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12-24 06:21
조회: 41,514
추천: 28
민지 칼리버 계산기(생활 도구 계산기) 전생활 업데이트 완료! +기존 계산 방식 수정![]() 예전에 벌목 계산기 올렸었는데 데이터 더 쌓아서 계산 방식 수정하고, 오차범위도 줄였습니다. 고고학, 채광, 식물채집, 수렵, 낚시도 추가했어요 생활 도구 옵션을 입력받아서, 예상되는 재료·골드 획득량을 알려주는 사이트 입니다 해당 창에서 1. 도구 옵션입력 2. 레벨, 부적, 미니게임 비율 입력 3. 적용하기 버튼 클릭 4. 예상총합획득량 클릭 테이블에서 예상 골드 획득량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획득 개수 저장 클릭 을 하시면 재료 획득 개수가 사이트 쿠키에 저장되고 ![]() 생활 효율 탭에서 각 생활을 비교 가능합니다 모바일O ![]() ![]() (바쁘신 분들은 스킵) * 처음 회귀분석으로 다 해결하려고 했는데 보물 주머니, 미니게임 같은경우 데이터 표본이 적어서 데이터가 쌓일 때마다 변동폭이 너무 크게 나왔어요 어떤 분석이든 변수를 줄이면 정확도가 향상되니까 변수를 하나씩 제거하면서 개선을 진행했습니다 기존에는 전체 수집량을 비교했지만 이후에는 시스템창에 뜨는 로그를 보면서 순수 획득량, 미니게임 획득량, 추가보상 획득량 이런식으로 각각 어떤 옵션에 의해 나오게된 데이터인지 분리했습니다 또 기울기가 매번 크게 차이가 났었는데(계수) 생활 툴팁에 적혀있는 "확률이 n%증가합니다" 가 어떤 의미인지 다시 생각을 해보고 확률 증가량을 기울기로 적용해서 절편 값(0%일때 값)만 회귀 분석으로 구하는 방식으로 계산식을 다시 짰습니다. 확률 값 자체가 증가하는 경우와 확률 값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모두 존재해서 기울기를 확정하기까지 조금 시간이 걸렸지만 모든 생활 옵션에 대해 이론모델을 세우고 회귀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생활마다 데이터 테이블이 다르고, 옵션이 적용되는 방식이 달랐지만 큰 편차는 나지 않았어요 고고학의 경우 보상테이블이 큰 대신 미니게임 횟수가 적게 나오고 채집의 경우 보상테이블이 작고, 미니게임 관련된 옵션이 하나 밖에 없는 대신 증가량이 매우 높았습니다. 획득량 자체는 차이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데 재료 가격은 생활마다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생활에 따라 옵션 중요도 차이는 어느정도 있었습니다. 옵션 중요도 예시 (12.24 기준) (미니게임 관련 옵션의 경우 같이 있을 경우 시너지 있음) (보라채집물 비율도 미니게임 관련 옵션에 영향) 벌목: 단일: 희귀 > 보물주머니 > 나무차기보상·기회 > 전체 > 고급 > 일반 보상*기회: 희귀 > 나무차기보상·기회 > 보물주머니 > 전체 > 고급 > 일반 고고학: 단일: 보물상자 > 희귀 > 고급 > 일반,전체 > 미니게임보상·기회 보상*기회: 보물상자 > 미니게임보상·기회 > 희귀 > 고급 > 일반,전체 희귀 재료에 가격이 둘다 비싼 벌목의 경우 희귀 옵션에 중요도가 높아집니다 또 특수한 케이스들은 고고학의 보물상자 - 보물 주머니보다 벨류가 높음 보물 주머니: [일반: 1, 고급, 0.5, 희귀 0.1] 비율로 나오지만 보물 상자: [[일반: 1, 고급, 0.5, 희귀 0.2] 채집의 골든 핑거 - 골든 핑거는 미겜 기회와 보상이 합쳐진 방식 최고 수치인 9.8일 때 고고학의 미겜보상·기회 50%,50% 합한 것 보다 높음 이외의 데이터 테이블이나 미니게임기본 횟수, 보물주머니 기본 횟수 이런거 궁금하시면 나중에 정리해서 다시 글 작성하겠습니다. * 추가로 궁금하신거나 문의사항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시고 추천 한 번씩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EXP
6,467
(33%)
/ 6,6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근데 시간은 조금 걸릴 것 같아요
레벨: L눌렀을 때 나오는 레벨 0~70 입력 하시는거 맞아요..!
미겜보라 비율: 평소에 신경 안 쓰시면 15%유지 하시면 됩니다
이것도 시간이 조금 걸릴 것 같아요
미겜 11번중 5번 보러색 진행: 5/11 * 100
마찬가지로 미니게임 추가 보상을 얻을 확률이 올라가면 미니게임 횟수가 증가 할 수록
미니게임 추가 보상으로 얻게되는 보상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미니게임 기회와 미니게임 추가 보상 옵션은 서로 +영향을 끼칩니다.
제작 하신 도구에 미니게임 기회와 미니게임 추가보상 옵션이 같이 있으면
하나만 있을 때보다 상승폭이 크다는 의미입니다.
필요 갯수가 생활마다 차이가 존재하는지 몰랐어요...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제작키트까지 포함하면 고고학도 비교 선상에 놓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진짜 극한의 고점 보려면 벌목 혼자하면서 보라나무 아껴놓고 나무차기 전부 보라나무에 하면 그게 제일 고점이 높아요
벌목은 보라나무 찾을때까지 채널 바꾸면서 돌아다니는게 가능한데 채광은 사실상 불가능해서요
신기하다
보통 기회+보상 도구보다는 기회따로 보상도구스왑 해서 쓰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게 진짜 효과가 있는지 궁금해요.
미니게임기회획득확률: 평소에 사용하는 도구 옵션으로
미니게임보상획득률: 미니게임 할 때 사용하는 도구 옵션으로 (스왑하는 도구로)
이렇게 입력하시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등장 확률", "기회 획득 확률" 은 말 그대로 일반 땅파기 할 때
보물 상자나 미니게임이 나올 확률을 높여주는 옵션입니다.
"미니게임보상획득률" 옵션은 미니게임 했을 때 "보상을 한번 더 받을 확률" 입니다
미니게임에만 적용되는 옵션이기 때문에 스왑해서 사용하는게 유의미 합니다.
고고학같은경우 미니게임에서도 상자가등장하다보니 다른옵도 적용되는게아닐까하고 궁금했습니다.
또 보물상자의경우 전체일반고급희귀가 달린삽을끼고열면
옵션적용을받는다<<라고하는데 개인적인기록으로는 잘 느끼지못해서 보물상자나 주머니를 여는것도 도구옵션을받는지궁금합니다.
이 부분은 저도 생각은 했었는데, 데이터 수집이 어려워서 해당 사항은 적용이 안되어있습니다.
"또 보물상자의경우 전체일반고급희귀가 달린삽을끼고열면
옵션적용을받는다"
이건 잘못된 정보 같습니다. 데이터 테이블 확인했고, 옵션에 따른 차이는 없었습니다
직접 해봤는데 4티가 근소우위긴한데
영지 교환비가 일반 고급 희귀가 12.5랑 6.25로아는데
3티어로 가서 고고학해야할 정도로 차이가 나는지는 모르겠네요
전체9희귀31 상자65 미겜기회31
미겜보상43 상자85였습니다
3t 지역 가서 캐시면 일반 땅파기 획득량 반토막 나요
그냥 4T지역에서 하기고 팔때 바꿔서 파셔요
희귀랑 미겜이 더 중요해요
체감이 잘 안 가긴 할꺼에요 1만생기 털어서 옵션 좋아도 4-5개 먹으면 많이 먹은편이라
하시면 도약 크리값 뺀 골드량 나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