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07.27 오타 및 일부분 설명 수정 (지적 감사합니다)




글의 길이가 꽤 길기 때문에 여유롭게 보시는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인벤에 기재된 가이드에 포함된 내용을 재언급하지 않을 것이므로 꼭 이전의 가이드를 읽고


이후에 열람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클릭하시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 ▼


내 맘대로 서폿 Part. 1


내 맘대로 서폿 Part. 2


내 맘대로 서폿 [라인전, 중후반, 아이템 편] 시즌4.Ver



i4266128561.jpg

 


안녕하세요:D

다들 무더운 여름 잘 보내고 계신가요~ㅎ


예전에 내맘대로 서폿을 시즌3에 작성하고

시즌4를 대비하여 업데이트를 하고자 계획했지만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하여 미루고 미루다 이제야 올립니다...ㅠㅠ


이번에는 룬, 특성, 템트리에 대해

전반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즌4로 바뀌면서 그에 맞게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원래는 이글이 어제 완료가 되어야 했는데

컴퓨터 오류로 인해 .. 다 증발이 되버렸습니다..

다시 멘탈 가다듬고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XD


※ 와딩위치에 관련된 부분은 이후에 관련 이미지들 모아서

정리한 이후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1번.JPG



룬페이지는 특성과는 달리 게임 픽창내에서 수정이 불가능한 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룬페이지를 보유 하고 있고, 상대 조합과 변수에 따라서 많은 선택지가 있다면

그에 맞게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겠죠?


저는 원딜러로 전향을 하면서 이전 서폿 룬페이지 6개

원딜 룬페이지 8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틈 날때마다 정비를 하거나 새로 보충을 하거나 하는식의

주기적으로 룬페이지를 갈아주고 있죠


룬페이지는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이 반영이 되며,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효율적인 룬페이지는 존재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에게 맞게

고쳐가고 수정해 나가는 것이죠.


만약, 예를들어

나는 상대 서폿의 스킬샷들을 무빙만으로 충분히 피할 수 있고

라인전에서 챔프의 스킬을 이용한 견제를 정말 많이하지만, 항상 마나관리가 안되서

유지력이 떨어진다면


마저룬대신 마젠룬(마나재생룬)을 사용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을 고려해서 룬페이지를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표식,인장,문양,정수에는 각각 효율이 좋은 룬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딜링 챔프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주문력룬을 사용하고 싶다면

표식에 주문력을 넣어주기보다는

정수나 인장에 주문력 룬을 사용하는것이 효율이 좋습니다.

그리고  표식에는 마관룬을 넣어주시는것이 좋구요.


이런식으로 각 슬롯에는 효율이 좋은 룬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룬페이지를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꽤나 헤멜수도 있는 작업이지만

몇 번만 해보시면 금방 자신에게 맞는 룬페이지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챔프 공략을 보시고 룬페이지를 참고하신 후 본인에게 맞는 룬을 대체하여

룬페이지를 만들어 나가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룬페이지는 정말 주관적인 면이 강한 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답은 없으며, 참고용으로 쓰시면 될 듯 합니다.




1 . AP 딜링 서폿 (AP,방어) (밸런스형)




▶표식 - 방어x9 or 마관x9

▶인장 - 고체x9

▶문양 - 마저x9 or 마젠x3/마저x6

▶정수 - APx2개, 방어x1



보통 AP딜링 챔프를 이용할때 사용하며, 무난한 라인전이 예상될때나

상대바텀과의 상성이 그리 나쁘지 않을때 사용을 합니다.


스킬샷을 좀더 상대로 하여금 압박이 들게 하시고 싶으시면 표식쪽에 마관룬으로 대체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문양에 마젠룬을 대체하여 마나 수급을 더욱 빠르게 하여 마나관리와 라인 유지력에 보탬이 되게 해주셔도 됩니다.


저는 안정적인 라인전을 추구하기때문에 방어관련 룬을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 사용챔프 목록 ◀


잔나, 나미, 소나, 자이라, 애니, 브랜드, 카르마

정도의 챔프들을 사용할때 상황을 보고 이용합니다.


대게 라인전에서 AP딜링 스킬견제의 비중이 높은 챔프들입니다.


ap딜링서폿.jpg





2. 공용 방어룬 (체력,방어)




▶표식 - 방어x9

▶인장 - 고체x9

▶문양 - 마저x9 or 고정마저x4/성장마저x5

▶정수 - 방어x2, 체력x1



거의 모든 서포터 챔프들이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룬페이지 입니다.

알리와 레오나 같이 탱키한 서폿을 할때 쓰기도 하며, 라인전이 힘들때 유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들기도 합니다.


상대 조합과의 상성에서 매우 불리한 상황이거나 딜교에서도 일방적으로 밀리는 상황이라고

예측이 된다면 이러한 방어적인 성향이 큰 룬페이지를 듭니다.


초반부터 정말 단단한 몸을 자랑하고

레오나 알리 같은 챔프라면 더욱 단단해져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는 셋팅입니다.


그리고 예외적인 상황으로 우리팀 조합에 브루져(세미탱커)급의 탱커는 있지만

퓨어탱커(고기방패)가 없는 상황 이라면 이러한 룬페이지와 디펜스에 중점을 둔 특성을 착용하고

후반에는 탱커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만, 탱커처럼 상대 진영을 휩쓰는 것은 지양하시고...

일단 우리 원딜러부터 봐주시기고 그 이후에 들어가시길 바랍니다 :^)


성장마저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대 바텀이 아닌 전체적인 조합을 보시고서 이용을 해주시면 됩니다.


초반부터 강력한 누킹 데미지가 있는 챔프들이라면 고정마저를 이용하시고

이후 개인 생존을 위한 마방템을 들어주시고


광역 AP 딜링 스킬들이 많으며, AP딜러의 비중이 높다면 성장마저를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이후 아이템을 팀파이트에 기여가 가능한 솔라리의 펜던트를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사용챔프 목록 ◀


거의 모든 서포터 챔프들을 사용할때 상황을 보고 이용합니다.


탱서폿.jpg




3 . 공용 이속룬 (이속,방어)




▶표식 - 방어x5 , ADx4

▶인장 - 고체x9

▶문양 - 마저x9 or 마젠x3/마저x6 or 고정마저x4/성장마저x5

▶정수 - 이속x1개, 방어x2



개인적으로 블츠를 플레이 할 때 빠른 이속을 바탕으로 하여 로밍플레이나

백업플레이를 주로하는 식의 플레이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저는 라인전에서나 중후반에서나 빠르게 돌아다니는 블츠를 보면은

심리적으로도 압박이 와서 그런지 이룬과 특성에서도 이동속도를 올려주는 특성을 사용하고

기동력신발도 자주 애용합니다.


평타 견제를 자주 하는 챔프들로도 가끔 사용하고 있습니다.



▶ 사용챔프 목록 ◀


잔나, 애니, 블츠, 나미, 알리, 타릭, 레오나, 카르마, 자이라

정도의 챔프들을 사용할때 상황을 보고 이용합니다.


대게 평타견제가 라인전에서 큰 비중을 보이는 챔프나

개인적으로 높은 이속으로 상대를 압박 할 수있다고 생각되는 챔프들을

사용할떄 이용합니다.


블츠 - 복사본.jpg





4 . AP 딜링 서폿 (AP) (극딜형)




▶표식 - 쌍관x9

▶인장 - 고방x9

▶문양 - 성장APx9 or 마저x9

▶정수 - AP룬x3



강력한 스킬셋을 보유하고 있는 챔프들로 하여금 더욱 높은 딜을 뽑고자 할때 이용합니다.

성장AP룬을 가지고 있어서 중후반에도 높은 딜을 기대해볼 수 있는 룬페이지 입니다.


라인전 단계에서도 높은 딜로 인하여 압박을 크게 넣어줄 수 있으며

이로인해 라인푸쉬도 가능해지고, 스노우볼링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극초반 하드한 딜교를 걸거나 선2렙이후 바로 싸움을 통하여

이득을 보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안정성은 보장 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리스크가 있는 룬페이지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조심하고 또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 사용챔프 목록 ◀


애니, 브랜드, 자이라, 르블랑, 카르마

정도의 챔프들을 사용할때 상황을 보고 이용합니다.


대게 스킬견제가 라인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챔프들이며

스킬을 모두 적중시켰을 경우나 연계했을 경우 상당히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챔프들입니다.

또한, 라인전에서 공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는 챔프들 입니다.


애니,브랜드.jpg





5 . AP딜링 서폿 (마관,주문력,체력) (세미딜링형)




▶표식 - 쌍관x9

▶인장 - 고방x9

▶문양 - 마저x9 or 마젠x3/마저x6

▶정수 - APx1 , 마관x1 , 체력x1



룬페이지 이름 처럼 주로 자이라를 플레이 할 때 사용을 많이 합니다.

자이라의 식물딜을 더 높여주기 위해 마관룬을 정수에 추가하였고

자이라의 낮은 체력을 보완하기 위해 체력룬을 하나 넣었습니다.


딜쪽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디펜스쪽에도 어느정도 최소한의 보충을 하였습니다.


거의 자이라를 사용할 때 무난한 라인전이 예상될때 사용합니다.

그외에 각종 변수가 예상이 되면 위쪽의 룬들을 이용합니다.



▶ 사용챔프 목록 ◀


애니, 브랜드, 자이라, 르블랑, 카르마, 소나, 나미

정도의 챔프들을 사용할때 상황을 보고 이용합니다.


대게 스킬견제가 라인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챔프들이며

스킬을 모두 적중시켰을 경우나 연계했을 경우 상당히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챔프들 또는

스킬딜링의 계수가 좋은편이고 이를 적극 활용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자이라.jpg





6. 공용 AD룬 (AD룬,방어)




▶표식 - AD룬x8 , 치명타x1

▶인장 - 고체x9

▶문양 - 마저x9 or 고정마저x3/성장마저x6

▶정수 - 방어x3



평타견제가 많은 챔프들이나 평타딜링의 비중이 큰 챔프들을 사용할때 이용합니다.


대표적으로 쓰레쉬, 레오나 같은 스킬딜 중간중간 평타를 넣어서 딜을 하는 챔프들을 이용할때

사용을 합니다.


쓰레쉬의 사형선고(Q), 사슬채찍(E), 영혼의감옥(R)등 스킬을 연계하는 사이사이에 평타딜을 넣어주시면

꽤 높은 평타딜을 통해서 더 많은 피해를 주실 수 있습니다.

또한, E의 패시브로 인해서 평타에 추가피해가 붙게되므로 맞으면 크게 아프진 않지만

그래도 자꾸 맞고 싶지는 않은

가랑비같은 존개가 되죠 :^)


정수에는 고정방어력을 이용하여 방어력을 올려주었습니다.

어느정도 탱키한 몸이 있으면서 딜링또한 준수하게 갖춰진 룬페이지 입니다.



▶ 사용챔프 목록 ◀


쓰레쉬, 레오나, 알리, 블츠, 타릭

정도의 챔프들을 사용할때 상황을 보고 이용합니다.


대게 어느정도의 탱키함이 있는 챔프들이며, 이를 더욱 강조해주기 위해 방어룬과 체력룬에 투자를 하였고

평타딜 또한 준수하게 나오는 편이므로 라인전에서 유지력도 어느정도 있으며

라인전 싸움에서도 효율적인 룬페이지 입니다.


평짤탱키.jpg



룬페이지는 자신의 주관적인 면이 가장 많이 표현되는 부분입니다.


저는 주로 안정적인 플레이를 추구하다보니 공격적인 딜에 중점을 두는 룬보다는

안정적이고 밸런스가 어느정도 있는 룬을 자주 사용합니다.


이처럼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게 수정을 하여

사용을 하시면서 여러 룬들을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무작정 프로게이머들의 룬페이지나 상위 랭커들의 룬을

그대로 보고 뱃겨 쓰시기보다는 참고만하여

이를 수정하여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2번.JPG



특성은 룬페이지와는 다르게 특정상황에서 효율이 좋은 특성이 확연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특성은 어느정도 정형화가 되어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매 상황마다 게임마다 특성은 능동적으로 바꿀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의 조합을 보고, 변수를 생각하여 이를 바탕으로

특성을 찍어주시면 됩니다.


우선 밑의 특성들을 보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1 . 대표적인 서포터 특성(0/16/14) [밸런스형]




유틸과 디펜스에 골고루 분배를 하여 특성을 셋팅을 하였습니다.

거의 모든 서포터 챔프들이 사용 가능한 공용적인 특성이면서

제일 대중화된 특성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일반적인 상황이나 무난한 라인전에서 안정성과 유지력을 원할때 사용합니다 :)


블츠,나미 특성.jpg


특정챔프나 상대 조합에 따라 특성은 항상 유동적으로 바꿔주시면됩니다.

밑의 설명을 보시면서 참고를 하시길 바랍니다. 


4311.png 4312.png

'차원넘기'  '재빠른 발놀림'


귀환시관 쿨 감소와 이속증가의 특성입니다.

저는 주로 이속룬을 사용한다면 차원넘기를 찍어주고, 이속룬이 없다면 발놀림을 이용합니다.


4324.png4334.png

'연금술사' 와 '요리의대가'를 같이 사용하면,

체력포션을 사용할 시에 기존에 150의 체력을 회복하지만,

특성 효과로 인해 10% 추가되는 회복량과 즉시 20의 체력이 회복되기 때문에

총 185의 체력을 회복을 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라인전에 와드를 최우선으로 구입을 하고

이후 라인에서의 유지력을 위해 포션을 많이 구입하는 저에게는

정말 효율적인 특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D


4341.png

'부유함'은 시작시 40골드를 추가로 쥐어주기 때문에

포션을 한개 더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조금이나마 첫귀환전까지의 유지력을 올려줍니다.


4231.png

'억압'은 이동방해효과(기절,속박,슬로우,도발등)에 걸려 있는 적으로부터 받는 피해량 3% 감소

이동방해효과가 어느정도 있꼬 탈진도 같이 드는 경우에는 거의 필수적으로 찍어줍니다.


4234.png4241.png

'저항력'(마저) 과 '인내심'(체젠)

상대 서포터가 브랜드,애니,나미,자이라,소나,카르마 같은 AP딜링 견제형 서포터가 온다면 들어줍니다.

만약 이러한 서폿터가 아닌 서포터들이 온다면 인내심에 포인트를 넣어주어 라인 유지력을 올려 줍니다.


4233.png

'강건함'은 바텀라인전에서 필수적인 디펜스 특성이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AD딜러인 원딜러가 항상 오는 바텀라인이기 때문에 방어력을 올려주는 특성은 필수 이겠죠 ! :^)


4313.png

'명상'은 마젠 특성으로 마나를 주로 사용하여 스킬을 사용하는 서포터들에게는 필수적이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이 또한 유지력을 올려주는데 기여하는 하나의 특성으로 저의 경우에는 정말 많이 쓰는 특성입니다.


위의 특성은 거의 모든 챔프들이 사용이 가능하며

무난한 라인전과 안정적인 운영을 원하신다면 사용을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2 . AP 딜링 서포터 (15/15/0) [세미딜링형]




AP딜링스킬로 견제를 주로하는 챔프들을 이용할때 자주 사용합니다.
어느정도 밸런스도 있고, 딜도 갖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초반 라인전도 괜찮으며, 유지력도 어느정도 준수한 편입니다.

공격적인 라인전과 견제를 최대한 넣어주면서 압박을 가하고 싶을때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리스크가 어느정도 있기때문에 무리한 플레이는 지양하면서 이용을 합니다.

K-3.jpg


4213.png

'마법갑옷'에서 포인트를 빼서

명상이나 인내심, 저항력에 투자하여 주셔도 괜찮습니다.


마법갑옷은 기본스탯까지 포함한 전체 방어력을 올려주는것이 아닌

룬과 특성 아이템을 통한 추가로 얻는 방어력에 대해서만 적용이 됩니다.


중후반으로 가면서 방어템을 두르는 챔프이거나 룬과 특성을 디펜스에 중점을 잡았을때만 사용을 합니다.

중후반 딜링템을 올리면서 한타에 기여를 하는 플레이 방향이라면

다른쪽에 특성을 투자해주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3. 공용 서포터 특성 (0/9/21) [유틸형]




프리시즌과 시즌초에 쓰던 특성입니다.

하지만 제게 맞게 변형시키고 그에 익숙해지다 보니 자주 쓰는 특성은 아닙니다.


많은 서포터 챔프들이 공통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서포터챔프에 사용을 하여도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유틸에 많은 포인트를 투자할시 딜이나 몸쪽이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어서

아래와 같은 셋팅보다는 내게 필요한 최소한의것만 찍어주고

나머지를 디펜스나 오펜스쪽에 투자를 해줍니다.


K-1.jpg




4. AP 딜링 서포터 특성 (12/9/9) [이모저모형?]




주로 자이라, 애니, 나미, 카르마 같은 챔프들을 사용할때 사용합니다.
AP딜링 스킬을 이용한 견제를 지속적으로 할때 들어줍니다.
유틸과 디펜스쪽에 두루두루 넣어주면서 최소한의 유지력도 갖추고
딜 또한 갖추었습니다.

룬을 드실때는 약간 딜링 성향이 강한 룬페이지를 들어주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K-2.jpg






5 . 공용 서포터 특성 (0/25/5) [탱키형]



주로 레오나, 알리, 쓰레쉬 같은 어느정도 탱키함이 섞여있으면 좋은 챔프들을 사용할때 이용합니다.

안정적인 라인전이 가능하며, 초중반 부터 탱키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라인전에서부터 어느정도 좋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


또한, 상대바텀 조합과의 상성에서 우리가 많이 불리하다 싶으면 사용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는 마법의갑옷을 안찍었는데,

그 이유가 사실 여러 게임을 하다보면 이후 개인 생존에 필요한 방템을 올리는 일이 거의 없었습니다.

거의 팀파이트에 기여를 하는 아이템들을 올렸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길어지는 게임 또한 적어지다보니 잘 쓰지 않고 있습니다.


탱키서폿 특성.jpg




특성은 매 게임마다 상대 조합이나 변수를 고려하고 중후반 까지의 상황을 예측해보고

찍으시는 습관을 들이시면 좋습니다.


툴팁만 읽어봐도 거의 왠만한 특성은 이해가 가실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저의 경우 디펜스에 항상 투자를 많이하는것이

안정적이고 무난한 라인전으로 이끌기 위해서 입니다.

너무 공격적인 특성과 룬을 사용하면 격차가 벌어지면 복구가 힘들어지는

즉, 리스크가 큰 셋팅이 되어버려서 입니다.


그래서 그러한 플레이 경험과 개인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위처럼 디펜스에 투자를 꼭 하는식으로 하여 셋팅을 합니다.


이 처럼 자신의 개인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셋팅을 하신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2-3번.JPG



시즌3가 끝나고 프리시즌이 시작되면서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시야석이 나오고 개인 와드 소지개수 제한, 맵에 유지 할 수 있는 와드 개수 제한

아이템들의 변경, 장신구의 등장 등 여러 변화가 있었습니다.


매일 와드와 오라클만 들고 신발은 제대로 신지도 못한채 온맵을 돌아댕기며

이곳 저곳 멍멍이가 영역 표시 하듯 와딩을 난사하고 다녔죠.

이렇게 와딩만 하던 서포터였지만...ㅠㅠ

와딩만 열심히 하면 이기는줄 알았음ㅠㅠ


그렇지만 변화가 시작되고

시즌3 와딩노예 였던 서포터에게도 새로운 길이 열리고

이제 시야싸움은 서포터만의 것이 아닌 팀원 전체의 몫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와딩이라는 구속에서 어느정도 해방되어 이제는

서포터만의 아이템을 가질 수 있는 선택지가 주어졌습니다.


개인 생존을 위한 방어템

한타와 소규모 싸움에서 원딜러와 같이 상대 브루져나 탱커를 녹이기 위한 딜템

팀파이트에 기여하고 유틸적인 면을 보충하고 원딜러를 지키기 위한 유틸템


여러 아이템을 선택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골드가 받쳐주는 상황에서겠죠 ...


아이템에 관련한 부분은

크게 구분하여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딜템의 경우에는 워낙 다양하게 템트리를 쓰시는 경우가 많기에..

딜템쪽은 생략하겠습니다.






1 . 시야석과 장신구 그리고 핑크와드




2049_sightstone.png2049_ruby_ward.png



시즌이 변화하면서 시야석이라는 아이템과 장신구가 추가 되었습니다.

서포터에게는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자리가 잡혔고

장신구는 라인 구분 없이 모든 유저에게 필요한 아이템이 되었습니다.


우선, 시야석은 서포터에게 있어 정말 중요하고 또 중요하고 정말 중요한 아이템입니다.

베인의 1코어템이 몰락이듯이 서포터에게 있어 1코어템은 시야석입니다.


시야석을 사면 와드값을 절약을 할 수 있으며 돈을 모으는데

꽤나 효율적인 아이템입니다.

와드를 5개를 박는 순간부터 어느정도 이익이 되며,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아이템입니다.


가끔보면 시야석 없이 게임이 끝날때까지 일반와드를 구입한다거나


시야석 올리기 돈 아깝다고 안사고 와딩도 안하거나


그냥 와딩을 안하거나 사두고서 안쓰거나 하는 분들이 있는데...








fdb606e1e052d12976989c32b2673c02.jpg


그러시면 안됩니다 ㅠㅠ...



아무튼...

시야석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 보다 상당한 효율을 자랑합니다.

항상 시야석을 꼭 1코어템으로 템을 올리시기를 권장합니다.



3340_yellowtrinket.png3341_redtrinket.png


극초반(게임시작 직후)에는 첫귀환 전까지 라인전의 유지력을 위하여

토템을 대부분 사용을 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상대의 시야장악을 막고 이를 통해 이득을 보실려면 렌즈를 구입하여 가셔도 됩니다.


토템 장신구는 시야석이 나오는 타이밍에 렌즈로 교체 해주시면 가장 적절합니다.


이후 라인전이 끝나가고 소규모 싸움과 한타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 렌즈를 상위 티어로 업그레이드 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상대방에 은신챔프인

샤코, 이블린, 트위치, 렝가(궁), 탈론(궁) 같은 챔프들이 있다면 렌즈를 빠르게 업글 해주시면 좋습니다.



096_eye_of_the_observer.png


위와 같은 상황에 이용 할 수도 있고,

아군의 갱킹이나 로밍,이동 루트 확보와

주요 와딩위치 점거를 하기위한 핑크와드 !


시야석이 나오기 전부터 여유가 될때마다 꼭 하나씩 들고 다녀주면 좋습니다.

정글러를 부르기 위해서 나 아군의 로밍 루트를 확보할때

중요한 오브젝트(드래곤,바론)들을 챙길때 항상 필요한 녀석입니다.


또한 렌즈 업그레이드가 안되었을시 상대 은신 챔프를 감지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아이템 입니다.


한타가 시작되면 핑크와드를 원딜 쪽에 바로 박아두거나 은신 유닛의 도주로에 박아주거나

장신구를 이용하여 감지를 하여도 괜찮습니다.

 

밑의 두 장신구는 투명유닛 감지에 도움이 되는 장신구입니다.


토템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렌즈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인데,

렌즈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토템 업그레이드시 쿨타임이 180초로 이전과 똑같으며

렌즈는 60초로 쿨타임이 줄어듭니다.


3362_visionyellowtrinket.png3364_farseerbluetrinket.png


지속적인 교전이 일어나는 롤의 특성상 쿨감이 적은 렌즈를 이용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2 . 돈 템




3301_babyphilo.png3052_reverb_coil_rha_1.png3090_thoughtbreaker.png


옛부터 CS는 먹는게 아니고 원딜러에게 양보하는것이라고

배워온 서포터들에게


유일한 수입원은 돈템을 통한 지속적인 골드 수급이나

라인전에선의 킬과 어씨를 통한 골드 수급이 다 입니다. 


시즌4로 오면서 여러가지 돈템이 등장하게 되며,

챔프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돈템을 선택 하실때는 챔프 성향과 후반의 활용도에 따라서

고려를 한 이후에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3301_babyphilo.png3069_shurelyas_firecrest.png


고대주화는 여러 서포터들이 공용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아이템입니다.

무난하게 어느 서포터가 써도 잘 어울리고, 후반에 액티브 효과를 이용하여

추노,도주,이니시등 여러 방면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많이 사용하는 템은 아니지만

팀에 이니시를 걸만한 챔프가 없을때 승천의부적을 이용합니다.


챔프 구분없이 여러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3052_reverb_coil_rha_1.png3401_martyrsshroud.png


고대유물방패 는 개인적으로 정말 많이 사용하는 아이템 입니다.

주로 쓰레쉬, 레오나, 브라움 같은 챔프들을 이용할때 사용합니다.

또한, 원딜러를 상대 브루져와 누커들로 부터 보호해야 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생길때

이용합니다. 


히, 누커들은 원딜러에게 상당히 많은 양의 데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에 자주 사용을 합니다.


산악방벽은 액티브 효과를 이용하여 아군에게 보호막을 씌워 줄 수 있습니다.

이 효과를 잘 사용하여 아군을 지키거나 자신을 보하하는데 적절하게 사용하면 됩니다.


아군 원딜을 지키는데 탁월한 능력을 가진 챔프들이 사용을 하여 더욱 보호력을 높이거나

탱키한 챔프들을 더욱 탱탱하게 만들고자 할때 주로 사용합니다.



3090_thoughtbreaker.png3092_kages_last_breath.png


주문도둑검은 주로 AP딜링 스킬 견제를 기반으로 하는 챔프들을 이요할때 주로 사용을 하는 아이템입니다.

라인전에서 사용하는 스킬샷의 비중이 높은 경우에는 거의 사용을 하는편 입니다.

업그레이드 할 경우 준문력에 쿨감,마나재생 까지 붙게되어서 매우 좋은 아이템입니다.


1티어때는 주문력이 +5 붙어있기 때문에

스킬딜 또한 소폭 상승하여 라인전에서 압박을 주기가 좋습니다.

AP룬 셋팅을 한 룬페이지와 함께 들어주셔도 효율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후 3티어로 업그레이드 하여

서리여왕의 지배로 업그레이드 할 경우 광역 슬로우 기능이 생기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추노, 도주, 이니시등에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최대 140의 마법피해를 줄 수 있으니 막타용으로도 사용가능! :^)


AP기반 챔프들을 사용할때

라인전에서 딜교를 적극적으로 걸어주고자 할때 사용해주시면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3 . 신  발




시즌3때는 와드사고 오라클 사느라

신발도 맨날 똥신만 신고다니다가

중반 정도가 되서야 내 똥신을 보고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가 참 많았죠 ㅠㅠㅋ


그래도 지금은 서포터에게도 여유가 많이 생겨서 신발을 빨리 올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기동력신발을 가장 선호하고 추천합니다.


라인전에서는 빠른 이동속도를 바탕으로 상대 정글에도 깊숙하게 와딩을 하고

빠르게 이탈 할 수 있고, 라인에도 빠른 복귀가 가능합니다.


또한 한번 들어오거나 물리면 정말 무서운 챔프들(쓰레시, 알리, 레오나, 블츠등)로 하여금

그 압박감을 더욱 올려주는 효과가 있죠 


라인전이 끝나고 중후반으로 가면 여기저기서 교전이 일어나게 되고,

백업을 빠르게 가줘야 하는 상황이 나오게 되죠. 이때도 높은 이속을 가지고 있다면

빠른 백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당히 메리트있는 아이템입니다.


한타나 소규모 싸움에서 거의 서폿이 CC기의 우선대상이 되기보다는

딜러들이 우선대상이 되기때문에 시간이 오래 지난후에 헤르메스나 닌자신발을 가주셔도 됩니다.


그렇다면 다른 신발들은 언제 사용을 하는것일까?

특정 상황이나 변수를 고려하여 구입하여 주시면 됩니다.


저처럼 기동력 신발을 사용하시다 중후반으로 가서 한타에서의 유지력을

더 늘리고 싶을때가 오면 그때 바꿔주셔도 됩니다. 




3047_phase_striders.png

[ 닌자의 신발 / 방어력 +25 , 기본공격 피해량 10%를 막아줌 ]


상대팀에 AD딜러가 많을때

AD딜링 스킬이 많을때

평타기반의 딜러들이 많을때

주로 사용을 합니다.


개인적으로 특정상황에만 가기 때문에 사용빈도는 적은편 입니다.

또한, AD딜러가 정말 많은 상황이여도 CC기의 보유상황도 봐야되기 때문에

헤르메스로 대체하는 경우도 없지 않아 있습니다.



3008_boots_of_swiftness.png

[ 헤르메스의 발걸음 / 마저 +25 , CC지속시간 35% 감소 ]


상대팀에 AP딜러가 많을때

AP딜러가 잘 컸을 경우

상대팀에 CC기가 많을 경우

광역 AP 딜링 스킬이 꽤 있을 경우


상당히 많은 게임에서 헤르메스의 신발을 이용합니다.

최근 AP딜러들은 지속적이면서도 높은 데미지를 자랑하기 때문이죠.

왠만큼 후반으로 가면은 거의 헤르메스를 주로 이용하게됩니다.

탱커들에게서도 짜잘하게 들어오는 AP딜링 들이 후반으로 갈수록

부담이 되기도 하고, 초반에는 그리 아프지 않던 미드라이너의 딜링이

후반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므로 왠만하면 헤르메스를 올려줍니다.



3158_ionian_boots_of_lucidity.png

[ 아이오니아의 장화 / 쿨감 15% ]


유틸성을 더욱 강화하고 싶을때

스킬 쿨을 빠르게 돌려서 한타에 기여를 해야할때

더욱 지속적으로 딜을 넣고 싶을때

상대 탱커가 위협적이지 않아 원딜러와 같이 그냥 빠르게 딜을 넣어서 잡고자 할 때


주로 자이라, 나미, 소나, 카르마를 할때 갑니다.

스킬딜을 지속적으로 넣어서 포킹을 하거나

한타나 소규모 싸움에서 상대 탱커가 물몸이여서 원딜과 같이 딜을 퍼부어서 녹이고자 할때

주로 가는 신발입니다.


개인적으로 AP딜링 스킬을 주로 사용하는 챔프들을 이용할때 주로 사용합니다.




3020_flamewalkers.png

[ 마법사의 신발 / 마관 +15 ]


서포터 보다는 딜러로 자리매김하여 강력한 딜을 뽑고자 할때

챔프의 높은 딜을 더욱 끌어올리고자 할때

스킬딜링의 효율이 좋은 챔프일 때

방템보다는 딜템을 많이 올려 효율을 더욱 높이고자 할 때

스킬을 연계하여 적중시 상당한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챔프일 때


주로 쿨감신을 갈때와 비슷한 주류의 챔프들을 사용할때 구입하여 사용합니다.

자이라, 애니, 브랜드, 카르마 같은 챔프들을 사용할 때 이용합니다.


위의 챔프들을 보시면은 스킬을 연계로 모두 넣거나 특정 스킬만을 사용하여도

상당히 부담되는 데미지를 넣을 수 있는 챔프들입니다.


개인적으로 라인전에서부터 공격적으로 플레이가 가능하여

중후반에도 이러한 면을 살리고 싶다면 마관신을 갑니다.




3004_assault_treads.png

[기동력의 장화 / 비전투시 이속 +105 ]


빠른 이동속도를 원할 때

잦은 교전으로 빠른 백업이 필요할 때

이곳저곳 로밍을 다니고자 할 때


초중반 정말 효율이 좋다고 생각되는 기동력 장화입니다.

가격도 이전보다 많이 내려갔기 때문에 초반에 빠르게 구입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초중반 거의 사용을 하는편이며, 이후 상대 조합과 변수를 고려하여

다른 신발로 갈아탑니다.


거의 모든 챔프들이 공용적으로 사용을 하며

정말 무난하면서도 좋은 아이템입니다.




4 . 팀파이트에 기여할 수 있는 아이템 과 방어템





이전 시즌부터 많이 사용해오던 아이템들이 많이 보이실겁니다.

거의 많은분들이 특정 상황과 상대챔피언등 여러 상황에 대비하여 구입하는

아이템이라고 생각이됩니다.




3190_crest_of_the_iron_solari.png

솔라리의 펜던트


주변 아군에게 마법저항력과 체젠을 올려주는 버프를 주며

액티브 효과 사용시에는 주변 아군에게 보호막을 씌어줍니다.


주로 상대 AP딜러가 많을때나 AP딜러가 잘 컸을 경우나 광역 AP딜링 스킬이 많을 경우 올립니다.

위의 경우가 아니여도 아군에게 보호막을 씌워 광역 데미지를 줄이고자 할때 사용하여도 괜찮습니다.


개인적으로 상당히 많이 사용하는 아이템으로

효율도 좋으며, 거의 후반에는 필수적인 아이템이기에

항상 구입을 합니다.



3222_mikaels_crucible.png

미카엘의 도가니


아군 원딜러에게 걸린 CC기를 풀어주고자 할때 사용합니다.

[기절, 속박, 도발, 공포, 침묵, 둔화만 제거 할 수 있습니다]


주로 상대편에 피들스틱이 있을때는 항상 구입을 하고

상대팀에 CC기가 많은편이거나

원딜러에게 치명적인 CC기들을 꼭 풀어줘야 할 때

구입을 합니다.


우선은 원딜러에게 수은장식띠를 올릴것을 요청을 하고 

부가적으로 저 또한 미카엘을 구입을 합니다.



3050_rallying_banner.png

지크의 전령


아군의 딜이 부족한 상황이거나

원딜러의 피흡 아이템이 늦어질때 올리는 아이템입니다.


정말 한타를 절대적으로 앞서는 경우가 아니면

잘 이용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써본게 언젠지....


개인적으로 지크를 올리는 것보다는 솔라리나 미카엘을 가는것을 권장하며,

이미 보유하고 있다면 다른아이템에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3075_thornmail_rha_1.png3143_randuins_omen.png

가시갑옷 과 란두인


대게 AD딜링의 공격들이 많이 들어오는 상황이거나

평타기반의 딜이 많이 들어오는 상황일때

주로 가는 아이템들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거의 후반에 올리는 아이템들이며

좀더 탱키함을 갖추어서 한타에서의 유지력을 높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066_sindoran_shielding_amulet.png3065_spirit_visage.png

밴시의 장막 과 정령의 형상


높은 AP딜링이 들어오는 상황이거나 AP누커 챔프가 있을 경우에는 밴시를 가는편이고

지속적인 AP딜링이 들어오는 상황이라면 정령을 가는편입니다.


위의 AD방어템들과 마찬가지로 한타에서의 유지력을 기르기 위해 후반에 올립니다.



3026_guardian_angel.png

수호 천사


가엔의 경우에는 내가 어그로를 끌어야 하는 상황이나 본인에 대한 어그로가 높은 경우에는 빠르게 올리는 편입니다.

레오나, 알리, 말파 같은 상대 진영으로 들어가는 상황이 올 수 있는 챔프들에 한해 주로 올립니다.


가엔의 경우 상대에게 있어 존야와 같이 어느정도의 딜로스를 생성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타가 아직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시 살아나게 된다면

꽤나 골치아파지므로 심적으로도 압박이 됩니다.


원딜러로 플레이를 하다보면 상대서폿이 이렇게 들어오는 상황이 오면

그 당시에 부가적으로 다른 탱커나 브루져에게 입는 데미지들 까지 받으면서

상대 앞라인을 처리하는 동안 가엔이 발동되는걸 보면

거의 뒤로 빠지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딜을 넣기 위해서는 카이팅을 해주어야 하는데

가엔을 통해 다시 되살아난 상대팀에게 CC기를 맞고 죽는 상황이 오게 되면

허무하게 회색화면을 마주할 수도 있기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서 자동으로 딜로스가 유발되고 한타에서의 기여도도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당히 곤란해지게 됩니다.





아이템은 정말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올려주시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냥 특정 챔피언 공략을 보고 템트리에 있다고 무작정 따라 올려주시면 그냥 돈낭비입니다...

항상 상대 조합과 스킬들을 고려하고 올려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글을 마치며 . . .



다소 주관적인 면이 많이 반영이 되었을 수 있습니다.

룬과 특성의 경우 정형화된 부분이 어느정도 있지만

자신에게 맞춰서 변경하여 써야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런 저런 셋팅을 여러번 시도해보고

사용해보시다 보면 자신에게 맞는 셋팅을 찾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

그럼 이만 글줄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증이나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쪽지로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