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12-15 05:00
조회: 26,567
추천: 0
안녕하세요, 파판 프레임 드랍, 프레임 저하, 끊김 렉으로 질문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어디에 질문을 올릴까 하다 인벤에 처음으로 글 올려봅니다.
같은 프레임 드랍 문제가 있었고, 해결했던 방법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에 도움 주시면 감사드려요. 컴퓨터 사양은 델 노트북 인스피론 7577을 쓰고 있고 글카는 지포스 1060쓰고 있습니다. 1년 안팎으로 산 게이밍 노트북인지라 컴퓨터를 바꿔야하는 문제는 아닐 것 같아서.. (컴을 그리 잘 아는 편은 아닙니다만 프레임 드랍에 그저 컴퓨터가 안 좋아진 건지 제가 뭔가 잘못 깔고 있거나 한지 의문이 있습니다.) 다이렉트x는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오늘부로 11을 쓰고 있습니다. 체감상 프레임 저하가 덜 하던데 제가 맞게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 ![]() 일단 렉이 심해 던전에 갈때마다 캐릭터가 자체 과중력(강)에 걸린 것 처럼 너무 느려지고 기믹을 밟고 죽거나 프레임이 적으니 몹이나 파티원도 카메라를 껐다 켰다 하듯이 끊겨서 보이고.. 불편해서 최대한 최저사양(노트북pc) 버전으로 사람들 플레이어 이름들도 꺼뒀고 이펙트도 간략화해둔 상태에요. 그래도 거의 바뀐 것 없이 렉이 걸려서 검색해보면서 전원 옵션을 고성능으로 해뒀고 act는 잘 몰라서 건드린 것 없이 라이트 버전을 쓰고 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계실까요? 컴퓨터 회사가 외국이 본사다 보니 as나 상담이 번거롭고 오래 걸려서요. 노트북 처음 샀을때는 120 프레임도 나왔었는데 지금은 간당간당 27~60 나오다가 프레임 드랍이 일어나면 한자리수로 떨어집니다.ㅠㅠ 그리고 그 현상이 매우 잦아요 평소에는 그래도 렉이 걸려도 괜찮은데 던전이랑 토벌전에서 너무 심하고 빈번하게 일어나서... 참고로 c드라이브는 39gb, d드라이브는 430gb사용 가능한 상태고 파판은 c드라이브에 깔려 있습니다. 다른 게임은 스팀이나 오리진에서 조금 깔아둔 것들이 있긴 한데 이것 문제는 아닐 듯 싶어서.. 인터넷은 kt 유선랜 쓰고 있고 삐리리가 뜰 때도 있긴 한데 그게 평소에 그런 건 아닌 것 같아요! 혹시 파판이 아니더라도 컴퓨터나 타 게임, 윈도우 10 등에서도 성능 저하나 프레임 드랍을 일으키는 프로그램같은 게 있다면 적어주셔도 좋을 것 같아요 ㅠㅠ... 깐 게 거의 없긴 한데 그래도 혹시 몰라서 써두어요. 조금 길고 횡설수설한 글이었는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 s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댓글에 써주세요 최대한 써보겠습니다. 도와주셔서 감사드려요.
EXP
71
(71%)
/ 1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엔비디아 제어판가서 항상 동작되게 고성능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작동되도록 설정하시면 될겁니다.
설정창을 정확히 몰라 답글을 다는 새에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ㅠ ㅠ 24인 레이드 가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이 기능으로 괜찮아지면 답글 달아볼게요!
절대 렉이 심하게 걸릴 사양이 아니시기때문에 외장그래픽카드 고정동작으로 설정바꾸면 아마 해결되실겁니다
인게임에서 카드는 확실히 geforce로 잡혀있는 상태인데 c드라이브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 혹시 아시나요? ㅠ ㅠ
주위분들 말씀이 게임은 모두 c드라이브에 깔아서 실행하는 게 맞다고 들어서 그렇게 하고 있는데 c드라이브가 ssd임은 맞는 것 같아요. 용량이 d드라이브가 훨씬 커서.. 지금 될 수 있는대로 지워보고 있어요. 혹시 여유 용량이 어느 정도 되어야 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그래픽 드라이버는 최근 렉 때문에 찾아보면서 오늘 3일 전에 업뎃 된 드라이버를 새로 깔아서 문제 없는 것 같아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쿨러에 대해 들어보기만 하고 잘 몰라서 그러는데 서치해보니 노트북도 쿨러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 모르겠어서요. 사실 제 노트북에 내장이 되어있는지도 잘 몰라요 ㅠ ㅠ 이번에 주변에 잘 아시는 분께 자문을 구해보고 필요하다 생각되면 꼭 체크해볼게요. 감사합니다.
제가 어디에 있든..주기적으로 프레임드랍이 일어나고 있어요! 사람이 많든 적든 어디서든요..! 근데 몹이나 사람이 많으면 더 빈번하게 일어나긴 하는 것 같아요. 체감상.
그런데 솔직히 마을이나 필드에서 걸리는 건 어느 정도 감수할 수 있는데 던전이랑 토벌전에서 일어나는 게 치명적인 거라..물론 그걸 해결하면 마을에서도 안 걸릴 것 같긴 하지만요 ㅠ.ㅠ
이더넷, 클라우드 동기화란 말이 뭔지 잘 모르겠어서... 어디를 보면 볼 수 있나요? 알려주시겠어요?ㅠ ㅠ
제 컴퓨터에 연결된 인터넷은 wifi 설치할 때 쓰는 유선랜 기기를 사용중이에요. 다른 건 잘 모릅니다. 그리고 ssd 적정 용량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c드라이브가 ssd라는 첫댓분 말씀에 지금 할 수 있는 대로 용량을 정리해보고 있어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노트북이 뜨거워지고 쿨러가 없을수록 노트북 수명이 빨리 닳고, 그만큼 프레임 드랍이 심했어요. 파판 자체의 사양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중~저사양으로 맞춰두는 편이고, 제가 예전에 노트북은 그래픽이 없는 노트북이었어서 사양을 아예 저사양으로 두고 했었거든요. 그때 노트북이 i7이었을 때 쿨러가 있는 상태의 프레임이 30-40정도 나왔었던 걸로 기억해요!
현재는 작성자님이랑 비슷..? 한 것 같긴 한데 1060그래픽을 달고있는 게이밍 노트북을 사용 중인데, 인터넷의 영향보단 아마도 파판 자체 내의 사양을 한번 줄여보시고, (최고 였다면 중 이런식으로 내려보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프레임 제한을 60정도로 한번 해봐주세요! 만약에 이 둘을 했는데 문제라면 쿨러를 구매하시는게 좋을 것 같고...노트북이든 컴퓨터든 뜨거운거에 굉장히 예민한 애라서ㅠㅜ 쿨러를 구매하시면 좀 나아지실 수 있을 것 같아요..!
해결되길 바라요!
60프레임으로 잡아두고 하세요
1. 그래픽 드라이버문제-DDU같은 그래픽 드라이브 완젠삭제 프로그램으로 안전모드에서 삭제후 재설치
2. 옵티머스 기능의 고질적인 문제- 엔디비아 제어판 피직스 설정에서 1060으로 강제고정
3. 노트북 배터리문제- 전원옵션에서 고성능 체크
4. (일부케이스) 랜 드라이버 문제 - 랜카드 드라이버가 충돌나서 프레임이 드랍되는 문제. 랜 드라이브 재설치
5. cpu / gpu 쓰로틀링 문제 - 그냥 발열이 높으면 스스로 성능을 낮추는겁니다. 발열체크 필요. 노트북 특성상 발열문제가 심합니다. HWMonitor 같은 프로그램으로 발열측정. 가장 좋은 해결법은 노트북 뒷판을 따고 뒷판과 바닥의 거리를 벌려두는것, 차선책은 뒷판 안따고 그냥 노트북 쿨러든 뭐든 뒷판과 바닥의 거리를 벌려두는것
6.act 프로그램(딜미터기) 문제 - 이건 홍련패치 이후로 많이 보이는 문제. 가장 좋은 확인방법은 미터기끄고 던전돌기. 만약 이게 문제라면 해결방법은 미터기가 지원하는 스킨들이 있는데 자신이 사용할 스킨을 제외한 모든 스킨을 제거하고 그뒤에 act게시판에서 하라는대로 하면됩니다. (스킨제거에 대한건 안적혀있길래)
그 외에 악성코드, 노트북회사의 기본프로그램, 바이오스 등의 문제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악성코드는 mzk 라는 프로그램(네이버 보안카페에서 배포하고있는 무료 프로그램)으로 검사하시면됩니다.
기본프로그램이나 바이오스는 노트북회사 사이트가면 '어떤 문제가 발견되었으니 이걸로 교체해라' 식의 글이 있을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래도 안되면 그냥 포맷이 가장 무식하고 좋은방법이고 안되면 그냥 as가 답인듯합니다.
xps는 울트라라이트라고 변명거리라도 있지 인스피론은 그냥 평범한 두께 노트북같은데 이런짓을...
하지만 지갑은 항상 얇고 에일리언웨어는 항상 비싸다
자는 새에 위로 많은 분들이 댓글 달아주셨는데 친절하고 자세하게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하나씩 방법을 확실히 테스트해보고 답글을 달려다 보니 많이 늦은 것 같아 맨 아래에 적어둡니다.
혹시 저처럼 프레임 드랍으로 고생하고 있으신 분이 있다면 cpu 점유율을 확인해보세요. 백업 후 윈도우 재설치, 드라이버 재설치, cpu 점유율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완벽하게 고쳐진 건 아니지만 저번보다 부드럽게 끊기고 있어 도움이 되었습니다.
댓글에 써있는 쓰로틀링이나 드라이버, 악성코드 등의 소프트웨어와 윈도우 재설치로 고쳐지지 않는다면 배터리 문제일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같은 문제로 들어오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