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12-17 01:47
조회: 119,899
추천: 23
상급재련의 모든 것과 3T상재 최종 정리본 글은 상급재련(이하 상재)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까지 나온 상재 팁을 정리하는 시간(목차 3번)을 갖겠습니다. 만일 틀린 부분이나 추가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고치겠습니다. 질문과 반박 환영합니다. 목차 1. 상급재련이란? 2. 상급재련, 일반 재련과 효율 3. 24/12/18 업데이트 기준 3T 상재법
4. 출처
상급재련은 1620렙 때 개방되는 컨탠츠로 한 때, 장비 계승에 대한 불만을 미루고자 출시됐습니다. 일반 장비 강화가 단계가 높아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골드가 빨리기 때문에 상급재련은 장비 강화 도중 상급 재련이 장비 강화에 비해 골드를 적게 소모하는 구간이 생기며 시작합니다. 상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르키엘을 처치한 뒤 '[개방] 상급 재련 : 우마르의 비기' 퀘스트를 완료해야 합니다. 해당 퀘스트는 원정대 퀘스트로 한번만 깨면 다른 배럭은 깰 필요 없습니다. (즉 배럭들은 에키드나를 처치하지 않아도 상재 가능) 상재는 최종적으로 완료하면 장비 레벨을 20 올려주며 상황에 따라 기존 장비 강화와 상급 재련의 효율이 달라집니다. 아이템 레벨 1620 이상의 장비에 담금질을 하여 상급재련을 시작할 수 있고 에키드나 노말에서 1단계, 하드에서 2단계를 개방하게 됩니다. 노말 - 아그리스의 비늘(이하 비늘), 하드 - 알키오네의 눈(이하 눈) 단계 개방 후에는 추가 재료 소모는 없고 각 단계 별로 10레벨, 도합 20렙입니다. 정리: 에키 노말을 클리어 후 얻은 재료로 담금질을 해 상급재련을 개방한다. 상재가 다소 복잡해지는 점은 계승입니다. 우선 4T 상재를 하는 이유는 단순 일반 강화가 상재보다 골드 소모가 적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3T 상재를 하는 이유는 3T 재료를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더 정확하게는 4T 재료를 남겨두기 위함 이겠네요. 계승 전에는 3T 재료(명파, 정파강, 정수강, 최상레, 찬명돌)을 사용하며 하지만 계승 후에는 4T 재료(운명의 파편 등)를 소모합니다. 1620부터의 장비강화는 굉장이 비효율적이라 계승 전 장비강화는 못합니다. 따라서 1620 이후 레벨을 올리는 방법은 상재와 계승입니다. 하지만 2단계 담금질에 필요한 눈이 1640 레이드에서 나오기 때문에 2단계 담금질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3T 재료는 사용하고 싶고, 또 4T의 재료 수급을 위해 무조건 최대한 빠르게 1640을 찍어야합니다. 이런 이유로 사람들의 필요에 따라 상재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위와 같이 상재의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인 상재 방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 1. 1620 찍자마자 계승 후 장비 강화 중간에 효율에 따라 상재하기. 가장 무난한 방법입니다. 대다수의 뉴비와 복귀가 사용할 방법일 겁니다. 4T 재료가 없기 때문에 주차 시간이 오래 걸리며 기존 3T 재료는 버려지게 됩니다. 하지만 장기 주차 예정에 쌓인 3T재료가 없고 4T 재료 파밍을 생각한다면 가장 효율이 높습니다. 4T 상재는 얼추 1단계 - 15강(1665) / 2단계 - 18강(1690) 일 때 하면 됩니다. 보다 효율적이길 바란다면 1단계 16강 / 2단계 19강 추천합니다. 2. 1620 찍고 재료 되는데까지 상재 후 계승하기. 1,2주 간 재료 수급하면서 장비 부분 계승을 통해 1640을 달성 후, 계승 안한 장비 상재를 마무리하고 계승을 마치는 경우입니다. 보통 무기 장비 강화가 비싸기 때문에 무기 상재20을 많이 찍습니다. 밑에 내용 확인하시고 적절하게 적용하시거나 질문도 환영합니다. 그리고 재료가 남으셨다면 담금질만 뚫어놓고 계승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강추! 3. 이벤트와 싱글 보상으로 3T 상재 3T 재료가 많이(명파 기준 약 400만 이상 : 1620 찍는 재료 미포함) 쌓인 배럭을 단숨에 올리기 위해 사용되며 이번 12/18 업데이트로 생긴 선택지입니다. 각자의 상황에 따라 상재를 완전히 끝내고 넘어갈 수도, 일부 담금질 2단계를 4T로 넘길 수도 있습니다. 뒤에 이어 설명하겠습니다.
에키드나 클리어 시 얻는 재료 노말 - 비늘 9 + 9(더보기) / 5(경매) 하드 - 눈 9 + 9(더보기) / 5(경매) 담금질 비용 기본적으로 만일 1단계 담금질 개방에 비늘이 부족하다면 눈을 추가 사용하여 개방할 수 있습니다. 이때 눈은 비늘 2개로 사용됩니다. (비늘 4 + 눈 4 * 2 = 12) ![]() 첫주차) 비늘 : 10(첫클보상) + 9(노말클리어) + 9(더보기) + 5(경매) = 28 + 5(경매) 눈 : 10(싱글코인구매) 익스프레스) 눈 : 20(1620달성) + 30(1640달성)
기본적으로 3T 상재는 입문자에게 추천하는 작업이 절대 아닙니다. 무조건 재료가 쌓여있으며 골드가 넉넉한 유저들을 위한 자료이기 때문에 뉴비는 크게 신경쓰지 않기 바랍니다. 3T 상급 재련에서 가장 중요한건 얼마나 빠르게 1640을 찍느냐 입니다. 계승을 완료하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레벨을 올리는 방법 중 하나일 뿐입니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으니 2주차 이내에 1640 완성하는 방향으로 갑시다. 그리고 상급재련의 완성도가 있는데 이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최대 6개 중에 2개만 1단계까지 하는 방안으로 잡았습니다. (상재20 - 4개 / 상재10 - 2개 이하가 목표) 마지막으로 이벤트가 진행되며 중요한 변수가 하나 더 있습니다. 1640 달성 시 지급하는 상재 보조 재료가 남을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3개의 변수를 고려해 생각해보겠습니다. +) 제 경험상 이벤트 상급 보조 재료 사용량은 상재 1단계 방어구는 2~3부위정도 맞추면 다 사용함 무기는 가호 총 7번 봄 (일반에도 풀숨) 상재 2단계 방어구는 상급보조재료 없이 1개만 진행하고 재료 떨어져서 못함ㅋㅋ 개비쌈ㅋㅋㅋ 무기는 가호 8번 봄 (일반에도 풀숨) 1620렙에서 1640을 찍는데 필요한 레벨 누적합은 120 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간단한 표와 함께 진행하겠습니다.
1안. 상재 안전히 끝맺기 / 2주차에 1640 달성 가장 깔끔한 방법입니다. 표 내부 숫자의 합은 위에 설명대로 120입니다. ![]() 방어구 3개를 2단계까지 완료 후 계승하는 방식입니다. 1주차) 1단계 3개 : 10(첫클보상) + 9(노말클) + 9(더보기) + 눈4(1620달성) * 2 = 비늘 36개 2단계 2개 : 10(싱글코인) + 14(1620달성) = 눈 24개 남는 눈 : 20(1620달성) - 14 - 4 = 2개 2주차) 2단계 1개 : 10(싱글코인) +2(1주차남는눈) = 눈 12개 상재완료까지) 추가적으로 눈 81개 필요 상재완료 : 30(1640달성) + 28(3주차 싱글코인 / 레이드) + 28(4주차 싱글코인 / 레이드) = 86 총 4주 소요. 경매장 2개당 더보기 1주치로 계산가능. 이렇게 하면 1주차 노말 2주차 하드로 갈 수 있어 에키드나 레이드에서는 손실이 없지만 베히모스 이상은 1주차에 못가며 1640에 지급되는 상재 보조 재료가 남을 수 있습니다. 가장 보편적인 안입니다. 2안. 상재 완전히 끝맺기 / 1일차에 적은 상재로 1640 달성 제 뒤바뀔 본캐에 적용할 방법입니다. 표부터 보시죠. ![]() 방어구 3개를 1단계를 뚫고 그 중 2개는 2단계까지 완료 후 계승하고 강화 3강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1주차) 1단계 3개 : 비늘10(첫클보상) + 비늘9(노말클리어) + 비늘9(더보기) + 눈4(1620달성) * 2 = 비늘36개 2단계 2개 : 눈10(싱글코인) + 눈14(1620달성) = 눈24개 남는 눈 : 눈20(1620달성) - 눈14 - 눈4 = 2개 이후 계승한 방어구 2개, 3강까지 강화 (파편 상자 약 100~120개 생각 중) 상재완료까지) 추가적으로 눈 93개 필요 상재완료 : 30(1640달성) + 28(2주차 싱글코인 / 레이드) + 28(3주차 싱글코인 / 레이드) + 10(경매2번) = 96 3주 중에 경매 2번하면 3주 내에 상재 완료. (첫주 노말 경매도 가능하지만 대신 1단계 개방에 전부 사용해야함) 골드가 적다면 골드 소모가 커서 1640 달성 후 남은 방어구와 무기를 상재하면서 골드 차질이 생길수 있습니다. 또 4T 강화를 해야하므로 이벤트 파편 상자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업데이트 된 날 바로 1640 달성할 수 있으며 필요 시 당일에 1680이상도 찍을 수 있습니다. 또 1640 달성 이전 남는 상재의 수가 많아 1안보다 상재 보조 재료를 비교적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골드와 재료만 많고 단기간에 높은 레벨을 가려할 때 가장 추천하는 안입니다. 3안. 상재 4개 끝맺기 (1주차 1640 달성) 기존 인벤에 올라온 글에서 참고하였습니다. 현실과 가장 타협한 방안이라 생각합니다. ![]() 방어구 3개를 1단계를 뚫고 그 중 1개는 2단계까지 완료 후 계승하고 강화 3강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1주차) 1단계 3개 : 눈18(1620달성) * 2 = 비늘36개 2단계 1개 : 눈10(싱글코인) + 눈2(1620달성) = 눈12개 남는 눈 : 눈20(1620달성) - 눈18 - 눈2 = 0개 이후 계승한 방어구 2개, 2강까지 강화 (파편 상자 약 66개라고 카더라..) 상재완료까지) 추가적으로 눈 105개 필요 상재완료 : 30(1640달성) + 19(1주차 싱글코인 / 하드클) + 19(2주차 싱글코인 / 하드클) + 19(3주차 싱글코인 / 하드클) + 18(더보기 2번) = 87 3주 중 더보기 2번하면 상재 끝. 현실적으로 가장 유연한 방안으로 어느정도 이벤트로 주어지고 쌓인 재료들을 200%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안은 상재보조 재료를 최대로 사용 가능하며 레이드 돌 필요 없이 주어진 재료만으로도 강화가 끝납니다. 이에 따라 2안과 마찬가지로 1일차에 강화를 전부 끝맺을 수 있어 1주차에 하키드나를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담금질 2단개 2개가 남는것이 흠이지만 배럭이라면 차고도 넘칩니다. 제가 알려드릴 방안은 여기까지 입니다. 이렇듯 3T 상재에 대해 알아봤는데 이 방법들 말고도 본문 내용을 활용해서 또 이후 업데이트에 적용해서 자기에게 더 알맞는 방식을 구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2안에서 파편 상자가 부족해서 3강 2개를 못하겠다! 하면은 ![]() 위와 같이 기간을 한주 늘려서 2강 2개까지만 강화하고 상재를 늘릴 수도 있습니다. 3안도 배럭일 경우 사실 1주차에 1640을 고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간을 늘려, 장비 강화 대신 상재를 더 늘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상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과 반박 환영합니다. 그리고 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당. 4. 출처
EXP
4,775
(93%)
/ 4,8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담금질을 하려면 가이드 퀘스트를 진행해야하는데
에키드나를 깨야지만 가이드 퀘스트를 할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m-lostark.game.onstove.com/GameGuide/Pages/%EC%83%81%EA%B8%89%20%EC%9E%AC%EB%A0%A8
본문 대폭 수정해야겠네ㅠㅠ
10 + 10 + 20 +5
10 + 20
재화상자가 없어서 3티어 상재는 패스하고,
글써주신대로 1단계가 1665 이후 진행이면 노기르 이상 가고싶을때
그냥 천천히 쌓이는 4티어 재료들로 눌러도 되는 건가요?
쌓아두신게 없다면 그냥 계승하시면 되쌓아두신게 없다면 그냥 계승하시면 돼요
장비 강화 운빨을 안믿는다 하면, 1660에 1단계 하셔서 1670 만들수도 있겠네요
1640컨텐츠 재료를 1690에 활용해야된다는게 정말 기괴한 구조임.
네!! 재료가 애매한 경우 잘 계산하셔서 가능한 만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둘중에 자기상황에서 더 효율적(싼거)하라는거임
올18강 찍고 상재20까지
이렇게 하면됨
쪽지나 질문 댓글 남겨주시면 알려드립니다!
방어구,무기 강화 전부 +10강에 방어상재10 무기상재16까지 해버렸는데
강화를 19강까지 하고 나머지 상재10~20을 진행하는게 효율적인가요?
"보다 효율적이길 바란다면 1단계 16강 / 2단계 19강 추천합니다." 라고 하셨는데 저처럼 생각없이 한거랑 효율적으로 하는 그 차이가 엄청 큰가요?
만일 4T 상재도 귀속재료로만 한다면 시간이 많이 걸릴 뿐
3T 상재와 드라마틱하게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일단 제 견해로는 '있는 귀속 재료는 쓰면 좋다'입니다!
뭐 저따구로 어렵냐
걍 재련이면 재련이지 상급재련은 왜 있고 계승은 또 뭐고
필수면 필수로 해야되게 만들고
선택을 할꺼면 스팩에 크게 영향을 없게 만들던가 해야지
선택을 가장해서 필수로 만들어버리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