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27일), NDC가 진행되는 판교의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는 'M.O.E(마스터 오브 이터니티)'의 미소녀 캐릭터 제작과정을 들을 수 있는 특별한 강연이 마련됐다. 30분간 진행된 이 날의 강연을 맡은 넥슨의 김수철 기획자는 '미소녀 x 메카닉 x SRPG' 장르를 표방하는 넥슨의 모바일 신작 'M.O.E' 속 주요 캐릭터 4명의 기획 과정을 공개했다.
스스로를 덕질 게임에 특화되어 '덕업일치'를 이룬 기획자라고 소개한 그에게 'M.O.E' 속 귀여운 미소녀들이 어떻게 제작됐고, 캐릭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했는지 들어봤다.
▲ IS 기획유닛 김수철 기획자
김수철 기획자는 강연에 앞서 게임의 타이틀인 'M.O.E'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게임명인 'M.O.E'는 '마스터 오브 이터니티'의 준말이며, 캐릭터에 대한 사랑이나 호감을 뜻하는 일본어 '萌え(모에)'를 생각하고 만든 타이틀이 맞다고 밝혔다. 게임 속에 등장하는 미소녀 캐릭터 '픽시'는 인간과 비슷한 인공생명체로 인간(유저)과 공존하며, 때로는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그는 30분간 진행되는 짧은 강연을 통해 게임 속에 등장하는 16명의 픽시를 전부 소개할 수 없으므로, 가장 인기 있는 히로인과 몇 명의 캐릭터만 강연을 통해 소개하겠다고 말했다.
◆ 맹하지만 순정파! 'M.O.E'의 히로인 '레아스'
레아스의 초기 설정은 어리고, 귀여운 이미지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다소 '친근함'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었고, 이에 '옆집소녀'와 같은 이미지가 더해 1차 수정이 진행됐다.
▲ '친근함'을 더한 1차 개선 당시의 레아스.
하지만 레아스의 성격인 '백치미'와는 동떨어진 이미지라는 평가를 받았다.
▲ 2차 개선 당시의 레아스.
다양한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백치미를 표현했지만, 이번엔 '명랑함' 요소가 부족했다.
▲ 살짝 묶은 헤어스타일로 '명랑함'을 더해 완성된 '레아스'의 이미지
▲ 이미지 완성 뒤에는 3D 캐릭터 생성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모든 픽시에는 7,000개에서 10,000개의 폴리곤이 사용됐다.
▲ '레아스'의 각성 이미지는 더 과감한 복장으로 포인트를 줬다.
▲ '각성' 시스템을 통해 픽시들은 각각 두가지의 다른 느낌으로 표현됐다.
▲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캐릭터에 '설정'을 더하면, 하나의 캐릭터가 완성된다.
▲ 물론 다양한 코스튬도 함께 확인할 수 있을 것!
▲ 정성을 다해 만든 캐릭터는 유저들이 먼저 반긴다.
◆ 소녀소녀한 망상문학소녀, '퓨리스'
▲ 'M.O.E'에 등장하는 모든 픽시 중,
초기 설정과 가장 변화가 없는 픽시가 바로 '퓨리스'다.
진짜 신기방기.. 다른장점 다버리고 모에 하나만 판것같은 게임이 모에가 전무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