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4-22 14:34
조회: 500
추천: 0
지표로 보는 T1일단 10경기 이상 출전한 선수들만 기준으로 지표를 분석했음. 기준은 올해 전부. LCK컵 포함. 킬 관여가 꼴등이고 솔로킬이 4위임(제카, 피셔, 쵸비 다음) 즉 한타보다 사이드 위주로 돌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고, 그렇다면 반대로 도란이 사이드 롤을 감당을 못하고 있다는 얘기임. DPM이 2위라는 건, 메이킹 위주보다는 캐리롤을 많이 맡고 있다는 얘기. 실제로 올해 모스트 2가 빅토르랑 아지르임.(이 둘이 전체 게임 중 40%) 기존 캐리롤을 맡던 제우스의 부재와, 바텀 라인의 불완전한 캐리롤 수행에서 어쩔 수 없이 페이커가 캐리롤을 맡고 있는 거로 보임. 그런데 GPM은 뒤에서 3위임. T1 팀 전체의 GPM은 팀들 중 3위인만큼, 팀이 전체적으로 돈을 못 버는 게 아니라 페이커는 여전히 자원을 양보하는 거. 그래서 DPG, 즉 골드 대비 딜량은 1위임. 결론 : 안 먹고 딜 잘 넣으면서 사이드도 틀어막는 캐리롤이라는 괴상한 통나무를 들고 있는 중. 2. 오너 오너는 CSM/GPM/15분 골드차 2위, 15분 CS 차 3위, 15분 경험치 차 4위인 반면 킬 관여 아래서 2위로, 언뜻 보면 성장형 정글의 지표를 보여주고 있음. 그러나 이게 그러고 싶어서가 아니란 걸 알 수 있는 게, 퍼블 관여가 2위임. 결론 : 개입할 각에는 정말 잘 개입할 수 있는데, 팀원들이 개입할 각을 마련을 못해주니 원치 않게 자기 성장 밖에 할 게 없는, 통나무를 들고 싶어도 못 드는 정글. 3. 케리아 최근에 막 변이 아쉽다 이런 얘기 나오지만, 여전히 지표 상으론 압도적임. kda 1위, 킬관여 2위, 딜지분 1위, 시야 점수 1위, 15분 골드 차 1위, 15분 경험치 차 2위, 퍼블 관여 1위, 퍼블 당한 횟수 꼴찌. 지표만 보면, '내가 뭘 더 해줘?' 소리 나올만함. 그리고 실제로 인게임적으로도 안 좋은 모습보단 좋은 모습이 더 많음. 결론 : 고장날 수도 있겠다만, 아직까지는 정말 잘해주고 있는 서폿 4. 스구 KDA, DPM, CSM, 15분 지표 등 많은 부분에서 구마가 근소한 차이로 우세하긴 한데 큰 차이는 아님. 다만 스매쉬는 퍼블 확률이 1위(62.5%)로 구마보다 높고(27.3%), 퍼블 당할 확률은 거꾸로 구마가 압도적으로 높음(27.3% vs 0%). 그래서 그런지 15분 cs 차이는 구마가 근소한 우세인데 15분 골드 차이가 스매쉬가 꽤 높음(533 vs 282). 다만 구마의 킬 관여가 80.6%로 1위인 반면 스매쉬는 71.2%로 5위라는 점에서, DPM과 더불어 오히려 중후반 팀 기여도는 구마가 더 높은 것으로 여겨지는 기현상. 결론 : 구마의 초반 데스가 구마의 가장 큰 장점인 라인전 리드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음. 하지만 그럼에도 기본기가 더 탄탄해서 전반적인 지표 및 중후반 팀 기여도는 구마가 조금 더 높은 편. 5. 도란 퍼블 따일 확률은 의외로 11위고, 퍼블 횟수도 5위지만 15분 골드 차 10위, 15분 cs/경험치 차 7위로 도저히 서부권 팀이라 볼 수 없는 라인전 체급을 보여줌. 그런데 최종 CSM과 GPM은 4위라는 건, T1이라는 팀 자체가 CSM 1위, GPM 3위인 덕일 거임. 그런데 딜 지분은 11위, 킬 관여도 6위임. kda는 어케 6위라도 하지만 데스 수는 1위. 탱챔을 해서 딜 지분이 낮냐 하면 그것도 아님. 모스트 5가 럼블, 암베사, 잭스, 제이스, 그웬임. 결론 : 라인전 체급은 낮으며, 딜챔 잡아도 사이드 돌지도 못하는데다가 딜도 못 넣고 죽기는 잘 죽는 탑솔. 6. T1 현재 전체 팀들 기준으로 승률과 비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KDA, GPM, 타워 킬, 깨진 타워 수, 아타칸, 15분 골드 차인데, 이런 지표들에서 T1도 대부분 3위임(T1 승률이 3위). 몇 가지 좀 볼 지표들이 있다면, 전령 획득이 9위, 유충 획득이 10위인데, 그렇다고 용이라도 먹었냐 하면 15분 용 차이도 5위임. 즉 초반 오브젝을 거의 버린 건데, 그럼 뭐했냐, 포탑 채굴함. 채굴 1위임 ㅋㅋㅋ 근데 슬픈 건, 채굴 1위인데 15분 골드 차이는 3위임. 작년에는 리그 폼 넘사인 젠지를 제외하고 15분 용, 유충, 15분 골드 차 2위, 채굴 및 15분 타워 차는 1위였던 걸 생각하면 초반이 정말 많이 약해진 것. 결론 : 초반 많이 약해졌으나 전반적인 지표 상 아직 강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는 함.
EXP
117,355
(29%)
/ 135,0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페이커 kda는 중위권조차 안됨
그냥 라인에서 딜교하고 사이드 가서 딜교 겁나 걸다가 짤리는 전형적인 탑신병자형 미끼 역할 정도 하고 있다 평가하는게 맞지
그리고 10명 중 5명이 중위권 미만이라는 건 도대체 어떤 대가리에서 나올 수 있는 발상이냐?
10명 중 5위면 그냥 중위권이라는 게 정상적인 말이랍니다~
간신히 중위권 턱걸이라는 건 6위나 7위한테 할 얘기지.
하여간 병신하곤 대화가 안 통해요.
말이 안 통하네.
사이드돌면 낮아짐
근데 운영잘하는 팀일수록 사이드돔
실제로 제우스 쵸비 제카 페이커 전부다 kp%낮음
근데 dpg 골드양보는 난 아니라고 봄
사이드를 돌수록 골드는 많이벌고 교전참여율은 떨어지니
dpg에 불리할수밖에 없음
근데 어떻게 kp가 낮은데 dpg는 높냐?
이건 딜챔 많이해서 딜량 높이고 사이드 많이돌았지만 잘 짤려서 골드수급에 문제가 있었다는거임
실제로 이번시즌 페이커 자주 짤렸음
다만 사이드를 돌면서도 사이드에 진득하게 들러붙어있기보단
시야에서 자주 사라지면서 합류하는 듯한 제스쳐를 취한 게 아닐까 생각 중.
그냥 3라인이 다 잘하면 본인이 없는 곳에서 이득을 자꾸 보니까 킬 관여가 낮아질 수 있는데, T1은 누가 봐도 그건 아니기 때문에 ㅋㅋㅋㅋ
제우스 kp꼴등, 쇼메 kp1등
걍 사이드 운영하면 kp는 낮아질수밖에 없고
한타꽝만하면 kp는 높을수밖에 없음
그래서 내가 그린 지표에서도 kp 빼버린거고
dpg를 지표에서 뺀것도 근거가 있음
사이드 돌면 골드는 늘어나고 데미지는 줄어듬
근데 사이드 도는게 못하는게 아니잖아?
실제 선수들 지표봐도 잘하는선수든 못하든선수든 dpg 높고낮음이 일관성이 없더라고
그래서 지금은 dpg랑 kp는 의미가 적은 지표라고 생각함
빠커는 kp가 낮은데 dpg가 높음.
사이드 많이 돌면 당연히 kp가 낮아지면서 dpg도 떨어짐.
이런 일반적인 상식을 부정하는 게 빠커라는 거지.
사이드를, 사이드 자원 먹기 위해 도는 게 아니라 상대의 사이드를 억제하기 위해서 도는 거라고 보면 사이드 돌면서 자원은 별로 안 먹을 수도 있음.
최소한만 먹고 시야에서 사라져서 팀 합류하는 제스쳐를 취하는 식으로.
팀이전반적으로 개판이라 지표해석이 묘해지는기분
그리고 내가 말하는 합류 움직임이라는 건, 실제 합류하는 게 아니라 그냥 시야에서 사라져서 본대 부담을 덜어주는 거임. 빠커가 그런 움직임 라인전부터 잘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