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이 보입니다. 물론 아직 한참 멀긴 했는데, 보인다는게 중요합니다.

설명을 주절주절 쓰다보니 예전에 썼던게 있네요. 창천 때 했던 레시피 레벨 단계 조사 글입니다.
이전에 올린 60레벨 조사 후기( http://www.inven.co.kr/board/ff14/4467/8778 )에서도 썼지만,
61레벨에서도 이 단계 구분은 동일합니다.

그리고 61레벨 조사를 끝내고 나니, 구분만 동일한게 아니라, (독창적 발상이 적용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레벨의레시피 레벨 단계에서 같은 단계와 같은 숙련도일 때 가공량, 작업량이 전부 동일하고, 모그리 서버 하얀비 님의 도움으로 70레벨일 때의 값 하나를 확인했는데 그와 같은 숙련도일 때의 60레벨, 61레벨 때의 값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즉, 작업량이나 가공량은, 숙련도에 따른 원값(A) * 기술 효율(B) * 레시피 레벨 단계에 따른 계수(C) * 레시피 레벨과 제작자 레벨 차이에 따른 계수(D) 의 연산을 거치며, 독발에 따른 레시피 레벨 하락은 D에만 적용되며, 제작자 레벨 역시 D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제작자 레벨"은 충분히 낮은 레벨의 레시피의 제작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며, 그 이상의 레벨에 해당하는 레시피에도 그냥 계수만 곱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가짜로 예를 들자면, 작숙 1300일 때 1레벨 레시피에서 작업이 1500이 나오고 70레벨 1성에서 독발 작업이 500이 나왔다면, 작숙 1500에서 1레벨 레시피에서 작업이 1800이 나온다면 70레벨 1성에서 독발 작업이 600 부근에서 나온다는 겁니다.

이를 좀 더 풀어서 설명하면, 1500일 때 499나 501이 안나오고 500이 나온 것이므로, D의 역수는 2.994를 초과하고 3.006 미만이 되고, 1800에 이 값을 나눠서, 598.8 초과 601.2 미만이 되어서 599~601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숙련도일 때의 변화를 측정하면 오차를 더 줄일 수 있을 것이구요. 따라서 설사 원값 공식을 못구한다고 해도 1레벨 레시피에서의 숙련도에 따른 작업량/가공량 원값만 구해도 그걸 바탕으로 시뮬레이팅이 가능해집니다.

남은 문제는 C와 D를 구하는 것입니다.

우선 C의 경우, 창천 때의 추측, 즉 공식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틀린 것이고, 그냥 주어진 값이 있는 것이므로, 개별 조사를 해야 합니다. 인벤에 따로 올리진 않았던 것 같은데, 충분히 낮은 레벨에서, 레시피 레벨 단계별 가공량과 작업량 변화는 동일했었습니다. 그리고 가공량에 있어서 충분히 낮은 레벨은 동레벨 이하죠. 따라서 가공량 변화를 중심으로 해석하면 C만 구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D 역시 작업량 변화에서 C만큼을 보정하고, 앞으로 62, 63, 64, 65 이렇게 조사하면 60레벨 이상, 혹은 54레벨 이상에서 D를 구하는 건 크게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59레벨 이하 혹은 53레벨 이하에 해당하는 제작자 레벨에서의 시뮬레이팅은 이 조사로는 불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ps. 또한, 오차를 아예 없에기 위해서는 계수가 적용될 기준 역시 알아내야 하는데, 이 역시 알아내기 힘들어보입니다. 즉, 비례를 아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까지는 길이 보이는데, 오차를 아예 없에기까지는 음.. 글머리랑 앞뒤가 안맞네요. 안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