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06-19 21:15
조회: 22,835
추천: 16
(1000)(132.10054)오류 영구적 해결법
밑의 지존폭탄범님이 쓰신글을 보고 번뜩 생각나서 글을 올리게 되요.
저도 (1000)(132.10054) 혹은 (1000)(132.10053) 에러로 몇달동안 고생했는데요,
한시간에 3번씩 튕기는 등 정상적인 파티플레이가 불가능할 정도로 짜증나는 에러입니다만
NC가 고칠 생각을 전혀 안하네요.
밑의 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 에러는 할당받은 ip가 지속적으로 바뀌어서 생기는 오류입니다.
지존폭탄범님의 해결책처럼 유동 ip 할당을 고정으로 바꾸는 것만으로 고쳐질 수도 있지만,
완전한 방법이 아니에요. 아마 그래서 임시 해결법이라고 말씀하신 걸 거에요.
실제로 저도 고정 ip로 고치려 해봤지만 소용 없었구요.
완전한 해결법은 다음과 같아요.
1. 공유기에 들어오는 랜선을 직접 컴퓨터에 연결한다.
인터넷 공급자로부터 할당받은 ip를 컴퓨터가 직접 받는다면 위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공유기에 들어오는 랜선을 직접 컴퓨터에 연결할 수 없을때 -> Super DMZ 설정
여러가지 이유로 공유기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경우들이 있어요.
공유기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스맛폰 와이파이를 꼭 쓰셔야 하는 분.
공유기로 여러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하는 구성을 쓰시는 분.
혹은 저처럼 월세방에 살아서 집주인 집에 있는 공유기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절대 불가능한 분 ㅠ_ㅠ 등등 (주인집에 쳐들어가볼까 생각도 많이 했었어요 ㅜㅜ)
이런 경우에는 공유기에 super DMZ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super DMZ는 공유기가 인터넷 공급자로부터 할당받은 ip를 설정한 컴퓨터가 할당받은 것처럼 해주는 설정이에요.
쉽게 말하면 인터넷 랜선을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공유기를 거쳐 연결하더라도,
1번의 경우처럼 직접 연결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주는 설정이랍니다.
설정방법은 지존폭탄범님이 쓰신 글대로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1) Ctrl+R을 누르고 cmd를 친 다음 나오는 명령 창에서 ipconfig를 눌러줍니다.
2) 기본 게이트웨이에 나오는 ip주소를 적어 놓습니다.
3) 익스플로러 주소창에 http://xxx.xxx.xxx.xxx(2번에 적어 놓았던 ip 주소)를 적어 엔터칩니다.
보통 이러면 공유기 설정 페이지가 나오는데요. 여기서 세부 설정은 각 공유기 마다 달라서 이 글에서 완전하게 설명해 드릴 순 없습니다만 제가 쓰는 공유기를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처음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암호 혹은 아이디+암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옵니다.
암호를 모르시면 공유기를 이리저리 뒤적뒤적 하면 공유기의 제품명이 나옵니다. 제것의 경우는 APL-2000이네요.
인터넷에 '공유기 제품명' 설정 등으로 검색하면 기본 제공되는 비밀번호가 대부분 나옵니다. 그걸 입력하시면되요
못 찾으시는 분들은 'admin' '1111' '0000' 등의 기본 비밀번호일 것 같은 비밀번호를 한 번 시도해보세요.
인터넷에서 나오는 비밀번호를 입력했음에도 틀렸다고 뜨는 분들은 중간에 비밀번호를 변경한 것이 분명함으로, 공유기에 쪼그맣게 구멍이 나있는 reset 버튼을 샤프같은 것으로 눌러주시고, 다시 시도해보시면 돼요.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들어가셨으면, 고급 설정 등의 어려워 보이는 곳을 뒤적거리시면 DMZ 서버 설정 등의 메뉴가 나올 거에요.
여기서 Super DMZ를 설정하실 수 있어요.
Super DMZ 설정에는 설정하려는 컴퓨터의 MAC주소가 필요합니다.
위의 스크린샷처럼 맥주소 검색을 도와줄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어 찾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아까와 마찬가지로 cmd 창에서 ipconfig를 실행하면되는데요, 이번에는 ipconfig가 아니라 ipconfig /all이라고 쳐봅시다.
뭔가가 주륵주륵 나오는데요. 스크롤을 올려보시면 이더넷 어댑터의 설정이 있어요. 그 안에서 물리적 주소 부분에 써있는 것을 아까의 6칸 짜리 입력란에 입력하시면 됩니다.
입력하시고 확인을 눌러주신 다음, 조금 기다리시면 Super DMZ 설정이 될거에요.
이제 블소를 켜고 에러 없는 게임을 즐기시면 됩니다!!
위의 설명으로도 Super DMZ 설정이 어렵다! 라고 느끼시는 분들은 인터넷에 '공유기 제품명' + 'Super DMZ' 등으로 검색하시면 해당 공유기에 맞는 친절한 설명등을 찾으실 수 있을 거에요.
이 방법으로 꼭 오류가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
혹시나 이 방법으로도 해결이 안되시는 분은 코멘트 부탁드릴게요!
이상 천양무궁 김홍실이였어요. 읽어줘서 감사합니다~
EXP
238,493
(13%)
/ 260,001
|
인벤 공식 앱
댓글 알람 기능 장착!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
일단
NC가 정한 해당 코드는 NC측의 주장대로 네트워크 접속에 관련한 문제라기보단,
사용자의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상의 문제로 판단합니다
크게 위와 같이 공유기문제 가 있고, 유동IP를 부여 받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DHCP 로 부터 IP 할당 받는 문제가 있겠네요.(모뎀직접연결도 포함)
공유기를 사용하는 분들은 위와 같이 시도 해보고,
그래도 안된다면 대부분이 인터넷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하는 유동IP 문제입니다.
=DHCP IP 부여는 대부분이 1시간 간격으로 되있으나 30분 혹은 10분단위도 있더군요
이러한 IP의 재 임대 요청시 발생하는 서버의 랙타임 때문에 인터넷이 순간 끊어지면
서 발생하는 문제가 상당합니다.
그외에는 뭐 모뎀,공유기자체문제,라인문제,PC의 문제(바이러스등등) 이 있겠지만
사실 이경우는 좀 드물다고 볼수 있겠네요. 블소 접속에 문제라면 이전에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발생하였다는 문제를 개인이 잘 알고 있겠죠
유동IP의 문제는 현재 어떠한 ISP에서도 해결할수 있는 방법이 별로 없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지 못하도록하기위해 브로드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이죠..
결론은... 고정IP를 받더라도 해당문제는 지속 발생할수 있으므로..
지점국을 변경한다면 문제 해결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사 가라는...
유동 IP를 갱신할때 이미 할당받은 IP는 건드리지 않는걸로 알고 있어요.
장기간 접속이 끊겼다가 연결되지 않는이상 ISP에서 IP를 다른 것으로 할당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거라 생각하고요.
만약에 정말로 갱신시마다 순간의 렉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고 하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고통받았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유동IP사용으로 인해 동일한 오류가 생기는 분들이 없다고는 단정할 수 없지만
어차피 그분들은 인터넷 업체에 A/S 문의하는 것 외에는 답도 없고,
그나마 기사분들이 A/S온다고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이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해요.
유동아이피일때 해당 IP를 계속 사용한다는 서버에 대한 응답을 해야 해당 IP를 사용하는것
이것을 유니캐스트 방식이라합니다. 일반적인 공유기 나 PC에서 서버의 요청에의한
응답에 해당 IP를 그대로 유지하는방직이지요
하지만, 공유기나 그외의 여러 게이트방식등을 1개만의 IP를 부여하기위해
ISP에서 브로드캐스트방식의 DHCP를 운용합니다.
즉 이리하면 유니캐스트 방식의 각가정의 공유기나 PC에서의 응답에 DHCP서버가
대응하지 않게 되죠.
이후 IP임대시간이 종료되면 해당 IP를 잃게 되고 새로운 IP 를 요청하면 이에 DHCP
서버가 응답하여 새로운 IP를 부여하게 됩니다.
단, 이경우 해당 지점국 관내에 사용자가 많이 않게 된다면 동일한 IP를 부여받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렇기 때문에 고정 IP를 하면 인터넷이 끊기지 않는다. 혹은 IP변경이 되지 않는다.
생각하겠지만,
실제는 위와 같은 ISP업체들의 반강제적 정책 때문인겁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는 각 댁내의 공유기 설정이나, PC의 설정, 모뎀의 설정등등등
의 조정을 아무리 해봐야..
ISP의 DHCP 서버 정책이 변경되지 않는 이상 문제는 지속 발생된다는 겁니다.
지점국을 변경하면 지점국이 관리하는 사용자가 많지않다면 적은 부하로 IP부여에
문제가 되지 않아 인터넷 끊어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물론
이경우도 복불복이겠지요.
설정이 되긴했는데 그래도 3추!!
로컬 네트워크 어댑터의 IP를 자동으로 할당받는 것으로 변경해주세요.
그리고 공유기 설정으로 가셔서 혹시 DHCP 사용을 끄셨다면 다시 켜주셔야 하고요.
이렇게 하셔야 공인 IP를 컴퓨터에서 사용가능해요.
블소도 공유기로 하는데 안튕기구요 이러면 된건가여??
제가 이거땜에 워낙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도움이 됐다니 기뻐요.
로컬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은
제어판 > 네크워크 및 공유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왼쪽 메뉴에 있어요) >
로컬 영역 연결 (오른쪽 버튼) 속성 > 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속성 >
'자동으로 IP 주소 받기' 및 '자동으로 DNS 서버 주소 받기'를
활성화시켜주시면 됩니다.
만약 안해도 잘 되고 있다면 굳이 할필욘 없을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