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10-11 05:11
조회: 361,842
추천: 558
[시즌6] 무한제압 깃털빌드 백과사전 (최종본)안녕하세요. 덤벼라입니다.
야만에서 주로 활동하는 유저인데 첫 스타트를 야만앵벌용 혼령사를 키우다가 소개할만한 빌드가 있어 빌드 공략 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무한 제압이 제가 주로 사용하는 메커니즘이긴 하나, 이 빌드는 제가 최로로 만든 빌드는 아니며, 해외 유튜버인 AceOfSpades를 통해 첫 공개된 빌드입니다. 저는 원래 저만의 고유 빌드만 올리곤 했었지만, 본 빌드가 현 시즌의 대표빌드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아 제 원칙에는 맞지 않지만, 빌드 최적화를 하여 소개하고자 합니다. ※ 패치 후 보스피가 정상인 상태에서도 트라이 할 예정입니다. (10/18, 패치 전 기준) Summary (rev.24, 11/4) 1. 장비 세팅 (rev.24, 11/4) ![]() ※ 공속관련 세팅 : 어픽 목걸이/장갑 39% + 정복자 32.5% = 71.5% (마을 기준 71.5%) 포악 14스택 발동 시 버킷2 공속 70% 추가로 최대 141.5%공속 가능 (12프레임) 기본 세팅의 경우 복수문양을 사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최대 분노가 부족하게 되므로, 풍부한 자원의 비약을 드시고 파밍하시길 추천드립니다. ![]() ![]() * 만약 11프레임을 챙기시고 싶을 경우 아래 두가지 세팅 중 하나로 하시면 됩니다. (필자는 12프레임 추천) 1) 반지에서 공속을 추가로 챙기고 바랴나 활용 - 19.5% + 19.5% + 19.5% + 32.5 + 10% = 101% (버킷1 공속 한계로 100%만 적용) - 11프레임 공속은 163.4%만 달성하면 되므로 한부위는 어픽을 챙기지 않으셔도 11프레임 달성 가능합니다. 2) 반지에서 공속을 추가로 챙긴 후 공속 명품화 1저격 - 22%(공속 명품화 1저격) + 19.5% + 19.5% + 32.5% = 93.5% - 정확하게 93.5% + 70% = 163.5%로 11프레임 달성 가능 2. 정복자 보드 (rev.24, 11/4) 1) 정복자 보드 링크 (300레벨 버전, 328포인트): https://diablo4.inven.co.kr/db/paragon/79832 2) 정복자 보드 링크 (250레벨 버전, 278포인트): https://diablo4.inven.co.kr/db/paragon/78578 3) 정복자 보드 링크 (200레벨 버전, 228포인트) : https://diablo4.inven.co.kr/db/paragon/78840 ※ 200레벨 버전은 주요 전설노드과 문양을 모두 챙기는 데에 초점을 맞췄으므로, 상대적으로 단단함이 많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레벨업 하시면서 모든저항과 방어도 위주로 챙겨주시기 바랍니다. ※ 집중노드의 활성화 조건이 테스트 결과 확인되어 번개 피해를 챙길 수 있는 급성 폭발 문양을 사용하고, 복수문양 자리에 의식 문양을 적용하였습니다. (rev.24, 11/4) 3. 스킬 트리 (rev.21, 10/22) * 스킬 트리 링크 : https://diablo4.inven.co.kr/db/skilltree/51610 * 스킬 트리 링크 (포악한 예언자 세팅) : https://diablo4.inven.co.kr/db/skilltree/52557 4. 용병 세팅 ![]() 5. 혼령 세팅 : 주혼령 재규어 / 부혼령 재규어 (rev.23, 10/31) 0. 빌드 메커니즘 (rev.23, 10/31) 0-1. 추방목을 활용할 경우 자원 소모가 275을 넘을 경우 매 타격 시 제압이 발생하는 기본 매커니즘을 활용합니다. 있었습니다. 이는 깃털 일제사격의 자원소모와 케펠레케의 고유효과가 합산되어 나오기 때문이며, 균형잡힌 분투로 인한 자원증가량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깃털 일제사격의 자원소모를 38이 아닌 35로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240에서 제압이 상시 발동됩니다. (rev.7, 10/13) 자원소모 감소를 반지 옵션으로 가져갈 경우 줄어든 원기소모 만큼 최대자원이 높아야 합니다. 예를들어 15%의 자원소모 감소 옵션을 챙기셨다면, 35 * 0.85 = 29.75, 즉 깃털 일제사격의 원기 소모가 30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최대 자원을 245로 맞춰주셔야 합니다. (rev.13, 10/18) 0-2. 혼령사의 한밤중 태양의 반지 고유 효과를 활용하면 원기를 상시 풀로 채울 수 있습니다. 추가로 댓글에 많은 질문이 온 부분을 설명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1) 한밤의 태양의 반지 고유옵 47% 사용 시 : 원기 왕성 2~3포인트 필요 2) 한밤의 태양의 반지 고유옵 50% 사용 시 : 원기 왕성 1포인트 필요 - 50% * 1.116~1.181(반지 자원생성) * 1.3(유린자) * 1.148(지능에 자원생성) * 1.02(정복자 보드) * 1.02 * 1.02 최상급일 경우 즉 자원생성량이 16.93%이상일 경우에는 원기왕성이 불필요합니다. 하지만 균형잡힌 분투 를 가기 위한 경로로 어쩔 수 없이 1포인트를 찍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rev.7, 10/13) 있습니다. 0-3. 에베와카의 조화와 케펠레케의 막대를 활용한 곱연산은 기존 깃털 빌드와 동일합니다. 세팅이 덜 될 수록 샤코가 유리하긴 하나 최종 세팅을 기준으로 에베와카의 조화가 더 우위에 있으므로 샤코세팅은 배제하고자 합니다. 2.7에 샤코 세팅 관련사항을 추가하였습니다. (rev.3, 10/12) → 최근 세팅은 고유 투구를 활용한 세팅 보다는 고점이 높은 전설 투구를 활용하므로, 고유 투구는 세팅이 되기 전에 활용해줍니다. (rev.22, 10/23) 0-4. 최대 체력 수치를 최대한 높이고, 용병의 보강을 활용하여 제압 데미지를 극대화해줍니다. 혼령사 세팅의 특성 상 합연산%을 많이 챙기기 어려운데, 최대체력과 보강을 활용하면 높은 제압합연산%를 챙길 수 있습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rev.11, 10/16) 혼령사 기본체력 : 400 제압 합연산% = (최대체력 - 기본체력) / 4 + 최대체력 / 4
※ 앞 수식은 기본체력을 초과한 수치당 제압피해 증가이고, 뒷 수식은 기본체력 대비 보강수치당 제압피해 증가입니다. 최대체력 대비 기본체력이 많이 차이가 날 경우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 최대체력 / 2 로 간단하게 제압 합연산 피해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0-5. 저지불가 공백을 주도권 패시브 스킬을 찍어주어 메워줍니다. (rev.23, 10/31) 0-6. {1+(55.64%/3.3%)/100} * 1740/1500 = 1.356 으로 35.6% 뎀증을 챙김과 동시에 회피까지 챙길 수 있어 끈적이는 보호막으로 인한 데미지 상승치의 한계인 100/3% = 33.3%대비 우월하여 에메랄드 수정을 사용하고 ※ → 끈적이는 보호막 관련 메커니즘 0-7. 참조 (rev.22, 10/23) 0-7. 끈적이는 보호막은 현재 버그로 추정되나, 최대체력의 3%가 아닌 기본체력의 3%당 피해가 1%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feat. 페르탄스, https://www.inven.co.kr/board/diablo4/6304/1409) 따라서 기본체력 400의 3%인 12만큼의 보호막 생성 당 피해가 1%씩 증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것이 보호막 생성량%를 반드시 챙겨야 하는 이유와 동시에 체력이 제압 합연산 피해량 상승으로만 설명할 수 없었던 엄청난 데미지 뻥튀기의 이유입니다. (rev.11, 10/16) ex) 최대생명력이 26,000일 경우 26,000/12 = 2,166.7%, 즉 끈적이는 보호막 노드로 인해 약 22배의 뎀증이 생기는 셈입니다. 0-8. 공속 프레임 테스트 결과 (rev.19, 10/20) 1) 공속의 Break Point를 찾아내기 위해 실제 세팅 범위에서의 공속 세팅을 맞추어 테스트 하였고,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끊어서 원기가 소모되고 난 후 다음 원기가 소모된 시점까지의 프레임을 계산하였으며, 1회 공격 프레임과 5회 연속 공격 프레임을 각각 체크하여 편차를 줄이려 하였습니다.
Test Case는 아래와 같습니다. 2) 공속 프레임 Table (노란색 영역만 테스트 하였습니다.) 3) 결론 있으나, 깃털 일제사격의 실제 테스트 결과 초당 공격횟수가 5회를 넘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② 공속 200%(버킷1 100% + 버킷2 100%)에 도달하더라도 11프레임을 초과할 수는 없으며, 163.4%가 11프레임의 Break Point입니다. (월출 미사용 세팅 마을 기준 : 98.4%, 월출 세팅 마을 기준 : 78.4%) 0-9. 재규어 주혼령 추가피해 및 포악한 예언자 위상 데미지 추정법 (rev.23, 10/31) 1) 중첩 피해에 적용되는 곱연산 (주혼령 추가피해 2중첩 곱연산, 포악한 예언자 3중첩 곱연산) - 모든피해 증가 위상 : 불안의 위상, 전위된 힘 위상, 평원의 힘 위상, 그 외 비조건부 데미지 증가 위상 - 스킬사용 비 조건부 패시브 : 정점, 구속되지 않는 힘, 보강된 역습, 강력함, 결단력, 우월 - 그 외 : 별반, 문양 곱연산, 자원소모량 감소 옵션, 거상, 기백, 쇠약, 접근전 투사 2) 중첩 피해에 적용되지 않는 곱연산 - 조건부 피해 증가 위상 : 월출, 적응의, 기대하는 자의 등 - 스킬사용 조건부 패시브 : 균형잡힌 분투, 마무리, 광휘, 용광로 - 그 외 : 합연산 피해량, 스킬사용 조건부 문양 곱연산, 케펠레케 고유효과, 추방목 고유효과, 3) 재규어 주혼령 추가피해 계산법 - 깃털 일제사격 1발당 제압피해 1000억, 1회 당 8발 발사, 케펠레케 2번공격 3저격 94.5%, 최대결의 36스택, 몹 20마리를 이상적으로 깃털 8발 모두 관통시켜 모두 피해를 입힌다고 가정 - 중첩 곱연산 계산 : 1.4(불안의) * {1+0.7/방막확률(전위된힘) * 0.15방막확률/결의 * 36결의} - 1000억/발 * 8발 * 2회 타격 * 5회 공격/초 * 0.5초 * 0.15(추가피해 계수) * (1+222.57) = 약 134조 4) 포악한 예언자 위상 데미지 계산법 - 적용되는 중첩 곱연산은 재규어 추가피해와 같으나, 재규어 추가피해와 다른 점은 재규어 추가피해는 각 몹당 별도로 적용되는 반면 포악한 예언자는 몹이 죽을 시 주변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다수의 몹이 일시에 죽을 경우 남아있는 몹에 몹의 수에 비례하여 추가로 피해를 줄 수 있음 - 결정타 피해는 일반적으로 재규어 주혼령으로 인한 추가피해이므로 아래와 같이 데미지를 추정할 수 있음 - 207조/마리 * 0.55(포악한 예언자 위상) * 344.93(중첩 곱연산) = 3.9경/마리 (우월 ful스택 l& 정예 공격 시) - 만약 포악한 예언자 위상으로 인해 높은 데미지가 발동하여 첫 몹이 죽은 후 주변에 엄청난 데미지를 주어 나머지 19마리에게 일시적으로 데미지를 주었고, 이 중 피통이 높은 한마리가 몰아서 데미지를 받았다고 가정하면 3.9경/마리 * 18마리 = 약 70경 - 이러한 원리로 포악한 예언자 위상으로 인한 데미지는 경우에 따라 재규어 추가 데미지보다 높은 곱연산 비율로 데미지를 가할 수 있습니다. 1. 장비 세팅 세부설명 (rev.23, 10/31) 1-1. 가장 중요한 것은 자원이 상시 풀로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한밤 반지의 고유옵을 가급적 50%로 챙겨주면 원기왕성 1포인트로 원기를 풀로 채울 수 있게 됩니다. 만약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깃털 일제사격이 기본스킬처럼 자원을 소모하지 않게 되어 극대화 데미지만 발생하는 등 제압 메커니즘이 깨지게 됩니다. 따라서 반드시 자원 회복 메커니즘부터 완성하시길 추천드립니다. 1) 한밤반지 고유옵 50% 사용 시 원기왕성 1 2) 한밤반지 고유옵 47% 사용 시 원기왕성 2~3 (반지의 자원생성량이 13.1% 미만일 경우 3포인트 필요) (rev.7, 10/13) 1-2. 또한 매 타격 시 제압을 터뜨리기 위해서는 원기 최대량이 최소 점점 낮아집니다. (rev.7, 10/13) 1-3. 했던 바와 같이 최대체력이 증가할 수록 체력으로 인한 제압피해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1-4. 포악함으로 인한 공속은 버킷2에 해당하며, 월출 위상을 사용하지 않고 데미지 극대화를 위해 추방목을 제외한 모든 장비의 공속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전설 노드 효과가 없는 집중 대신 접근전 투사를 활용하여 공속 70%(바랴나 피의갈증 시 80%) 달성되며, 14스택의 포악함으로 인해 버킷2 공속을 70%챙길 수 있으 11프레임을 챙기지 않는 이유는 12프레임에서 11프레임으로 올릴 때 데미지 증가율이 약 9.1%인데 반해, 공속 대신 민첩을 챙길 경우 두 부위에서 민첩을 챙길 수 있게 되므로, 20%이상 데미지 증가가 가능하므로 공속 프레임을 낮추고 기술 데미지를 높여줍니다. (rev.23, 10/31) 1-5. 1-6. 초기에 나락 도전 당시 할리퀸의 관모를 활용하여 115단을 돌파하였으나, 이는 초기에는 세팅이 상대적으로 빈약하기 때문에 전위된 힘의 위상 효과를 거의 상시에 가깝게 받을 수 있는 샤코 세팅의 장점이 부각되어 나온 결과로 확인 되었습니다. 즉, 샤코는 3초~4초마다 철갑 가죽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곱연산을 상시 챙기는 반면, 에베와카의 조화는 사용하는데 5~6초가 걸리는데 절반에 가까운 시간이 방막 확률이 떨어져 전위된 힘의 위상이 이는 허수아비 테스트로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데, 샤코는 2.4배의 곱연산 (전위된 힘의 위상으로 방막 시
→ 철갑 가죽의 스킬을 좀 더 투자할 수 있게 되는 완성세팅의 시점에 다가갈 수록 에베와카의 조화의 효율이 현재는 에베와카의 조화, 샤코 모두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설 투구를 사용하는 세팅을 추천드립니다. (rev.23, 10/31)
1-7. 샤코 세팅 관련사항 추가 (rev.22, 10/23) 1) 샤코를 쓸 경우 에베와카의 조화를 쓸 경우에 비해 눈으로 보이는 곱연산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건 사실입니다. 러프하게 계산해봤을 때 샤코의 옵션을 곱연산으로 계산해보면 약 50% 내외의 곱연산을 챙길 수 있으며, 에베와카는 고유옵 90%를 포함하여 모능을 포함할 경우 100% 내외의 곱연산을 챙길 수 있어 상대적으로 샤코 착용 시 딜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 샤코로 인한 곱연산 증가에 대한 계산은 개별로 차이가 클 수 있으며 러프하게 계산된 수치이므로 참조 정도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하지만 샤코의 경우 전위된 힘의 위상을 상시 활성화 할 수 있는 반면, 에베와카의 조화는 타격 시 쿨감을 줄이더라도 상시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공백이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철갑 가죽이 1스킬일 경우 3.3초 동안에만 방막 100%를 만들기 때문에 재사용까지 6초가 걸린다면 2.7초는 공백이 발생하고, 이때 에는 전위된 힘의 위상이 적용되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해당 위상의 70% (막기 시 140%) 의 극대화 피해에 대한 곱연산을 챙기지 못함으로 인해 DPS가 차이가 나게 되고 샤코가 더 높은 수준으로 꾸준한 딜을 뽑게 되는 상황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3) 추후 한밤중 태양의 반지 재감 저격을 풀로 저격하고, 공속도 어픽을 사용하면 4) 결론 : → 현재는 전설투구 세팅이 고점이 더 높으며, 세팅이 갖춰지기 전인 초기에만 고유투구를 사용해줍니다. 5) 샤코 세팅 시 참조사항 - 주 혼령을 재규어로, 부 혼령을 고릴라로 하되 샤코를 사용하면 깃털 일제사격에 고릴라 태그가 사라지므로, 스킬에서 "우세"는 빼고 "견고함"은 철갑가죽으로 활성화 할 수 있으므로 남겨둡니다. 우세 3스킬은 생존 패시브에 투자하거나 가속을 챙겨 조건부 딜을 챙길 수 있습니다. - 정복자 보드의 문양은 어차피 사육사에서 복수로 변경된 상황이므로, 크게 달라질 부분은 없으나 샤코로 인해 방어력이 높으므로 정복자 보드에서 방어도를 빼서 스텟쪽에 투자해주시면 됩니다. - 거상 문양의 경우 고릴라 합연산 수치는 적용되지 않으나, 결의 스택을 많이 챙길 경우 거상 효율이 높아 곱연산을 많이 챙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샤코를 쓰더라도 거상 문양을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rev.7, 10/13) 1-8. 나락 고단 등반용 세팅 관련사항 추가 (rev.15, 10/18) 1) 티리엘은 딜 상승에 도움이 안되기 때문에 딜에 도움이 되는 민첩, 최생 그리고 담금질에 최대결의중첩 및 보호막 생성량%를 챙겼습니다. 최대결의중첩은 거상문양으로 인해 곱연산을 챙겨줄 수 있어 고단 돌파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보호막 생성% 담금질 및 자수정을 방어구에 박아서 보호막 생성량%를 챙겨줍니다.
대지방벽으로 인한 보호막 생성 기본 수치는 45% 이며 최대수치인 100%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122.3%의 보호막 생성량 증가량%가 필요합니다. 보호막 생성량은 자원 생성량과는 다르게 상호간 합연산이며, = 72.4%가 되므로 챙길 수 있는 총 보호막 생성량은 141.4%가 됩니다. 따라서 방어구 한부위에서 보호막 생성량 18.1%를 안챙긴다고 하더라도 123.3%가 가능하므로 방어구 한부위는 와류 크기를 달아 주어도 됩니다. 위와 같이 세팅 시 화저와 번저가 부족하고 던전에서 방어력이 1,000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데 보호막으로 인해 높은 생존력을 보여주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고단 트라이 시에는 향 3종 (레더마인 향취+ ※ 참고로 마을 기준 방어도 540에 향(산이 노래)를 피우면 740이 되는데 여기에 용병 라헤어의 수호로 인한 방어도 15%가 적용되면 (1000+540+200) * 1.15 = 2,001이 나오므로 고행4에 따른 패널티 1,000을 제외하면 방어도 1,001을 달성할 수 있게 됩니다. (rev.9, 10/14) 2) 티볼트 또한 벗고 전설 바지로 대체해줍니다. 이유는 티볼트의 최대자원 및 고유효과로 인한 20%보다 전설바지의 담금질인 최대결의중첩과 보호막 생성량%를 챙기는게 딜 상승에 더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투구와 갑옷도 전설템을 활용하고, 투구 담금질로 견고함과 와류 크기를 챙겨 딜과 유틸을 챙겨주고, 갑옷의 담금질은 최대결의중첩과 보호막 생성량%를 챙겨줍니다. 위상은 투구에 불안의 위상을, 갑옷과 바지에 위상을 딜을 크게 개선해줍니다. 특히 재규어 혼령의 주효과가 예전 시즌1심장과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15회 타격 시(3초)에 한번 0.5초동안 누적된 데미지를 일시에 가하게 되는데, 더블디핑이 적용되어 현재 조단위 딜이 나오고 있습니다. (rev.15, 10/18) 최근에는 포악한 예언자의 위상 활용을 통해 트리플디핑이 적용되어 경단위 딜이 나오고 있습니다. 3) → 메커니즘 0-7 참조 (rev.22, 10/23) 4) → 최근 보석 세팅 등은 Summary 장비 세팅 참조 (rev.22, 10/23) 5) 현재 방패막기 확률의 캡이 프로필에서 확인되는 100%가 아닌 그 이상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밖에 없었는데, 이를 통해서 확인한 바로는 방패막기 확률을 올리면 올릴 수록 전위된 힘의 위상과 시너지를 발휘하여 높은 곱연산을 챙길 수 있습니다.
참고로 차단의 위상과 전위된 힘의 위상의 시너지에 대해 최초 발견하여 공개하신 유저는 페르탄스님 입니다. (10/12일 공개) 따라서 갑옷과 바지에서 최대결의중첩에 명품화 3회를 붙이고, 전위된 힘으로 인한 결의당 극피 곱연산과 더불어 거상 문양으로 중첩당 2%의 추가 곱연산을 챙겨줄 수 있게 되어 결의를 챙길 경우 더블디핑 곱연산 1-9. 장비 옵션 및 명품화 효율 비교 (rev.11, 10/16, 제압피해 산술식 변경 반영) 1) 장갑 : 민첩 VS 최생 옵션 적용 비교 (모든 수치는 어픽 기준으로 계산하며, 필자 현 세팅 기준으로 산정) - 기준 스탯 : 현재 민첩 1,790, 유효 합연산 피해 수치 합계 3,100%, 최대생명력 26,000(버프 적용)으로 계산 - 장갑 어픽 명품화 노저격 풀강 시 : 121 * 19.5 = 236 → 데미지 증가량 : (1,790+236)/1,790 = 1.132, 즉 13.2% 데미지 증가 - 최생 어픽 명품화 노저격 풀강 시 : 457*1.95 = 891 (실제 표기 890) → 데미지 증가량 계산 (신발에만 최생 명품화 저격3회 적용, 나머지 명품화 노저격) ① 최생 채택 시 제압 합연산 피해 수치 : 26,000 * 2 / 4 = 약 13,000% ② 최생 미채택 시 제압 합연산 피해 수치 : 26,000 * (890 * 4) / (890 * 4+1,234) * 2 / 4 = 9,654% ③ 데미지 증가량 계산 : (3,100% + 13,000%) / (3,100% + 9,654%) = 1.261, 즉 26.1% 데미지 증가 - 결론 : 장갑 옵션은 최생이 민첩에 비해 1.261/1.132 = 1.114, 즉 11.4% 데미지 우위 2) 장화 : 이속 VS 최생 명품화 효율 비교 - 이속 명품화 3저격 시 데미지 증가량 ① 장화 최대 이속 : 23% * 2.7 = 62.1% (노저격 시 44.9%이며, 명품화 3저격으로 17.2% 추가 이속 상승) - 광휘 적용으로 인한 데미지 상승량 : 17.2% * 0.09 = 1.548% 데미지 상승 ② 최생 명품화 3저격 시 데미지 증가량 - 최생 명품화 3저격 시 제압 합연산 피해 수치 : 13,000% - 최생 명품화 미저격 시 제압 합연산 피해 수치 : 13,000% * (890 * 5) / (890 * 4 + 1,234) = 12,067% - 데미지 증가량 : (3,100% + 13,000%) / (3,100% + 12,067%) = 1.062, 즉 6.2% 데미지 상승 ③ 결론 : 최생 명품화 저격이 이속 대비 4.6% 데미지 우위 (1.062/1.01548 = 1.046)
3) 에베와카의 조화 명품화 효율 비교 (어픽 기준, 이속 어픽템 사용 시 광휘 기본 곱연산 16.6% 적용) - 이속 : 기본 12.5%, 어픽 명품화 노저격 시 24.4%, 어픽 명품화 저격 시 33.8% - 모능 : 기본 65, 어픽 명품화 노저격 시 127, 어픽 명품화 저격 시 176 ① 이속 명품화 3저격과 광휘로 인한 데미지 증가량 : (33.8% - 24.4%) * 0.09 = 0.85% → (1.166 + 0.0085) / 1.166 = 1.0073, 즉 실제 효율은 0.73% 데미지 상승 ② 모능 명품화 3저격으로 인한 데미지 증가량 : {1,790 + (176 - 127)} / 1,790=1.027, 즉 2.7% 데미지 상승 ③ 데미지 상대 비교 : 1.027 / 1.0085 = 1.018, 즉 모능 명품화 저격이 이속 대비 1.8% 데미지 우위 4) 장갑 : 깃털 일제사격 VS 최대 생명력 명품화 효율 비교 (rev.13, 10/18) - 깃털 일제 사격 : 1스킬 시 26%를 시작으로 1스킬당 2.6% 데미지 상승 → 깃털 일제사격 3저격 시 7스킬(노어픽 시), 따라서 노저격 시 16스킬, 3저격시 19스킬이 됩니다. → (26% + 18 * 2.6%) / (26% +15 * 2.6%) = 75.4% / 65% = 1.12, 즉 12% 데미지 상승 - 최대 생명력 : 명품화 3저격 시 457 * 0.75 = 343 체력 상승 → (890 * 2 + 1,234 * 3) / (890 * 3 + 1,234 * 2) = 1.067, 즉 6.7% 최대 체력이 상승하므로 → 끈적이는 보호막으로 인해 최대체력 상승률 만큼 추가 데미지가 상승 1.067 * 1.054 = 1.124, 즉 12.4% 데미지 상승 - 결론 : 최대 생명력 명품화 3저격이 깃털 일제사격에 비해 약 0.4% 효율이 높습니다. ※ 추가로 기존에는 케펠레케의 2회 공격 옵션에 어픽을 잘 챙기지 않았지만, 향후에는 반드시 챙겨 주시는게 좋습니다.
5) 엔의 축복 명품화 비교 : 모능 VS 이속 (rev.13, 10/18) - 모능 : 어픽 명품화 3저격 시 176, 어픽 명품화 노저격 시 127 (민첩 1,620 가정) - 이속 : 어픽 명품화 3저격 시 62.1%, 어픽 명품화 노저격 시 44.9% → (62.1% - 44.9%) * 0.09 = 1.548% 데미지 증가 6) 견고함 VS 최대결의 중첩 비교 (rev.13, 10/18) ① 견고함 1부위, 최대결의중첩 2부위 (합연산 피해 합계 3,100%, 풀버프 시 최대체력 25,000 가정) - 최대결의 2부위(3저격 기준) : (36결의 * 15%/결의 + 100% + 10%) * 0.7 / (10결의 * 15%/결의 + 100% - 견고함 1부위(3저격 기준) : (9스킬 * 5%/스킬) / (3스킬 * 5%/스킬) = 1.26087, 즉 26.1% 최생 상승 * 끈적이는 보호막으로 인한 상대 데미지 증가율 : 26.1% * 제압피해 합연산 증가율 : 25,000 * 0.261 = 6,525 최생 증가 → (15,763% + 3,100%) / (12,500% + 3,100%) = 1.21, 즉 21% 데미지 증가 ② 견고함 2부위, 최대결의중첩 1부위 (합연산 피해 합계 3,100%, 풀버프 시 최대체력 25,000 가정) - 최대결의 1부위(3저격 기준) : (23결의 * 15%/결의 + 100% + 10%) * 0.7 / (10결의 * 15%/결의 + 100% - 견고함 2부위(3저격 기준) : (15스킬 * 5%/스킬) / (3스킬 * 5%/스킬) = 1.5217, 즉 52.17% 최생 상승 * 끈적이는 보호막으로 인한 상대 데미지 증가율 : 52.17% * 제압피해 합연산 증가율 : 25,000 * 0.5217 = 13,043 최생 증가 → (19,022% + 3,100%) / (12,500% + 3,100%) = 1.418, 즉 41.8% 데미지 증가 ③ 결론 : 최대결의 2부위 + 견고함 1부위가 1.0103, 약 1.03% 데미지 우위 ※ 추가검토 : 생존 측면 - 최대결의 2부위 : 36결의 * 1.5%뎀감/결의 = 54%뎀감 → 가상 최생 = 1/0.46 = 2.17 - 견고함 2부위 : 52.17% 최생 상승, 견고함 1부위 : 26.1% 최생 상승 - 최대결의 2부위가 견고함 2부위 대비 1.42/1.207 = 1.1765, 즉 17.65% 최생 우위 ★ 머리, 가슴, 다리 중 2부위에 최대결의중첩을 적용하고, 1부위에 견고함 적용하는 것이 Best! ※ 결의를 챙기면 추가적으로 큰 장점이 있는데, 견고함에 비해 최대체력에서 피가 떨어질 일이 적어 보강수치가 내려올 일이 적기 때문에 딜이 안정적입니다. 보강의 경우 용병의 스킬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다시 채우려면 시간이 필요하며, 그만큼 제압 피해량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딜링을 위해 방어구 담금질은 결의를 추천합니다. (rev.22, 10/23) 7) 반지 & 신비의 원 명품화 효율 비교 (rev.23, 10/31) ① 자원감소(담금질) vs 신비의 원의 위력(담금질) - 자원감소 명품화 3저격 최대 수치 : 22%, 자원감소 명품화 노저격 최대 수치 : 14.5% *자원감소 3저격 시 데미지 증가율 : 1.282 / 1.1696 = 1.096, 9.6% 데미지 증가 - 신비의 원 명품화 3저격 최대 수치 : 33%, 신비의 원 명품화 노저격 최대 수치 : 21.8%, 평원의 힘 위상으로 인한 데미지 증가 : 4.1%/포악함 * 13포악함 = 53.3%, 평원의 힘 위상 사용 시 장갑과 반지 모두 노저격일 경우 91.35%의 곱연산을 챙길 수 있으며, 이는 공속까지 고려했을 때 월출 위상이 우위 *장갑 노저격 & 반지 3저격 : 의식문양 (27.8%), 장갑(21.8%), 반지(33%) *장갑 3저격 & 반지 3저격 : 의식문양 (27.8%), 장갑(33%), 반지(33%) - 신비의 원 명품화 3저격 시 데미지 증가율 = 2.033 / 1.973 = 1.0304, 즉 3.04% 데미지 증가 - 결론 : 신비의 원은 월출과는 달리 2중첩/3중첩 곱연산이 가능하므로, 신비의 원을 활용해줍니다. ② 장갑과 반지 모두 최대 생명력의 명품화가 가장 데미지 증가 효율이 좋습니다. (rev.14, 10/18) ③ 1-10. 케펠레케의 옵션 중 "핵심기술이 두번 공격할 확률" 은 버그 였네요^^ 저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두번 공격 시 데미지 증가량 1-11. 추가로 반지에서 자원소모 감소 옵션 붙여 케펠레케의 고유 효과와 같이 적용할 경우, 자원소모 감소 옵션 으로 명품화 노저격 시 최대 14.5%를 챙길 수 있게 되는데 본래 소모되야 하는 자원소모량이 100이었다고 하면 자감으로 85.5가 되지만 실제로는 100 그대로 소모되므로 100 / 85.5 = 1.17, 즉 약 17% 데미지가 높아집니다. (rev.13, 10/18) 1-12. 테스트하면서 알게된 사실인데 "속박하는 수렁의" 위상은 곱연산이 아닌 합연산입니다. 위상 효과를 자세히 보시면 곱연산 표시 [x]가 빠져있다는 사실을 아실 수 있게 됩니다. 처음에는 국문 번역 오류일까 싶었지만 영문본에서도 동일함을 확인하였습니다. 따라서 속박하는 수렁의 위상은 딜 증가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으 므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rev.15, 10/18) 1-13. 포악한 예언자 위상 세팅 (rev.23, 10/31) 트리플디핑을 만들어주는 기제에 해당됩니다. 쫄 한마리만 잡아도 해당 딜이 주변적에 적용되는 만큼 낼 수 있는 빌드입니다. 다만 한밤중의 태양의 반지를 쓰지 않아 자원 회복기제가 취약하기 때문에 장갑에 행적 자원회복 옵션을 달아서 이를 보완해줍니다. 2) 별반 세팅의 장단점 - 별없는 하늘의 반지는 50% 자원소모 감소와 더불어 50%의 곱연산, 그리고 핵심기술 증가로 인한 깃털 데미지 증가, 높은 공속과 행적을 통해 장갑과 반지에 공속을 달지 않고도 버킷1 공속 99.3%를 챙길 수 있어 장갑과 반지에 공속 대신 스텟을 챙겨 딜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장갑에 붙어있는 행적자원회복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행적옵션은 자원회복 확률을 높여주는 좋은 선택이 됩니다. → 별반은 세팅이 쉽고 자원소모 감소 50%와 뎀증 50%를 챙길 수 있다는 딜적 장점, 그리고 높은 공속 및 행적을 챙길 수 있다는 장점 있으나, 자원 수급이 불규칙하여 추방목 및 케펠레케의 효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효율이 오히려 떨어지는 부분도 있어 밸런스 세팅 3) 장갑 옵션 : 깃털 일제사격 VS 민첩 - 깃털 일제사격으로 인한 데미지 증가 (별반 핵심기술 노어픽, 바지 기본기술 노어픽 기준) : 민첩 1,700 → 1,936, 1,936/1,700 = 1.139, 즉 13.9% 데미지 상승 4) 결론 : 포악한 예언자 세팅을 제외하더라도 데미지 테스트 결과 평원의 힘>월출>=별반 으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가급적 평원의 힘 위상을 적용하여 신비의 원을 활용해줍니다. 월출은 평원의 힘에 비해 노포악 세팅 시 2배, 포악한 예언자 위상 세팅 시 4배가량 데미지가 낮습니다. (rev.23, 10/31) 1-14. 방어구 장비별 데미지 및 실질 체력 효율 비교 (rev.18, 10/19) 결론 : 거짓된 죽음의 수의와 최대결의중첩 2부위를 붙이는 것이 데미지와 탱킹 모두 가장 우수합니다. 상태에서의 곱연산 계수인 0.7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방패막기 시에는 계수 1.4가 적용되므로 2배(1.4/0.7=2) 딜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참고로 결의의 경우에는 한계효용(수치가 증가할 수록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적용되나, 견고함의 경우는 한계효용이 상대적으로 덜한 경향(체력증가로 인한 한계효용은 없으나 견고함 스킬 자체에는 한계 효용이 적용되므로)이 있으므로, 2부위까지는 결의의 데미지 증가 효율이 좋으나 3부위 이상 붙일 경우 2부위 까지는 결의를 적용한 후 3번째 부위부터 견고함 붙이는 것이 데미지 증가 효율이 좋습니다. 2. 정복자 보드 세부 설명 (rev.24, 11/4) 2-1. 기존 깃털 빌드의 정복자보드와 다른 주요한 차이점은 복수 문양을 빼고 사육사 문양을 사용하여 쇠약 노드에 있는 최대 자원 마법노드를 강화하여 최대자원이 (rev.7, 10/13) 2-2. 되었으므로, 합연산 피해보다 효율이 높은 쪽으로 개편하였습니다. 또한 나락 고단등반용 빌드를 반영하여 추방목, 반지, 장갑의 공속에 모두 어픽을 사용하고 명품화 저격을 안했을 경우 공속이 19.5% * 3 = 58.5% 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정복자의 공속 노드를 최적화하여 챙기도록 최적화하였습니다. (rev.19, 10/20) → 추가적으로 공속 관련 세팅 언급은 Summary 장비 세팅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v.22, 10/23) 2-3. 일부 정복자 노드 경로를 최적화 하였습니다. 또한 끈적이는 보호막 보드에서 기존에 챙기지 못했던 보호막 생성량%를 챙기면서 부족한 번저까지 챙겨주었습니다. 2-4. 월출을 사용하지 않아 최대공속에 도달하기 위해서 2-5. 정복자 보드 레벨업 팁 : 문양레벨 99에서 100단에서도 70%이고, 115단에서도 똑같이 70%이므로 문양업은 100단에서 100레벨을 만드시는게 유리합니다. (rev.2, 10/11) 2-6. 사육사 문양은 최대자원을 올리는 데는 유리할 수 있지만 사육사의 전설문양 효과가 무옵이라 복수로 변경 하였습니다. 복수도 최대자원 16을 추가로 챙길 수 있기 때문에, 티볼트와 케펠레케에 최대자원을 붙이게 되면 최대자원 240을 달성할 수 있고 무엇보다 전설옵션 효과가 유효하기 때문에 복수문양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단, 사육사 문양을 뺐을 때 세팅이 만들어져서 사육사 없이도 정복자 오류 일부 수정 완료 (rev.5, 10/12 & rev.8, 10/13) 2-7. 명품화를 저격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나 쉽지 않으므로 적절하게 정복자 보드로 조절해주도록 합니다. 나락 고단 등반용 세팅에 대한 정복자는 각자 세팅마다 다르므로 기본적으로 합연산 데미지 노드들을 제거 하여 모저 및 방어력에 투자하여 생존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rev.7, 10/13) 2-8. 정복자 보드의 문양 중 복수는 가시 피해를 받아야 적용되는 피해 증가인데, 철갑가죽을 통해 가시획득이 가능 하므로 상시에 가까운 수준으로 유지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rev.9, 10/14) 2-9. 영리함 문양 VS 급성폭발 문양 비교 (rev.10, 10/14) 1) 영리함 (문양 100레벨 기준) - 추가 보너스 : 중첩 시 최대 10% - 전설노드 효과 : 피해증가 10.4% - 합연산 수치 : 지능 5당 비물리 피해 16.7% 2) 급성폭발 (문양 100레벨 기준) - 추가 보너스 : 건강 및 부상 상태의 적에게 12% 증뎀 → 건강 상태 (피통 80%이상), 부상 상태 (피통 35%이하) → 유효한 뎀증 적용 구간 전체 피통 중 55% → 실제 추가 보너스에 의한 증뎀 : 12% * 0.55 = 6.6% - 전설노드 효과 : 번개피해 증가 10.4% - 합연산 수치 : 지능 5당 번개 피해 16.7% 3) 상대 비교 및 결론 : 1.12/1.066 = 1.051 즉 영리함 문양이 5.1%만큼 데미지가 더 높습니다. 2-10. 사육사 문양 VS 복수 문양 비교 (rev.10, 10/14) 1) 사육사 (문양 100레벨 기준) - 추가 보너스 : 혼령 스킬태그 적용 시 각 4% 증뎀 (깃털 일제사격은 독수리, 고릴라, 재규어 적용으로 12% 증뎀) - 전설노드 효과 : 화신 기술 피해 10.4% - 합연산 수치 : 마법노드 능력치 272.5% 증가 2) 복수 (문양 100레벨 기준) - 추가 보너스 : 가시 피해 시 최대 중첩 기준 15% 증뎀 - 전설노드 효과 : 피해증가 10.4% - 합연산 수치 : 희귀노드 능력치 218% 증가 3) 상대 비교 및 결론 - 사육사가 복수 최대 원기가 15 높기 때문에, 제압 기준치인 240을 기준으로 데미지 증가를 계산해보면 (240+15)/240 = 1.0625 즉 6.25% 데미지 증가 - (1.15*1.104) / (1.12*1.0625) = 1.067 즉 복수 문양이 6.7%만큼 데미지가 더 높습니다. 2-11. 전설노드 접근전 투사는 버킷2 공속이 아닌 버킷1 공속입니다. (rev.24, 11/4) 전설노드 "집중"의 발동 조건에 대한 언급이 있어 급성 폭발 문양과 집중 노드를 제거/착용하여 대조군을 두어 테스트 해 본 결과 "번개 피해"의 경우 집중의 곱연산 발동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스킬 사용 조건부 문양인 날발톱 문양 (독수리 기술 극대화 피해 더블디핑, 트리플디핑 미적용)을 제외하고 번개 피해와 곱연산을 챙길 수 있는 "급성 폭발" 문양을 씁니다. 2-12. 전위된 힘 위상과 차단의 위상의 시너지에 대한 보완 설명 (rev.11, 10/16) (feat. 페르탄스, https://www.inven.co.kr/board/diablo4/6304/1409) - 전위된 힘 위상과 차단의 위상의 상호간 시너지의 최초 발견자는 페르탄스님으로 생각됩니다. (10/12 공개) - 차단의 위상은 결의중첩당 최대 15%의 방패막기 확률을 획득할 수 있으며, 현 세팅이 최고점인 36스택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15%/스택 * 36스택 + 100%(철갑 가죽) = 540% + 100% = 640% (침착한 방어 제외) - 640% * 0.7(방막 시 1.4) = 448% (방막 시 896%)로 최대 10배에 가까운 뎀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2-13. 문양을 유지합니다. 다만, 추후 월출 대비 신비의 원에 의한 곱연산 더블디핑 범위가 더 넓다는 것이 실제 테스트 후 확인된다면 다시 평원의 힘의 위상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rev.18, 10/19) 2-14. 복수 문양 VS 자만심 문양 비교 (rev.14, 10/18) 1) 복수 (문양 100레벨 기준) - 추가 보너스 : 가시 피해 시 최대 중첩 기준 15% 증뎀 - 전설노드 효과 : 피해증가 10.4% - 합연산 수치 : 희귀노드 능력치 218% 증가 (최대자원 18 추가 증가) - 1.15 * 1.104 * (258/240) = 1.365, 즉 36.5% 데미지 증가 (문양 적용 전 최대원기 240 기준) 2) 자만심 (문양 100레벨 기준) - 추가 보너스 : 마법노드 327% 효과 증가 (최대자원 4*3*3.27 = 39 추가 증가) - 전설노드 효과 : 추가피해 확률에 따라 최대 500%데미지 만큼 가시 획득 (의미 없음) - 합연산 수치 : 취약 시 10.4% 피해증가 - 1.104 * (279/240) = 1.283, 즉 28.3% 데미지 증가 3) 결론 : 복수가 자만심에 비해 1.365 / 1.283 = 1.064, 즉 6.4% 데미지 효율이 높습니다. (단, 복수문양의 경우 15스택을 쌓아야만 효율이 제대로 나오기 때문에 나락 저단 등 스피드 파밍 시에는 추천드리지 않으며, 나락 고단 등반 시에만 활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2-15. - - 3. 스킬 트리 세부 설명 (rev.23, 10/31) 3-1. 이 빌드는 해외 유튜버 AceOfSpades를 통해 최초 공개된 빌드인데, 해당 빌드와의 차이 중 하나가 와류를 체력 20%를 추가로 더 챙겨 제압 합연산 수치를 극대화해줄 수 있습니다. 3-2. 약화는 높은 피통으로 인해 필요없어 빼고, 대신에 구속되지 않는 힘을 찍어서 저지불가 시 뎀증을 챙겼습니다. 3-3. 참고로 최대결의중첩 담금질 0강=2스킬, 1강=4스킬, 2강=8스킬, 3강=13스킬 으로 거의 지수 증가수준의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 이는 다른 패시브 스킬과 다른 연산이므로 버그로 판단됩니다.
나락 고단에서 활용해본 결과 티리엘 어픽 명품화 3저격 급의 압도적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반드시 인고 3스킬을 찍어주도록 합니다. (rev.9, 10/14) 3-4. 3-5. 원기왕성 1스킬만으로도 상시 원기를 가득 채울 수 있어, 해당 포인트를 견고함에 투자하였습니다. 단, 한밤중 태양의 반지 고유옵이 47%일 때에는 원기왕성을 2포인트를 찍어야하고, 50%일 때부터 1포인트로 충분해집니다. 이는 메커니즘 상 매우 중요하므로 반드시 원기가 풀로 채워지는 지 체크하시고, 메커니즘 1-2에 추가 보완 설명을 하였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v.5, 10/12) 3-6. 전설 투구를 활용하게 됨에 따라 깃털 일제사격에 고릴라 태그가 붙지 않으므로 "우세" 스킬을 제외하고, 가속 스킬을 활용하여 조건부 딜을 높여줍니다. 3-7. 거짓된 죽음의 수의를 사용함에 따라 철갑 가죽 스킬을 챙길 수 없게 되었고, 이로 인해 기존 가속 스킬에 투자 했던 스킬을 모두 철갑 가죽에 투입하였습니다. (rev.17, 10/19) 3-8. 포악한 예언자 위상을 사용할 경우 한밤중 태양의 반지 고유효과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역습 스킬을 빼서 주도권에 3포인트를 주어 재규어 부혼령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저지불가 상태 공백을 메워줍니다. (rev.23, 10/31) 4. 용병 세팅 세부 설명 (rev.5, 10/12) 4-1. 주용병 : 라헤어 (방패돌진-라헤어의 수호-도발-조롱하는 미끼) 주용병을 라헤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방패돌진을 통해 보강을 채워 제압 합연산% 수치를 더 챙기기 위함 입니다. (rev.3 수정사항 : 라헤어의 수호를 챙겨 추가 방어도 확보) 4-2. 부용병 : 바랴나 (피의갈증) 공속을 10% 챙겨 버킷1 공속을 최대한 맞춰주도록 합니다. (rev.3 10/12) 만약 세팅이 완료되어 마을 기준 공속 80%를 챙겼다면 버킷1 공속을 챙길 필요가 없으므로 앨드킨의 "쇠약장"을 쓰시면 됩니다. (rev.5, 10/12) 마치며.. 이번 시즌 야만으로 돌아가기 위한 준비는 하고 있지만, 상대적 비교를 통해 야만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역시나 혼령사의 사기성을 체감하지 않을 수 없어 시작해봤는데 여러모로 완성형 OP케릭을 잘 만들어 놓은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이 있었기에 공략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시즌6 이후에도 본 공략이 혼령사 메커니즘의 레퍼런스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천은 늘 저에게 매우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EXP
222,308
(49%)
/ 235,001
|
1 ~ 100 번째 댓글 [보기]101 ~ 200 번째 댓글 [보기]201 ~ 300 번째 댓글 [보기]301 ~ 400 번째 댓글 [보기]401 ~ 500 번째 댓글 [보기]501 ~ 600 번째 댓글 [보기]601 ~ 700 번째 댓글 [보기]701 ~ 800 번째 댓글 [보기]801 ~ 900 번째 댓글 [보기]901 ~ 1000 번째 댓글 [보기]1001 ~ 1100 번째 댓글 [보기]1101 ~ 1200 번째 댓글 [보기]1301 ~ 번째 댓글
새로고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