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7-16 13:42
조회: 11,777
추천: 15
뤼디거 8강라부 동결을 "예상"하는 이유EA 평점의 라부 기준 중에서도
수비수의 경우 평점보다는 세부스탯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아래는 16강 뤼디거/반데이크/야카비욜/라포르트의 평점 및 세부스탯 비교입니다. ![]() 이 넷의 최대라부는 모두 +4입니다. 뤼디거는 평점8.2로 +4, 반데이크는 7.4로 +1, 야카비욜은 7.4로 +2, 라포르트는 8.0으로 +2를 받았습니다. 평점만 보면 전혀 이해가 되질 않죠. 그러면 수비스탯만 보겠습니다. 걷어내기/슛블로킹/가로채기/태클/경합승리 횟수를 단순히 더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뤼디거(평점8.2): 4+4+2+2+2+1 = 15 반데이크(평점7.4): 8+1+1 = 10 야카비욜(평점7.4): 10+3+2+1+2+3 = 21(90분 환산 시 15) 라포르트(평점8.0): 2+1+2+1+1+1+2 = 10 이제 어느 정도의 경향성이 보이시나요? 수비성공횟수가 15회이면서 평점이 8.2인 뤼디거는 +4 수비성공횟수가 (환산시)15회이면서 평점이 7.4인 야카비욜은 +2 수비성공횟수가 10회면서 평점이 8.0인 라포르트는 +2 수비성공횟수가 10회면서 평점이 7.4인 반데이크는 +1 EA평점은 다른 기관의 평점보다 해당 포지션의 주요 세부스탯에 조금 더 비중을 두어 평점이 계산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번엔 중앙 공격수로 가볼까요? 그레고리치/모라타/호일룬 세 선수를 비교해보겠습니다. ![]() 세 선수의 평점은 각각 6.5/6.6/6.7로 거의 같지만 라부는 각각 2/-1/-2로 천차만별이죠. 이제 세부스탯을 봅시다. 그레고리치(6.5): - 유효슛: 0 - 패스 성공: 8(성공률 74%) - 크로스 성공:1(성공률 100%) - 소유권 상실: 3 모라타(6.6) - 유효슛: 0 - 패스 성공: 21(성공률 84%) - 키패스: 1 - 크로스 성공: 1(성공률 100%) - 소유권 상실: 7 호일룬(6.7) - 유효슛: 2 - 드리블 성공: 1회(성공률100%) - 패스 성공: 10(성공률 77%) - 소유권 상실:11 - 빅찬스미스: 1 보이시나요? 스탯상으로 세 선수는 모두 공격포인트를 추가하지 못하였고 그 외 다른 스탯들도 고만고만한데, 유독 "소유권상실"에 의한 차이가 큽니다. 이는 EA평점에서는 다른 평점에 비해 공격수가 소유권을 상실한 횟수에 의해 변동이 큰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랬기에 그레고리치가 되려 라부를2나 받게 된것이겠죠. 추가로 해리케인은 공격포인트 하나 적립하면서 라부의 기대감을 높였지만 소유권 상실 횟수가 90분 환산시 7.5회입니다. 이는 모라타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골이라도 넣었기에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죠. 이제 본론으로 돌아와서, 16강전을 기준으로 뤼디거의 8강 라부를 예측해보겠습니다. 8강전 뤼디거 스탯과 16강전 후벵디아스의 스탯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이번에도 수비스탯을 단순히 하여 90분으로 환산해보겠습니다. 후벵디아스(7.6): 3+2+1+1+2+3 = 12(90분 환산 시 9) 뤼디거(6.8): 5+2+2+2 = 11(90분 환산 시 8.25) 이제 후벵디아스가 왜 라부를 못받았는지 어느정도 설명이 됩니다. 90분으로 환산한 후벵디아스의 수비스탯 총합(9)는 반데이크(10)보다 낮으며, 드리블돌파허용횟수가 1번 있는 것까지 감안한다면 어느정도 납득이 되죠? 8강전의 뤼디거와 16강전의 후벵디아스의 수비스탯 차이는 거의 없는 수준이고 수비 주요 스탯 외의 다른 부분에서는 뤼디거가 후벵디아스를 앞서는 모습입니다. 따라서 저는 합리적인 추론에 의거, 뤼디거의 라부가 동결될 확률이 떨어질 확률보다는 높다고 예상합니다. 결과적으로 제 예상이 빗나갈 수는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상일 뿐, 본문의 내용 자체가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예상을 하게된 근거, 본문의 내용에 대한 의문과 비판은 얼마든지 환영입니다. 결론: - 정배: 동결(23챔 따잇) - 역배: -1(생존) - 가능성 낮음: +1(24TOTS 따잇) - 가능성 매우 낮음: -2 - 가능성 거의 없음: +2이상 or -3이하 +) 추가: 본문에서는 수비 성공 횟수를 단순히 합산하였지만, 실제 라부와의 경향성을 비교했을 때 '걷어내기'의 반영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시 말해 '걷어내기'가 높은것보다 '슛블로킹'이 높은 것이 유리하다는 뜻입니다. 예시로 맨 첫번째 사진의 수비성공횟수를 참고하보면 됩니다. (가장 낮은 라부를 받은 반데이크는 10번 중 무려 8개나 "걷어내기"입니다.) 이처럼 걷어내기 횟수에 대한 비중을 낮출 경우, 8강전 뤼디거는 동결을 받은 16강전 후벵디아스와 비교했을 때, EA평점에서 보다 불리하게 작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다른 세부 스탯들이 라부에서 '-'를 받을 정도로 나빠보이지는 않아서 여전히 정배는 동결이라고 생각합니다. 금요일돼서 실제 라부결과가 나온 뒤 본문내용은 싸그리 무시하고 "응틀렸어" 이러지 맙시다. 모자라보여요. 예상은 원래 틀릴 것을 염두하고 하는 것입니다. 확신하는게 아니에요.
EXP
4,994
(48%)
/ 5,2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1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그래도 제 기준에서 정배는 동결.
지들 맘대로입니다
세부스탯도 같이보면 어느정도의 경향성이 설명되는 부분이 있어요.
후벵디아스가 라부를 못받은것처럼요
아마 위와같이 동포지션의 다른 선수들과 세부스탯을 함께 참고하면
분명히 설명되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그 부분을 활용해서 8강전 스탯을 보고 역으로 라부를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죠.
시간이 나면 본문의 방법대로 스탯 비교해보고 알려드릴게요.
평점 8.4에 라부 3임
모든 현상들을 놓고 소유권상실 하나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팔리냐의 경우 매우 높은 수비스탯 및 패스스탯을 기록했습니다.
오히려 소파스코어 기준 평점이 8.4나 됨에도 불구하고,
소유권상실이 16회나 되는 바람에 라부가 4가아닌 3을 받았다고 봐야겠죠.
팀평점보다 개인평점이 낮은데 세부스탯까지 개판친다? 마이너스주고 이런식임
"다른 기관에 비해 세부스탯이 더 많이 반영된다."
정도의 인사이트라서, 확신하긴 어렵습니다.
구에히는 어시스트에 평점도 좋았는데 왜 라부 1일까요..?
걷어내기0회/슛블로킹1회/가로채기0회/경합승리9회
모두 합산 후 90분 환산시 7.5점입니다.
이건 라부를 받지못한 후벵디아스보다 못한 수치이며,
어시스트를 했기 때문에 1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건계산하고들어가는영역을벗어남
위 관점으로 볼 때, 소유권상실에 의해서
4가 아닌 3을 받은 것이라고 볼수있겠죠
평점이 낮음에도 풀라부인 4를 받았습니다.
소유권상실이 7회로 니코와 비교했을때 거의 절반 수준이죠.
이게 아니라 챔스도 원래부터 EA 평점대로 줬던건데
갑자기 EA가 평점 기준을 바꿨을 가능성은 낮고,
전체적으로 마이너스 라부 포함해서 낮게 줬고, MoM이 아니면 풀라부를 못받았기 때문에 어떤 평점에 대한 라부 기준이 챔스보다 상당히 높다라고 볼 수 있음.
예컨대 챔스에서는 두 경기 모두 반영하기 때문에 7.5 7.5면 풀라부를 줬음. 근데 유로는 단판이니까 7.5인 경우가 챔스보다 훨씬 많을거란 말이죠? 그래서 풀라부 기준을 8.0과 같이 높이고, 풀마이너스 기준을 5.0 이런식으로 높였을거임
그래서 -2, -3, -4라는 챔스에서는 거의 유례없는 라부가 속출한거
2. 라부 -2 아니고 -1입니다.
본문에서는 단순히 모든 수비성공회수를 더했지만, 예상컨데 걷어내기에 대한 반영비율이 낮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슷한 수비성공횟수더라도 비교적 걷어내기가 많다면 전체적으로 라부가 낮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다만 테오의 경우 센터백이 아니기 때문에
제가 앞서 비교한 센터백들과는 다르게 적용될 가능성이 있어서
다른 풀백 포지션 선수들과 직접적인 비교를 하지 않는 이상
이렇다할 설명은 어렵습니다.
쓴이가 시간 남아도는것도 아니고, 그냥 알려달라 하기 바쁘네. 조금이라도 찾아보셈...
이러면 라부가 올라갈 확률이 낮지만 떨어질 확률도 낮다는거임. 과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