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8-14 18:07
조회: 21,352
추천: 17
영지 제작시 좀 더 이득보는 법과 계산기 (웹)세 줄 요약 1. 영지 생산시 재료 교환 상인을 이용하면 생산비용 절약 가능합니다 (= 더 많은 이득) 2. 융화재료 레시피 종류가 많아 일일이 비교하기 번거로워서 계산기를 만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본인의 강화를 위해서 혹은 골드 수익을 위해서 영지 제작 공방을 이용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 아시는 분들도 많겠지만 필요한 재료를 거래소에서 그대로 구매하는 것보다는 영지나 대도시에 있는 생활재료 교환 상인을 이용하면 조금이라도 더 저렴하게 재료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특히 희귀등급의 재료의 경우에 교환하는 편이 더 이득인 경우가 많습니다. ![]() 그런데 4티어 융화 재료의 경우에는 제작법이 6종류나 되고, 재료는 18종류나 되다보니 일일이 모든 재료의 현재 가격과 재료 교환 경우의 수까지 계산하는 게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쓰려고 융화 재료 제작 계산기를 만들어 본 김에, 필요하신 분들은 사용하실 수 있게 공유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계산기 주소는 http://zloa.net/craft입니다. 제작시에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현재 가격을 기반으로 앞서 말씀드린 교환상인까지 고려한 최대 효율을 비교하는 것이었습니다. 현재 가격은 아이스펭 각인계산기에서 처럼 API키를 사용하여 로아 서버에서 받아오게 됩니다. ( https://developer-lostark.game.onstove.com/ 에서 로아 계정으로 로그인시 발급 가능합니다. ) API 키, 영지 효과, 총 생산할 수량을 입력하시게 되면 융화재료 제작법들의 재료 교환비율, 생산비용과 판매 금액을 계산하여 활동력 당 이익 순으로 정렬되어 표로 출력합니다. API키와 영지 정보는 브라우저에 저장되어 한 번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후 해당 제작법을 클릭하시면 아래의 그림과같이 총 필요한 재료, 교환식을 이용할 재료, 어떤 아이템을 몇 단위 교환해야하는지를 화면에 보여줍니다. (사진은 40묶음을 생산할 경우 기준입니다) ![]() 감사합니다.
EXP
1,793
(96%)
/ 1,801
https://zloa.net
로스트아크 유저를 위한 사이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환산 점수 계산기 & 랭킹 : 스펙업을 종합하여 하나의 숫자로 만듭니다. 영지 제작 계산기 : 제작법에 따른 최대 효율을 계산합니다. T4 악세 검색기 & 차트 : 여러 특옵 조합을 한 번에 검색하고 최근 2주간의 가격을 차트로 보여줍니다.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매물이 몇개 없는 상태에서 시세가 잡혀버리니 혹시 수동 수정을 할 순 없을까요?
본문이 길어질까봐 적지는 않았지만, 이런 문제를 간접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가격정보를 3초마다 불러와서 기록된 기준가보다 현재 최소가나 마지막 거래된 가격이 높을 경우 둘 중 높은 가격을 기준가로 저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가격 계산을 시작하고 창을 끄지 않은 채 시간이 좀 지나게 되면 기준가가 점점 올라가면서 현 시점 최저가보다 높은 값을 사용하게되고, 계산 결과 값 역시 좀 더 보수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런 보수적인 결과값을 사용해도 약간의 오차는 생길 수 있겠지만, 가격을 직접 입력하는 수고로움에 비하면 자동화가 주는 편안함이 더 크다고 생각해 이런 방식을 채택하였는데요. 이렇게 사용해 보시고도 수동 가격입력의 필요성이 느껴지신다면 번거로우시겠지만 다시 한 번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프로그램 만들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환산 재료에 적힌 재료들을 모두 구매하신 후, 환산 방법에 따라 환산하시고 나면 필요 재료가 모두 준비되는 방식입니다.
단어 선택이 애매해서 오해를 유발한 것 같네요. "준비 할 재료"로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주변지인분들 한테도 추천할께요! 사이트 잘 이용할께요 감사합니다!
0.5고급목=목재=0.1희귀목
알려주신 상황만을 놓고 보았을때 추천드릴 수 있는 대처방안은 세 가지 정도입니다.
1. 새로고침 해보기
2. API키를 올바로 복사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보기
3. 시크릿 모드로 접속해보기 (이 경우 저장기능은 비활성화됩니다)
이런 경우를 고려하여 추후에는 API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적인 기능으로 내가 팔 가격을 수동으로 입력시 얼마정도의 이득이 나오는게 혹시 추가가 될까요? 실시간 가격 연동도 너무 감사하고 잘 쓰고 있지만 빠른 골드환전을 위해 가격을 낮춰 팔시 어느정도의 이익률이 될지 보고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판매가는 기준가 -1골드에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저도 거래소에 골드 묶이는 걸 별로 안좋아해서 즉시 판매 가능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하고있습니다. 기준가 산정방식은 위에 제가 남긴 대댓글을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수동가격입력의 경우, 몇 건의 요청과 API고장 사태를 통해 개발을 고려하고있지만, 현재 다른 기능 개발에 우선순위가 밀리는 상황입니다 ㅠㅠ
원하시는 계산값은 레시피를 클릭하여 나오는 상세 정보에서 수수료 제외 판매가에서 원하시는 만큼 가격을 빼신 후에 개당 평균 생산가로 나눠서 원하는 수익률을 계산해서 사용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