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 글은 하츠로그 광고/홍보글이 아닙니다.
항상 꾸준히 자게에 올라오는 하츠로그 궁금증에 대한 답이기도 하고, 잘못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단순 정보 전달을 위한 글입니다.


글을 크게 하츠로그에 대한 "설명"과 "사용법 및 팁" 두 부분으로 나누겠습니다.

하츠로그의 쓰임새 및 신뢰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시고 납들이 가시면 열심히 애용하시면 되고,
납들이 안간다. 틀린 점이 있다면 얼마든지 태클 ㄱㄱㄱ

아 참고로 저는 하츠로그에서 보여주는 MMR은 안 믿습니다. 아래 내용도 하츠로그 MMR에 대한 의견이나 정보는 전혀 없습니다.
이유인 즉, 하츠로그든 블리자드든 MMR이 어떤 식으로 산출되는지 공개한 바가 전혀 없습니다.
같은 팀으로 똑같이 이기더라도 MMR 변동이 서로 다릅니다.
하츠로그 나름의 공식을 갖고있고 여기에 따라 잘하는 사람은 높게, 못하는 사람은 낮게 측정되겠지만 그냥 딱 그 정도입니다.
잘하는 사람은 MMR도 높겠거니, 못하는 사람은 MMR도 낮겠거니. 끝
--------------------------------------------------------------------------------------
먼저, 하츠로그(hotslogs.com)란 간단하게 말해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인게임에서 수치로서 집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통계 사이트입니다.
그리고 하츠로그는 블리자드와 연계되지 않은 별개의 사이트로 모든 데이터의 출처는 플레이어가 업로드한 리플레이 파일입니다.

간단하게는 각 영웅별 플레이 횟수, 밴된 횟수, 승률, 각 멥에서 영웅별 등률 등 이 있고

조금 더 들여다보면 한 게임 당 평균 경험치 획득량, 평균 영웅딜량/공성딜량 등등 이 있고,
죽어있던 시간, 우두머리로 승리한 게임 백분위, 오브젝트로 승리한 게임 백분위, 첫 오브젝트를 얻은 팀이 승리할 확률까지 말그대로 수치로 표시할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통계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츠로그는 이렇게 다양하고 유용한, 많은 자료를 무료로 제공함에도 호불호가 분명한 사이트입니다.
긴가민가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매우 애용하는 사람들도 많고, 어떤 이에게는 신뢰도 거의 0
통계의 통짜도 모르냐며 비꼬기도 할 정도로 의견 분분한 사이트입니다.

왜인가

--------------------------------------------------------------------------------------
하츠로가 가진 맹점
1. 히오스를 플레이하는 모두가 하츠로그를 이용하지 않습니다.
당연합니다. 단순 영리 등급 외 조금 더 자신의 게임 성적에 관심있는 사람들만 쓰겠죠.
그리고 그 사용자들의 히오스 전 플레이어 중 얼마나 차지하는지는 모릅니다.
히오스팀에서 전체 플레이 수 이런걸 공개하지않으니..

2. 하츠로그 상 티어와 실제 히오스 티어는 다릅니다.
1번에서 파생된 맹점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열심히 자신 리플레이 업로드하는 사람은 같을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저는 같습니다.

실제 히오스 티어와 하츠로그 상 티어가 다르면 생기는 문제점.
어쩌면 이게 가장 치명적일 수 있는데, 실제 다이아 티어인 사람이 하츠로그에서는 플레티넘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실제로는 브론즈지만 하츠로그에서는 실버나 골드일 수도 있습니다.

이 오차는 전체로 보면 상관없지만, 티어별로 나눠서 통계자료를 찾아볼 때 크리티컬할 수 있습니다.

--------------------------------------------------------------------------------------
하츠로그를 안 믿는 거의 대부분의 비이용자는 위의 이유 때문일겁니다.
그럼에도 저는 왜 하츠로그를 애용하고 하츠로그 뒤져보면서 글까지 쓰느냐.

1. 히오스 플레이어가 모두 리플레이를 업로드하진 않습니다. 올리는 사람들의 비중도 알 수 없습니다.
그 비중은 알 수 없지만, 얼만큼의 데이터가 올라오는지는 알 수 있고 그 수가 어마어마합니다.
영웅리그 기준 매주 약 1,000,000개의 데이터가 올라옵니다.

"어짜피 올리는 사람들만 올리고, 안 올리는 사람이 훨씬 많다. → 안믿음."

통계에서 중요한건 표적이 될 수 있는 전체 중에서 얼만큼을 차지하는 표본수를 조사했는가가 아닙니다.
얼마나 많은 표본을 얻어 일반화해서 신뢰도를 얻을 수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가령 사람이나 동물로부터 빨간 방에 가뒀을 때와 초록 방에 가뒀을 때의 심리변화 혹은 남자와 여자에 따라 위험을 앞뒀을 때 대처 성향을 조사해 통계자료로 쓴다고 해봅시다.
몇명 정도면 적당하다고 만족하시렵니까.
100명? 10000명? 25000명 정도? 전세계 인구가 70억~80억 정도 될텐데 이 중 얼만큼에 해당하는 조사를 했을 때 이 자료가 신뢰도를 가진다고 하시렵니까??

위의 이유라면 사람이나 동물을 대상으로하는 그 어떤 자료도 통계로서 쓰일 수 없습니다.
(물론 대상 중 특성이 짙은 일부분만 조사한 백분위가 작은 통계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파란지붕 사람들에게만 대통령 지지도 조사를 했다던가..)

1.1. 보충설명하면 모두가 리플레이를 업로드 하지않더라도 이론상 10명 중 1명만 업로드해준다면 히오스 모든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안올려도 같이 게임한 10명 중 1명이 업로드한다면 가만히 있는 9명의 데이터까지 같이 올라갑니다.

이 이유 때문에 "꼭 리플레이 올리는 사람만 올린다." 라는 이유로 신뢰도가 떨어질 순 없습니다.
리플레이를 업로드 하는 사람들끼리만 매칭을 시키는게 아니니까요

2. 히오스에서와 하츠로그에서 등급이 다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이유들 때문에 엄청난 오차가 생기는 경우는 적을 것이라 생각하고, 등급대를 묶어보면서 나름 오차를 보충할 수 있습니다.

2.2. 분명 실제와 다르게 통계에 이물질이 섞여들어갔을 것임에도 절대적인 표본수가 많아서일지 모르지만
기간별로, 등급대별로 "경향"이란게 보입니다.

긴 기간 하츠로그 구경하면서 어떻게 된게 자료를 100만개나 모아놓은게 도저히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뒤죽박죽이라면 바로 무시해버렸을겁니다.


--------------------------------------------------------------------------------------
하츠로그 사용법/활용법
시작하기
1. 간단하게 이메일/이름/비밀번호를 설정해 회원가입합니다.
이 때 입력하는 이름이 HOTSLOGS ID입니다. 실명ㄴㄴ

2. 상위 "내 계정" 탭에서 프로필 → 베틀코드를 입력해 베틀넷 ID와 동기와합니다.

3. 내 계정 탭에서 "리플레이 업로드" 탭에서 수독 OR 자동 업로드를 다운받아 리플레이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자동업로더 사용 시 최초 1회 업로드하는 경로설정만 해주면 그 다음부터는 그냥 실행만 하시면 됩니다.
보통의 경우 파일경로는 이렇습니다.
내 문서  Heroes of the Storm → Accounts 까지 들어가면 10106980 이런 식으로 숫자파일 있습니다.
여기서 다시 1-Hero-1-5367445 → Replays → Multiplayer  → 끝


확인할 수 있는 것들
1. 자신의 성적/자신이 포함된 게임의 여러 성적들은 전부 "내 계정" 탭에 들어있습니다.
1.1. 프로필
가장 쉽게 기본적으로 히오스가 자체적으로 제공해줬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록들을 보여주는 탭입니다ㅡㅡ
확인 가능 정보 : 각 게임형식(빠대/영리/언랭 등)별 각 영웅 플레이 횟수, 각 영웅별 승률, 멥별 승률, 어떤 영웅들 상대로 승률이 높은지, 어떤 영웅과 팀이었을 때 승률이 높은지 등등

1.2. Hero Overview
자신이 플레이한 각 영웅별로 상세기록들을 보여줍니다.
확인 가능 정보 : 영웅별 플레이 횟수, 승률, 평균 킬수, 평균 데쓰, 평균 영웅딜/공성딜, 평균 힐량 등등

1.3. Team Overview
같은 팀으로 만나 플레이와의 기록을 보여줍니다.

1.4. Match Awards
이번에 새로 생긴 탭으로 MVP, 집행자, 용병모집관? 등등 호칭을 얼만큼 받았나를 보여줍니다.

1.5. 대전 기록
자신이 올린 모든 리플레이 상세기록을 확인 가능합니다.
확인 가능 정보 : 승패, 해당 게임에서 만난 9명의 MMR, 영웅레벨, 찍었던 특성, 영딜, 공성딜, 경험치 기여 등 기본정보, 죽었던 시간, 오브젝트 획득 시간, 순서, 경험치 격차 등등(그림 참고)



2. 자신 기록 외 전체적인 기록을 확인하고 싶으면 "Statistics" 탭 참고
2.1. Hero Details
요즘 어떤 특성이 인기인지, 어떤 특성이 성적이 좋은지 확인 가능합니다.
확인 가능 정보 : 각 기간별/등급별/게임유형별/영웅별 특성픽률과 승률 

2.2. 영웅/전장 통계
가장 쉽게, 가장 많이 찾아볼 수 있는 탭으로 영웅별 승률을 나열해줍니다. 각 등급대에 따라 어느 영웅이 인기있고, 성적이 좋은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자게에 자주 올리는 그 것
확인 가능 정보 : 기간별/티어별/게임유형별 영웅들 각종 등수확인 가능


2.3. Map Objectives
각 멥에서 승리에 영향주는 것들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걸 보면 히오스가 역전의 게임이라고도 하지만 스노우볼이 정말 크긴 크구나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확인 가능 정보 : 각 멥별 처음 성채를 깬 팀이 이길 확률, 처음 우두 먹은 팀이 이길 확률, 우두랑 같이 밀어서 끝낸 게임 백분위 등

2.4. Score Results
내 계정에서 스코어리절트는 내 기록만 살펴봤다면 여기선 모든 영웅들의 상세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확인 가능 정보 : 각 영웅별 게임당 평균 영딜, 공성딜, 경험치 기여, 킬수, 데쓰수, 승률 등(그림 참고)
(참고로 요즘 게임 후 "당신은 다른 비슷한 플레이어들에 비해 00%만큼 높은 영웅딜을 했습니다." 하면서 이번 판에서 니가 얼마나 잘했나를 보여주는데 이것과 스코어리절트를 비교해보면 상당히 비슷하다.)



2.5. Team Compositions
어떤 식으로 팀을 구성했을 때 승률이 높은지 볼 수 있습니다.
아쉽지만 원딜과 근딜, 이런 식으로는 구분이 안되고 평딜, 누커, 탱커, 브루져 등으로 구분해서 보여줍니다.(그림 참고)


2.6. Match Awards
내 계정에서의 매치어워드와 같지만 전체적으로 어떤 영웅들이 어떤 호칭을 얼마나 획득했는지 보여준다.

2.7. Heat Maps
각 멥에 따라 어느 장소에서 빈번하게 킬이 나고, 머키가 알을 자주 숨기고, 아바투르가 자주 숨어있는지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