미리 해본 후 모니터 구매를 할 수 있으니 직접 해보라는 글입니다. 이 글의 취지에 맞지않게 모니터 주사율조차도 언급없이 사양추천하는 댓글 자제부탁드립니다. 60Hz, 100Hz 모니터 쓰는사람 많습니다. 또한, 개개인마다 체감하는 정도도 편차가 큽니다. 60hz로 게임하는사람들은 60프레임에서 렉 못느낍니다. "내가 xx사양인데 xx프레임 나옴" 이라고 적으실려면 해상도/주사율/옵션/ xx프레임 나오는 순간에 cpu gpu 로드율까지 다 적어주셔야 합니다. GPU 놀아서 프레임 안나오는거 갖다가 그래픽카드 더 올려야한다고 하는사람들을 많이봐서 적습니다. 잘 모르는사람들 혼란스럽습니다. 예를들어 GPU가 노는구간이 80%, 풀로드구간이 20%라면 GPU가아닌 CPU를 올리는게 훨씬 프레임 향상 큽니다. 20%정도 차지하는 풀로드구간때문에 프레임 더올린다고 GPU를 더 높은걸로 올려버리면 그외의 80% 구간에선 그래픽카드 탱자탱자 놀고있습니다. 이거 노는거 보기싫으면 또 CPU 올려야하고 무한반복입니다. 20%정도 차지하는 글카 풀로드+프레임 하락 순간 때문에 게임을 못할수준으로 불편한지 그럭저럭 할만한지는 사용자 본인이 직접 DSR로 테스트 해보고 결정할 문제입니다. 본인이 "직접"테스트 해보고 쾌적함 여부를 확인하라고 설명하는 글이니만큼, 불특정 다수에게 사양조언 및 추천은 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 +25/3/18 일리아칸 카양겔 파티 프레임 추가 다음 레이드들도 가게되는대로 찍어서 올릴게요~
EXP
48,710
(23%)
/ 51,001
악플은 범죄입니다.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그래서 글카 여유가 많아서 해상도를 올려도 프레임하락이 생각보다 크지가 않습니당
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을까봐 댓글답니다.
로아는 최저프레임 체감이 크게되는 게임이라 QHD일때 3070ti로는 방어 안되는 구간이 엄청 많습니다. 올려주신 카멘3관문 격돌만봐도 글카가 99% 넘어서 프레임 하락하는걸 볼 수 있고 에키드나 1관문 쫄몹들 때문에 구조물이 많으면 바로 100이하로
떨어질거예요. 즉 ,평균프레임은 비슷해 보일수 있지만 문제는 프레임이 뚝 떨어졌다가 올라갔다가 하면서 뚝뚝 끊기는데
이게 플레이에 지장을 준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QHD~WQHD로 최저 프레임방어가 신경 쓰이시는분들은 40시리즈에서는 4070suepr~4070tisuper 급 50시리즈는 5070ti 추천드립니다.
더불어 CPU는 AMD 3D V캐시 모델로 맞추시면 로아에서는 글카 한체급이상 업글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모니터바꾸기전에 직접 테스트해보고 변경하라고 적어두었으니
다들 직접 테스트해보고 결정할겁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굳이 예를들자면 4070 QHD에서 GPU로드율 40%뜨면서 프레임 하락하는구간에선
FHD해상도에서도 그정도 프레임이 나올거고, 4K에서도 크게 하락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문에 나와있죠.
이런 프레임하락 순간이 수십가지는 되기에 일일이 확인할수가 없기에
그냥 본인이 DSR로 직접 확인해보면됩니다. 4070쓰고있는데 DSR로 QHD 돌려보니 쾌적하네 내가 다니는 레이드 다녀보니 할만한데? 싶으면 모니터 QHD로 바꿔도 프레임 똑같이 나온다는게 글의 요지입니다.
해상도를 높이는 것은 어디서 그래픽적 이득을 보려고 하는건가요?
텍스쳐 해상도만 보고 하는건가요.
각종 그래픽 부가옵션을 전부 끄면서 4K 올리는게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물어봅니다.
택스쳐 질감 화면의 질감을 위해서입니다
사람마다 체감정도는 다를수잇지만 대개 Fhd 풀옵션보다 qhd 하옵션이 훨씬 선명한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지금 qhd모니터도 가지고잇는데 qhd모니터 풀옵보다 uhd 하옵이 눈에띄게 화질이 좋습니다
추가로 영화 드라마 유튜브 등등도 포함이죠
대충 그러지 않을까? 해서 여쭤본건데 답변을 주시니 확신이 서네요.
텍스쳐 업을 위해선 해상도를 높히는게 답이긴 하지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
제가 4070ti 7900x 사용하는데 4k 울트라옵션 60프레임 고정으로해도 그래픽카드 따끈해요. 80~90 점유율 왓다갓다합니다. 4070 이하는 4k 플레이 힘들어요. 옵션타협하세요
적어두신 글은 다음 월간 견적에 넣겠습니다
로스트아크 전체화면에서 > 전체창모드 변환해서 사용하면 이득 못 보나요?
어떤 이득을 말씀하시는걸까요??
전체창모드에서 DSR 해상도 적용이 잘 된다면 전체화면에서 한거랑 똑같습니다!
전체창모드에서 해상도 적용이 됐는지 안됐는지 가물가물하네요
나름 제 눈에 불편하지 않은 선에서 맞춘 옵션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겟죵
1. 4K 최하품질이 QHD 풀옵션보다 그래픽이 월등히 좋습니다.
2. QHD 최하품질이 FHD 풀옵션보다 그래픽이 월등히 좋습니다.
모니터 크기(인치)는 크게 상관 없나요?
간단한 예로 24인치 FHD와 32인치 QHD는 픽셀간 간격이 같기에 화질(선명함)은 동일합니다.
근데 24인치로 화면을 보는것과 그 선명함을 32인치로 보는거는 체감이 많이 다르죠. 훨씬 크게 느껴지니까요
모니터 가격대별로 스펙(컬러영역 밝기 뭐 등등 스펙이많아요)이 다르면 또 다르답니다.
같은 32인치 QHD라도 모니터 스펙에따라 꽤 다르거든요.
예를들어서 27인치 FHD를 쓰다가 32인치 QHD로 바꾸게되면 화질(선명함)은 떨어지게 됩니다. 다만, 모니터 인치업에서 오는 만족감이 크다면 그정도는 감수하고도 사용할만하겠죠.
27인치 qhd를 쓰다가 32인치 qhd를 입니다.
화질은 떨어지지만 모니터가 커지는데서 오는 장점이 약간의 화질저하는 감수하게 만들수도 있죵 그리고 핸드폰에 4k 8k 때려넣는다고 엄청 체감되지는 않는것처럼
또 무조건 작은화면에 고해상도 넣는다고해서 체감 화질이 무한정 올라가지도 않는다고 봅니당
적당히 잘 밸런스맞춰서 쓰는게 좋겟습니당
9600x + 7700xt 조합으로 충분할까요?
DSR로 4K 해상도만들어서 직접 확인해보시면 제일 정확하구요
7700XT를 잘몰라서요. 대충 알아보니 3070 4060TI 3070TI 이정도 수준같은데
60hz정도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옵션을 저처럼 조금씩 수정해서 사용하면 더 나을거구요
4k해상도에선 cpu는 크게 중요하지않습니다. 9600이면 차고넘치죠
PC 구매 고려중에 여쭤봤어요 감사합니다
제 컴퓨터 사양은 7600 + 4070 + 32GB + 27FHD 입니다!
기존 옵션과 비교하면서 참고해서 변경해봤는데요.
1. 계단 현상 방지 낮음 -> 미사용
2. 그림자 품질 상-> 중
이렇게 변경했는데 뭔가 더 깔끔하게 나오는 거 같아서 좋습니다!
파티클품질도 확실히 하가 더 깔끔하네요!!
감사합니다!
다만 정말 4k에서 로아 구동을 염두에 두고 컴셋팅 중이시라면 위는 참고만 하셔야지 위사양대로 구매하셨다간 크게 낭패를 보실수밖에 없습니다.
각종 컴덕 싸이트 가보시면 글카별 cpu별 로아 프레임 수치는 상세히 나와있으며 4k환경은 엔드급 스펙의 본체를 사용하셔야 스트레스 없으실껍니다.
추가로 마지막에 적혀잇듯 모니터를 바꾸기전 dsr로 직접 테스트해보고 할만한지 아닌지를 본인스스로 판단하게끔 하는게 가장 핵심입니다.
쾌적함의 여부는 개개인마다 편차가 많이 크기 때문이죠
모니터 2대입니다
로아는 CPU빨이 큽니다. 적당히 궁합맞는 CPU라 치고
60~100프레임으로 게임해도 괜찮다면 OK, 그이상의 프레임을 원한다면 NO 입니다.
램수율은 몰루~
논오버랑 비교하면 거의 모든게임 40프레임가량 올랐었습니다
UHD에선 글카가 상시풀로드라 램오버영향이 너무 미미하더군요
글카가 놀고있는 QHD까지에선 프레임차이가 엄청나게 났습니다 ㅋㅋ
윈도우11업뎃이후 인터넷창에서도 주사율문제인지 화면이 일정부분만 문제생기고 로아내에서도 프레임드랍이 제법 일어나고 있는데 165hz가 기본설정이던데 이게 너무 높게 설정되어있는걸까요?
컴터를 잘 모르는지라 어떤걸 어케 설명드려야할지도 잘 모르겠네요 ㅠㅠ
4k 144hz 32인치랑 uwqhd 144hz 40인치 쓰는데, 로아할 때 21:9에서 하면 해상도가 아쉽고 4k로 하면 비율이 아쉬워서 지름신이 오네요
강추~
겜하다보면 렉생기고 밀리고 합니다. 참고로 램은 용량의 90%를 넘어 사용하기시작하면 버벅거리기 시작합니다 다른게임은 괜찮은데 로아는 유독 램이 부족하더군용
로아 인게임 옵션에서 fps 제한을 20~30까지 내리고 적용하시면 마우스 포인트가 밀리는게 바로 보이실거에요.
프레임이 부족한 건 크게 둘 중 하나죠. cpu& gpu
작성자분처럼 cpu사용률, gpu사용률, 프레임 확인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본인의 현재 상황 파악이 필요합니다.
마우스가 밀리는 상황에서 cpu 사용률, gpu 사용률을 확인하시고
gpu 사용률이 100%에 도달했다면 gpu 성능이 부족한거니 인게임 그래픽 옵션을 낮게 조정하시거나, 그래픽카드 교체를 하셔야되구요.
cpu gpu 사용률이 동시에 낮다면 cpu 성능이 부족한거니 동시에 사용중인 프로그램들을 일정부분 정리하시거나 cpu 교체를 하시면 됩니다.
별개로 로아는 16gb로 많이 부족하니 16+16 gb 추천합니다.
램 추가만 해주셔도 큰 체감이 될거에요.
다른 온라인게임은 이정도까진 아닌데 로스트아크는 유독 못갈굽니다.
마을프레임은 그래픽카드가 1050 이딴것만 아니면 99% CPU영역이니 그정도 정상
그래도 마을 제외 어디 다닐땐 120~160프레임 정도는 오르락내리락 할텐데요??
위의 제 QHD나 FHD 프레임 보이시죠? 저거랑 비슷하게 나오실거에요
프레임제한같은거 안걸려있나 확인해보시구용
4k로 올리면 글카 로드율 올라가면서 지금이랑 크게 차이가안날거에요 ㅋㅋㅋ
DSR로 4K하면 프레임 얼마나 나오는지 함 확인이나 해보세용~ 본문 하단에 설명되어있어용
개쌉풀옵 175항상 나오지만
레이드 가면 프레임 유지못함 100이하로 떨어질때도 많고
절대 3070으로 저프레임 유지못함
님컴터에 4070으로 바꿔꽂아도 100프레임 이하 떨어지는구간에선 똑같이 떨어질거에여 ㅋㅋ 마찬가지로 5090꽂아도 100이하로 떨어질거에요 같은곳에서
지금 5600x에 3060물려서 쓰고 있는데 하옵으로 돌리고 있어서 스샷 찍을때 특히 뭉개지는 느낌이 강하더군요. 카멘 같이 좀 파티클이랄까요? 특정 레이드 부분에서 잔렉이 조금씩 있는 느낌이더군요.
그래서 고려중인게
7800x3d - 39만쯤
9800x3d - 66만쯤
둘중에 고민이 강하게 드네요.
글카는 5070ti 또는 9070xt모델로 가려고 합니다.
현재 모니터는 메인 qhd 144hz, 보조 fhd로 쓰는데 모니터 성능 좀 제대로 내보려는데 작성자님이 보시기엔 뭐가 더 좋을까요?
다만 가격이 70%차이인데 프레임은 30% 채 차이가 안날겁니다.
QHD 기준으로요.
저라면 783D에 5070TI로 갈것같네요. AMD 글카는 제가잘몰라용
위의 QHD해상도들 프레임 한번 쭉 봐보세요. 저거보다 대충 평균적으로 1.5배 나올겁니다. 제기준 평균 120~140정도나오는데 제컴에 783D꽂아도 평균 150이상은 나올거라..
글카까지 올라가면 저보단 월등히 높게나오겠네요.
로아는 QHD까지는 CPU빨이 엄청나게큽니다.
I5 12600K급 CPU로 3070TI를 100% 활용을못하는구간이 90%입니다.
같은사양으로 4K사용시 3070TI 거의 100%풀로드상태입니다.
그래서 보면 QHD랑 4K랑 프레임차이가 크게 안나는경우가 많습니다.
참고만하세용
저라면 783D갑니다
7500f 4060ti로
4k 60hz 사용 될까요?? 본체 구매전이라 테스트 해볼수 없어서 여쭤봅니다 !
해보시고 가능하단걸 증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